자~~~ 그래픽카드 이야기 말고 소프트웨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툭 까놓고 AMD 라데온의 아드레날린 소프트웨어에 대한 불만이 많았던 건 사실입니다. 처음 인식이 아직도 이어져 온다고 생각하는데요 예전에는 아이피니티부터 시작해서 설정 편리성은 라데온이 더 좋았는데 한 번의 실수가 상당히 컸던 모양새입니다.
그러나 항상 변화하듯이 최근의 AMD의 라데온 소프트웨어인 아드레날린의 사용 편리성과 화질 개선 같은 플루이드 모션 같은 기술 적용을 위한 방법.. 그리고 게임 설정을 위한 원클릭 설정 등... 아드레날린 소프트웨어에 대한 전반적인 안전성과 사용 편리성이 대폭적으로 개선이 되었습니다.
<출처: 영화 해바라기>
ㅋㅋㅋ 돌아왔구나 라데온 *.*
- 테스트시스템 -
본격적인 성능 테스트보다는 RX 7700 XT 그래픽카드를 이용해서 안드레날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글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라데온 그래픽카드에 적용된 기술 등을 어떻게 활용하고 설정하는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있는 것도 사용 못 하고 있으면 아깝지 않겠어요
사용된 시스템은 RX 7700 XT + 라이젠 7950X3D 시스템으로 진행했습니다. 앞으로 이 시스템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가장 문제는 바로 이 DDR5 풀 뱅크에 따른 메모리 클럭 저하 현상입니다.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일을 하고 있어서 클럭보다는 용량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클럭이 3600으로 하락해버리니 방법이 없네요 ㅠ.ㅠ...
실 게임 테스트에서 관련된 차이점과 성능 부분도 한 번 더 소개하기는 할 예정입니다.
라이젠 조합으로 사용해야지만 RX 7700 XT 사파이어 그래픽카드와의 시너지를 가장 크게 낼 수가 있습니다.
앞서 언급을 했지만 메모리를 꽉 채우면 메모리 클럭이 급강하를 하게 됩니다. 이게 오버를 하면서 조금이라도 잡아가야 한다는데 삼성 메모리이기에 큰 의미는 없을듯합니다. 용량이 중요한 것이라서 AMD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테스트는 이 상태로 진행 예정입니다.
아드레날린 소프트웨어의 디자인부터 꾸준하게 개선이 되었으며, 기술 적용 여부와 프로그램별 그래픽 설정을 개별로 가능하도록 타일 형태로 UI가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반에 걸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는 사용빈도가 높은 프로그램 중에 하나이기는 합니다.
- AMD 안드레날린 RX 7700 XT에서 활용하기 -
모니터가 많은 시스템입니다. 바쁠 때는 추가적으로 1대 더 설치해서 자료를 많이 띄워놓고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드레날린 소프트웨어 자체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기능을 상세하게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모니터 작은 쪽에 항상 띄워놓고 클럭 온도 FPS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물론 프로그램별로 플로팅 상태 창을 상시 띄울 수도 있습니다. 오베 레이 형태로 되기 때문에 별도의 외부 소프트웨어 사용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AMD 라데온 소프트웨어가 꾸준하게 업그레이드가 되면서 매우 깔끔해졌네요 여기서 눈에 띄는 기능 한 가지 바로 스마트테크놀러지라는 기술입니다.
그래픽적인 기술 제외하고 기타 성능적인 부분의 향상과 라이젠 CPU와 함께 사용했을 시에 장점이 있는 기술을 활성화할 수가 있습니다.
특히 SAM 기술 사용 여부에 따라서 소폭의 성능 향상도 존재합니다.
고해상도일수록 그 성능 차이가 조금씩 더 늘어나는 편이기 때문에 라이젠과 라데온 조합이라면 SAM 활성화가 필수적입니다.
노이즈 캔슬링 기능.. 이거 됩니다. 하하 생각보다 잘 되는데요..
자체적으로 영상에서 소음을 제거하고 음성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해주는 기능입니다. 영상을 통해서 한 번 더 소개하는 기회를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화질편과 영상 편을 한 번 더 다루어볼 예정입니다.>
가장 궁금한 것.... 라데온 사파이어 RX 7700 XT가 AV1 코덱을 지원한다고 소문이 있어서... 직접 테스트해 보기로 했습니다.
영상 부분에서 이 점이 가장 아쉬움으로 남는 부분이기도 했는데 바로 테스트해 봅시다. 프리미어뿐만 아니라 GPU 가속을 하는 대부분의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가 지원이 될 것으로 생각을 합니다.
<GPU 가속 미적용 AV1 코딩>
실질적으로 40%를 사용하지만이조차도 잠깐잠깐 점유율을 가져가는 상황이라서 GPU 도움 없이 CPU 자체적으로 AV1 코덱으로 작업을 하면 3-4분 4k 동영상을 7-8분을 인코딩을 하기 때문에 AV1 코덱 사용은 불가했습니다.
하지만 RX 7700 XT을 개입시키기 시작하면 사용률부터가 80~100%로 높아지게 되고 40초 이내로 영상 인코딩이 마무리된 것을 보면은 정말 코덱 지원을 라데온이 하고 있습니다.
AV1 잘 들어갔죠 ^^... 지금까지 답답함이 내려가는 느낌이 마구마구 들고 있습니다.
-원클릭 설정 HYPR-RX-
게임의 설정 부분과 성능은 그래픽카드 성능 편에서 한 번 더 다루어볼 예정입니다.
이번 라데온 소프트웨어의 가장 큰 특징은 원클릭만으로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에 최적화된 그래픽 설정을 한다는 것입니다.
데스크톱 기준으로 소비전력 부분에서는 큰 상관이 없기 때문에 HYPR-RX 설정을 기본으로 하면 되겠습니다.
각 프로그램별 게임별로 자동 설정이 됩니다.
물론 게임과 프로그램별로 설정도 가능합니다.
자 여기서 HYPR-RX와 글로벌 익스피리언스와의 차이점은... 그래픽카드와 소프트웨어 자체적으로 기준을 두고 설정하는 경우이며, 글로벌 익스피리언스는 다른 유저들이 대체적으로 사용하는 설정값을 적용하는 경우입니다. 집단 지식 같은 것이겠죠!!
HYPR-RX와 글로벌 익스피리언스 간의 설정값 차이는 크게 나지는 않지만, 몇몇 크리에이티브 한 작업을 하는 소프트웨어에서는 차이점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모르겠다면 원클릭으로 HYPR-RX 설정만 해두어도 됩니다.
기타 작업용 모니터를 사용하는 유저층은 필히 픽셀수 10비트 지원하는 모니터 사용자라면 더 좋은 색감과 모니터의 성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 필수적입니다. 대부분의 모니터가 8비트인데 10비트 지원하는 모니터가 비싸기도 합니다. 작업용 모니터들이 보통 지원을 합니다.
정통적으로 라데온 그래픽카드가 화질과 색감은 더 좋기로 정평이 나있기도 했었습니다.
RX 7700 XT 라데온 그래픽카드 사용하면서 어렵지 않게 성능 향상을 할 수 있는 몇 가지 기능을 소개해 보았습니다. 작은 설정만으로도 일부 성능 향상이 있었으며, 게임별로 소프트웨어별로 사용자가 직접 개입하지 않고 HYPR-RX 클릭 한 번으로 모든 것이 해결이 된다는 점에서 사용자는 게임 내부의 설정만 신경 쓰면 되는 상황입니다.
-
매우 편리해진 AMD 안드레날린 소프트웨어였습니다. 생각 이상으로 많이 개선이 되었습니다.
-
특히 모니터링과 관련해서는 시인성이라든지 볼 수 있는 데이터들도 다양하다는 점
-
원클릭을 통한 성능 향상과 라이젠 CPU와 함께 사용 시 성능 향상과 체감 성능 향상을 볼 수 있는 기능을 별도 분리해서 손쉽게 사용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도 좋았습니다.
전반적으로 스트레스 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RX 7700 XT의 실 성능과 오버클럭 게임별 테스트를 디테일하게 한번 들어가 보겠습니다. 그래도 그래픽카드는 게임별 성능이 매우 중요한 것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