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4주 차 리뷰로 인사드립니다. 1주 차에서는 PowerColor 라데온 RX 7600 Fighter D6 8GB 대원씨티에스의 모습 및 특징을, 2주 차에서는 전용 소프트웨어인 Adrenalin의 기능 및 활용에 대해, 그리고 3주 차 리뷰에서는 벤치 프로그램을 통한 수치로 보는 성능 및 온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마지막 4주 차에서는 전용 소프트웨어인 아드레날린 - 오버레이를 통해 다수의 게임에서 객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프레임 수치 및 성능 부분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시스템
▲ 게임 성능 테스트에 사용된 구성입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케이스가 빅타워 케이스여서 인지 RX 7600 Fighter가 더욱더 콤팩트하게 보입니다.
Adrenalin - 오버레이
▶ 아드레날린의 기능 중 하나인 오버레이 기능을 통해 FPS(프레임) / GPU 로드율 / GPU 전력 소모 / GPU 온도 / CPU 로드율 / CPU 온도 등 다양한 상태를 프로그램 상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성능 ▷ 메트릭 탭에서 "메트릭 오버레이"를 활성화시키고 "메트릭 오버레이를 위한 게임 감지"까지 활성화를 시키면, 평상시에는 오버레이 창이 보이지 않지만,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자동으로 인식해 오버레이 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오버레이 창의 위치 및 크기, 그래프의 크기, 색상 변경까지 모든 것을 소프트웨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오버레이창 위치를 오른쪽 위(기준)에서 왼쪽 위로 크기를 100%(기존)에서 150%로 변경해 "Lise of P(P의 거짓)"에 적용해 봤습니다. 확실히 시안성이 좋아졌습니다. 여러 부분을 사용자 지정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 참 편리합니다.
▲ 여담으로, 아드레날린을 이용한 녹화를 진행할 때, 일반적인 설정에서는 오버레이창이 같이 녹화되지 않습니다. 성능 ▷ 설정 탭에서 "비디오/스트리밍 출력에 표시"를 활성화시켜줘야 녹화 시, 오버레이창이 같이 녹화됩니다.
▲ 게임 테스트는 위 사진처럼 게임 별로 원클릭 방식을 통해 HYPR-RX(RSR + AFMF)로 설정을 해주었습니다. FSR이 활성화되어 있는 게임의 경우에는 게임상에서 FSR을 비활성화 시키고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게임 벤치마크
▶ 소프트웨어상에서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은 상태(FSR - 활성화 / RSR -비활성화)와
RSR(Radeon ™ Super Resolution)을 적용한 상태(FSR - 비활성화 / RSR - 활성화)의
게임 프레임 및 그래픽카드 온도 등 상태를 비교했습니다.
① Lise of P(P의 거짓) - FSR2
▲ 그래픽은 최고 설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 AMD FidelityFX Super Resolution 2를 최고 성능으로 한 상태에서도 꾸준하게 165프레임을 찍습니다. 확실하게 최적화가 참 잘 된 게임입니다. 온도는 66~68℃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RSR을 활성화시킨 모습입니다. RSR이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을 때에는 설정 화면처럼 해상도를 본인이 사용하는 해상도보다 한 단계 낮게 설정해 주면 됩니다. FSR은 끄고 RSR을 적용한 영상입니다. 솔직히 정말 놀랍습니다. 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250~280까지 높은 프레임을 보여주며, 게임의 품질 또한 FSR보다 훨씬 선명하고 부드럽습니다. 개인적으로 P의 거짓은 FSR보단 RSR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온도 역시 FSR 적용과 비슷한 66~67℃의 범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② Horizon Zero Dawn™ Complete Edition (FSR1)
▲ 그래픽 사양은 최고급 품질로 진행하였습니다.
▲ 호라이즌 제로 던 역시 PC 최적화가 개인적으로 잘되어 있는 작품이라 생각됩니다. RX 7600 기본 설정만으로도 게임 벤치 기준 최대 149 프레임, 최저 31 프레임, 평균 82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게임의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벤치 기준 점수는 14,840점을 기록했습니다. 벤치를 진행하면서 온도 역시 65℃ 언저리의 낮은 온도를 보여주었습니다.
▲ RSR을 적용한 벤치 결과입니다. 벤치 결과 데이터에서는 미비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대 168프레임, 최저 26프레임, 평균 95프레임, 벤치 점수 17.199로 측정됩니다. 하지만, 영상을 통해 보시면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아드레날린 오버레이를 통해 프레임을 확인하면, 200프레임이 넘는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확실한 차이가 보입니다. 온도 역시 FSR을 적용한 설정과 비슷한 68℃ 언저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③ God of War (FSR2)
▲ 그래픽 사양은 울트라로 세팅해 진행하였습니다.
▲ 75 ~ 89 사이의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70 ~ 71℃의 온도 추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RSR 설정 없이도 RX 7600만으로도 울트라 옵션 세팅에서 충분한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기존 FSR을 비활성화하고 RSR을 적용하니 확실히 프레임 상승에 비약적인 상승이 있습니다. 120 ~ 140 언저리까지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73℃ 내외의 온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RSR을 안 쓸 이유가 없습니다.
④ Red Dead Redemption2 (FSR2)
▲ VSync를 사용했으며, 그래픽 상세 설정은 기본 옵션 그대로 진행하였습니다. 110 ~ 120 사이의 프레임을 보여줬습니다. 70℃ 정도의 안정적인 온도를 보여줬으며, 벤치 프로그램 진행 시 전혀 프레임 드롭 없이 테스트가 진행됐습니다.
▲ RSR을 적용한 Red Dead Redemption 2의 프레임과 온도 변화입니다. 평균적으로 200프레임의 끊김 없는 벤치 영상과 69 ~ 71℃의 온도 추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확실히 높은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⑤ Ghost of Tsushima
▲ 그래픽 품질은 모두 높음으로 설정되어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 RX 7600의 기본 설정만으로도 130 정도의 평균 프레임을 보여줬으며, 온도는 이전의 게임들보다는 조금 높은 74℃ 정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RSR을 적용하니, 170 이상의 프레임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으며, 온도는 FSR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낮은 65 ~ 67℃의 추이를 보여줬습니다. 높은 프레임 낮은 온도! 참 이상적인 결과입니다.
마무리
5월 한 달 동안 PowerColor 라데온 RX 7600 Fighter D6 8GB 대원씨티에스를 기본적인 모습부터 실제로 게임상의 성능까지 총 4회의 리뷰를 통해 보급형 그래픽카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알아보았습니다.
단점이 장점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정도로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준 RX 7600은 높은 프레임과 뛰어난 품질을 보여주는 RSR 기능 하나만으로도 이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가 아닌가 싶습니다. 4주 차 실제 게임 테스트에서 보여준 RSR의 뛰어난 성능과 안정적인 온도는 FSR 과는 다른 경쟁력을 보여줬습니다.
5월 한 달 동안 RX 7600을 사용하면서 단 한 번도 소프트웨어의 오류라든지, 게임상의 오류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은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비약적인 발전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항상 라데온 그래픽카드 하면 따라오는 말이 호환성 안 좋은 그래픽카드, 오류 많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로 성장한다는 불안정성 등의 여러 가지 말말말... 하지만, 이제는 그런 말들도 하나둘씩 없어져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고객 서비스 1티어 대원씨티에스에서 유통되는 PowerColor 라데온 RX 7600 Fighter D6 8GB은 보급형 그래픽카드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보여줌과 동시에 저렴한 가격까지 성능과 가격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제품입니다. 콤팩트한 사이즈로 어디에든 호환성이 좋고 보급형 그 이상의 성능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 4주 차 리뷰를 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에 좋은 기회가 생긴다면, 다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본 사용기는 대원씨티에스(주)에서 물품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