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용기는 앱코로부터 제품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ABKO, #앱코, #COX, #CMK63R, #아마겟돈에디션, #자석축키보드, #래피드트리거, #기계식키보드, #게이밍키보드, #키보드추천
최근 키보드 시장에서는 단순한 입력 장치를 넘어 개성과 고성능을 동시에 추구하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게이머와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자석축 기반의 래피드 트리거나 8K 폴링레이트처럼 입력 지연을 최소화하고 정밀한 컨트롤이 가능한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중이다. 동시에 자신만의 데스크테리어를 완성해줄 감각적인 디자인까지 갖춘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COX가 새롭게 선보일 예정인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 자석축 키보드’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서 눈길을 끄는 제품이다.
이번 리뷰에서 소개할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 자석축 키보드’은 63키 미니 배열의 무소음 자석축 기계식 키보드로, HAIMU 자석축을 채택하여 0.1mm 단위로 입력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래피드 트리거 기능을 지원한다. PBT 이중사출 키캡과 체리식 스테빌라이저를 적용하여 내구성과 타건감을 향상시켰으며, 5중 흡음 설계와 실리콘 가스켓으로 통울림을 최소화했다. 또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키 설정, 매크로, LED 조명 등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8K 폴링레이트를 지원하여 빠른 입력 반응 속도를 제공한다. 특히 이 아마겟돈 에디션은 기존 CMK63R 모델과 달리 개성 있는 디자인의 키캡이 적용되어 시각적인 차별성과 컬렉터블한 매력을 더한 것이 특징이다. 컴팩트한 디자인과 다양한 기능을 갖춘 이 키보드는 게이머와 타이핑 사용자 모두에게 적합한 제품으로 보인다. 과연 실제 모습은 어떤지 리뷰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하자.
언박싱. 제품명과 스펙, 모델명, 제조일자, 서비스 지원 관련 정보 및 봉인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키보드, 키캡 & 스위치 리무버, 사용자 설명서, AS 접수증, USB A to C-Type 케이블, 커버가 기본 구성품으로 제공된다.
이 제품은 텐키리스 63키 미니배열 키보드이다. 풀배열에 익숙한 분들에겐 상대적으로 어색함이 크게 느껴질 정도로 작은 크기의 제품. 크기는 302.4 × 118.5 × 39.5mm. 매트한 블랙 컬러를 기본으로 강렬한 키캡 디자인이 이제품의 백미이다.
무광 블랙 컬러를 기본으로 강렬한 느낌에 패턴 디자인이 반영되었으며 이중 사출 PBT 키캡엔 영문 측각 각인만 적용되었다. 타이핑 할 때 키보드를 바라봐야 하는 분들보단 디자인적인 부분에 힘을 준 제품이라 봄이 옳다. 이러한 시각적인 표현 때문에 다수의 각인은 자칫 지저분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측면 각인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닐까 싶다. 패턴 자체의 호불호가 갈릴 포인트는 분명하지만, 실물을 보면 그리고 RGB 이펙트를 보면 생각이 바뀌는 데는 그리 긴 시간이 필요치 않다.
적용된 스위치는 COX와 HAIMU社가 협업으로 개발한 ‘무소음 마그네틱 스위치’이다. 이 스위치는 네오 디뮴 자석과 센서의 자기장을 통해 눌린 거리를 감지해 입력 지점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디테일한 설정이 가능하다. 자석축 특유의 손끝에 달라붙는 듯한 느낌에 반발력과 키감이 잘 살아있으며 리니어, 무소음 타입이라 타건 할 때 큰 소음이 발생 하지 않는다. Inital Force 25gf, Actuation Force 37±5gf, Bottom-out Force 45gf Max로 키압이 낮은편. 물론 자석축만의 특징인 레피드 트리거 기능 활용을 통해 프로그램에서 키 전체 0.1~4.0mm단위로 미세 조정이 가능하므로 설정에 따라 느껴지는 키압의 수준은 달라질수 있다. 여기에 8K폴링레이트 조합은 지연없는 정확한 키 입력을 보장하므로 FPS, 리듬 액션 게임에서 그 가치가 드러난다.
축교환식이라 사용 중 일부 스위치가 고장 나더라도 교체가 쉽고 필요에 따라 동일한 방식의 자석축을 교환, 혼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쉬프트나 엔터, 스페이스바키의 경우 체리식 스테빌라이저를 적용했고 윤활처리를 더 해 균일하고 부드러운 타건감을 보장한다.
측면부. 손가락과 손목에 부담을 줄여주는 스텝스컬쳐2가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Type 케이블 탈착식으로 제조사에선 레피드트리거, 8K 폴링레이트를 정상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선 기본 제공되는 기본 케이블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연결부 마감이 다소 거칠게 보이는 것은 해당부분에 비닐이 붙여져 있기 때문이다.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 자석축 키보드’는 이미 알고 있겠지만 기존 COX CMK63R의 키캡 체인지 버전이다. 기존 제품이 클래식한 게이밍 키보드를 표현하고 있었다면 이 제품은 하드코어 게이머를 위한 개성 넘치는 분위기를 자랑한다. 특히 필자의 경우 해당 키캡을 보자마자 가장 어울리는 컬러는 레드라고 판단, 이를 적용해보았고 예상대로 전체적인 데스크탑 분위기가 상당히 강렬하게 바뀐 것을 알수 있다. 다만, 이는 호불호가 갈리는 포인트로 작용할 수 있기에 구매전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전용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VIA 못지 않은 디테일한 설정이 가능하며 알기 쉽게 직관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사용하기 편하다. 크게 키 커스텀, 트리거 설정, 조명 설정, 성능, 고급키등 다양한 메뉴로 나뉘며 각각의 메뉴에서 세부 설정을 할 수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앱코 홈페이지 다운로드 탭에서 제품명을 검색하면 내려받을 수 있으니 키보드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고 싶다고 꼭 사용하길 추천한다.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 자석축 키보드’는 앞서 언급했듯이 ‘‘COX CMK63R’의 키캡 교체형 버전이다. 기본 래피드 트리거, 자석축 조합에 8K 폴링 레이트 지원을 통해 완벽한 게이밍 키보드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나 빠른 반응 속도 정교한 입력을 요구하는 AOS, FPS 장르 선호 게이머 유저에겐 딱 맞춤형 키보드이다. 하지만 리니어 무소음 스위치를 적용했기에 일반 게이밍 환경에서 뿐만 아니라 타이핑, 사무용으로도 손색이 없다.
다만, 미니 배열, 측각 영문, 한글이 없는 키캡과 강렬한 키캡 디자인은 장점인 동시에 호불호가 명확한 포인트인 만큼 구매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난 독수리 타법에 한글 각인이 꼭 필요하다고 말하는 분들에겐 관상용 제품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고 적어도 난 각인을 보고 타이핑하는 타입이 아니고 이미 텐키리스 제품을 사용 중이거나 익숙한 분들에게 추천할만한 제품이란 뜻이다. 눈높이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키보드라는 것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