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울트라 7 265K 리뷰: 오버클러킹 및 최적화

IP
2025.05.23. 06:16:49
조회 수
153
2
댓글 수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 이 게시물은 인텔 공인대리점에서 제공된 제품을 이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인텔 코어 울트라 데스크탑 프로세서 (시리즈 2)는 새로운 애로우 레이크 (Arrow Lake) 마이크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이전 14세대 코어 프로세서에서 아쉬웠던 전력 효율을 크게 개선한 제품입니다.

최대 24개의 코어 (8개의 고성능 코어, 16개의 고효율 코어)와 5.7GHz (고성능 코어 기준)로 동작하는 터보 부스트 클럭으로 강력한 성능을 제공하며, 현대적인 멀티 태스킹과 멀티 코어 성능을 위해 전력 효율성을 극대화 (이전 세대 대비 최대 29% 높은 멀티 스레드 성능, 최대 44% 낮은 소비 전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코어 울트라 데스크탑 프로세서는 저전력, 저발열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며, 게이밍 뿐만 아니라 작업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AI 성능을 향상시켜주는 NPU (뉴럴 프로세싱 유닛, AI 가속기), Xe LPG 아키텍처 기반의 향상된 통합 그래픽 프로세서 (iGPU)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 (시리즈 2): 주요 스펙


코어 울트라 9 285K 프로세서

코어 구성
8P (성능) 코어 + 16E (효율) 코어
총 24코어 24스레드
최대 부스트 클럭
5.7GHz
캐시 메모리
L2 40MB
L3 36MB
통합 그래픽
인텔 그래픽스 (Xe LPG, 4 코어, 최대 2.0GHz)
통합 AI 가속기
최대 13 TOPS
열 설계 전력 (TDP)
기본 125W
최대 250W (터보)
권장 판매 가격
$589 (세금 별도)
* 다나와 제품 정보: 바로가기
코어 울트라 7 265K 프로세서
코어 구성
8P (성능) 코어 + 12E (효율) 코어
총 20코어 20스레드
최대 부스트 클럭
5.5GHz
캐시 메모리
L2 36MB
L3 30MB
통합 그래픽
인텔 그래픽스 (Xe LPG, 4 코어, 최대 2.0GHz)
통합 AI 가속기
최대 13 TOPS
열 설계 전력 (TDP)
기본 125W
최대 250W (터보)
권장 판매 가격
$394 → $299 (세금 별도)
* 다나와 제품 정보: 바로가기
코어 울트라 5 245K 프로세서
코어 구성
6P (성능) 코어 + 8E (효율) 코어
총 14코어 14스레드
최대 부스트 클럭
5.2GHz
캐시 메모리
L2 26MB
L3 24MB
통합 그래픽
인텔 그래픽스 (Xe LPG, 4 코어, 최대 1.9GHz)
통합 AI 가속기
최대 13 TOPS
열 설계 전력 (TDP)
기본 125W
최대 159W (터보)
권장 판매 가격
$309 (세금 별도)
* 다나와 제품 정보: 바로가기

 

인텔 코어 울트라 7 265K 프로세서: 패키지 및 외형


인텔 코어 울트라 7 265K의 패키지는 과거 인텔 제품들과 같은 형태가 사용되었지만 디자인은 조금 더 심플하면서 고급스러운 느낌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전 세대까지는 동급 제품에 인텔을 상징하는 블루 컬러를 사용했는데, 이번에는 블랙 컬러 바탕으로 더 강한 느낌을 줍니다.






패키지 내부에는 CPU 본품과 설명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버클러킹이 지원되는 K 프로세서는 특성상 고성능 쿨러를 필요로 하며, 그렇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는 번들 쿨러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반면, Non-K 프로세서는 번들 쿨러가 함께 제공됩니다.

코어 울트라 7 265K 프로세서는 처음으로 타일 (칩렛) 구조가 채택되어 내부적으로는 큰 변화가 있었지만 외형적으로는 이전 세대 제품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히트 스프레더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이며 실제 핫 스팟은 중앙에서 약간 우측 상단으로 치우쳐있습니다.

또한, 기존 LGA1700보다 더 많은 핀이 사용된 소켓 LGA1851이 사용되었지만 물리적인 소켓 크기와 쿨러 장착을 위한 마운트 홀의 위치는 동일합니다. 따라서 기존 LGA1700에서 사용했던 쿨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US Z890 AYW GAMING WIFI W: 패키지

LGA1851 소켓을 사용하는 ASUS Z890 AYW GAMING WIFI W는 인텔 코어 울트라 (시리즈 2)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ATX 규격의 메인보드로, 준수한 전원부와 넓은 확장성, 편의 기능을 모두 갖춘 올-어라운드 제품입니다.

제품명에 사용된 AYW는 ‘As You Wish’의 약자로 ‘네가 바라는 대로’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요. 기존 프라임과 TUF, ROG에 이어 등장한 별도의 최신 라인업으로, 불필요한 기능은 제외하고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소비자들이 원하는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 가성비 제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메인보드 본품 외에 구성품으로는 SATA 케이블 2개, Wi-Fi 및 블루투스 겸용 안테나, M.2 고무 패드, M.2 장치 고정용 볼트 그리고 설명서가 제공됩니다.


안테나는 위와 같이 2개의 파츠로 구성되어 있는데 처음 접할 경우 조립이 조금 어려울 수 있어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안테나는 본체의 케이블을 받침대 쪽으로 정리한 후 앞 부분을 숙여 꽂은 다음 뒤로 기울이면 부드럽게 결합됩니다. 다만, 받침대에는 PC 본체 등 금속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센스 있게) 자석이 부착되어 있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ASUS Z890 AYW GAMING WIFI W: 디자인


ASUS Z890 AYW GAMING WIFI W는 화이트와 실버 컬러가 사용된 ATX 폼 팩터의 풀 사이즈 메인보드로 흰색의 가성비 게이밍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입니다.


외형적으로는 SPACE라는 문구에서 연상할 수 있듯이, 깔끔한 흰색 바탕에 실버 컬러의 금속 방열판들이 어우러져 우주선과 같은 느낌을 내기 위해 노력한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블랙 계열을 더 선호하긴 하지만, 화이트 감성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PC 빌드에 잘 어울리는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CB 후면도 역시 흰색의 컬러가 바탕이며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잘 마감되어 있습니다.



화이트 컬러로 밝은 느낌을 주는 소켓, 전원부 방열판의 모습입니다.



2개의 8핀 보조 전원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을 위해서는 최소 1개 이상의 커넥터를 연결해야 합니다. 보다 전력 소모가 많은 K 프로세서를 오버클러킹해서 사용한다면 2개를 모두 연결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전원부 히트싱크는 위와 옆의 2개 블럭으로 나뉘어 있으며 서멀 패드가 꼼꼼하게 부착되어 있었습니다. 측면 전원부 히트싱크는 흰색의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로 한 쪽 위를 덮는 형태입니다.

커버를 통해 디자인적으로 포인트를 주는 것도 좋지만 그냥 전원부 방열판 크기를 더 늘렸으면 더 효과적이고 조립 과정도 단순해져서 더 좋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방열판을 제거한 후의 소켓, 전원부 모습입니다.

전원부 구성은 12+1+2+1 페이즈로 총 960A가 CPU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전원부 컨트롤러는 ASUS DIGI+ ASP2442GQW EPU 입니다.



모스펫으로는 알파 & 오메가의 80A DrMOS가 사용되었습니다.



APAQ의 AP-CON 5K 컨덕티브 폴리머 알루미늄 솔리드 커패시터가 사용되었습니다.

5K라는 명칭에서 예상할 수 있는 것처럼 기대 수명은 105°C에서 5,000시간이며, 약 50°C에서 동작한다고 가정할 경우 10°C 온도가 하락할 때마다 2배씩 수명이 증가하는 아레니우스의 법칙에 따라 예상 수명은 약 226,274시간 (약 25.8년)이 됩니다.

RL-ILM 고정 방식이 적용된 폭스콘 (Foxconn)의 LGA1851 소켓이 사용되었습니다.




메모리 슬롯은 Q-DIMM 방식으로 메인보드 상단 (사진에서 우측) 부분만 걸쇠가 열리는 구조입니다.



최신 메인보드 중에서는 30W 급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제품들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ASUS Z890 AYW GAMING WIFI W도 고급형은 아니지만 AYW를 제품명으로 표기한 최신 메인보드 답게 USB 20Gbps 커넥터를 통해 USB PD 3.0 30W 고속 충전을 지원합니다. 사소하지만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부분입니다.

메인보드 하단 확장 슬롯 및 커넥터 부분의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PCI Express 슬롯은 5.0 x16 1개, 4.0 x16 슬롯 3개 (x4 모드 2개, x1 모드 1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쉽게 교체가 가능한 클래식한 형태의 코인 셀 (배터리) 고정 방식인데, 위와 같이 고무 패드가 틈에 끼워져 있어서 교체 시에는 먼저 고무 패드를 제거 후 걸쇠를 조작해야합니다.



그래픽 카드가 장착되는 첫 번째 PCI Express 슬롯은 메탈 실드로 강화되어 있습니다.




대형 공랭 쿨러나 두꺼운 그래픽 카드를 사용 시 탈착이 쉽도록 Q-릴리즈가 적용되었습니다.



M.2 방열판은 단순한 구조로 길다란 판 모양이며 장치의 위치에 맞게 서멀 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M.2 방열판을 제거한 모습입니다.

M.2 슬롯은 PCIe 5.0 x4 1개, PCIe 4.0 x4 3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상단 슬롯이 CPU와 직결되는 PCIe 5.0 x4 방식이며, 최하단 M.2 슬롯의 경우 SATA 방식 M.2 SSD를 지원합니다.

M.2 슬롯은 Q-래치가 적용되어 SSD를 기존 볼트 고정 방식에 비해 쉽게 장착할 수 있습니다.



유선 이더넷 컨트롤러는 무난한 리얼텍 RTL8125D (2.5Gbps)가 사용되었으며,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Wi-Fi 6 (802.11 a/b/g/n/ac/ax) 및 블루투스 버전 5.3을 지원하는 미디어텍 MT7902가 추가로 탑재되었습니다.



통합 사운드 칩셋으로 리얼텍 ALC897 7.1채널 HD 오디오 코덱이 사용되었습니다.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독립 오디오 회로 구성에 오디오 커패시터가 사용되었지만, 최신 고급형 메인보드에서 사용하는 ALC1200 시리즈 또는 ALC4000 시리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스펙이 부족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연결을 사용한다면 아쉬울 수 있습니다.

PCH (플랫폼 컨트롤러 허브)인 Z890 칩셋 방열판은 저가형에서 주로 사용되는 푸시 핀 고정 방식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성능에 영향을 주는 부분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는 볼트 고정 방식을 사용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후면 패널 I/O 포트는 디스플레이포트 1개, 20Gbps USB 타입-C 포트 1개, 10Gbps USB 타입-A 포트 3개, USB 2.0 포트 4개, 아날로그 오디오 잭, 무선 안테나 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긴급 상황 시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스 플래쉬백 기능도 지원합니다.


 

테스트 시스템 구성


이번 체험단 행사를 통해 테스트에 사용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 설정하였습니다.

CPU
Intel Core Ultra 7 265K Processor
CPU 쿨러
Thermalright Phantom Spirit 120 EVO
RAM
SKhynix DDR5-4800 16GB x2
ESSENCORE KLEVV DDR5-6400 CL52 CUDIMM 16GB x 2
메인보드 (마더보드)
ASUS Z890 AYW GAMING WIFI W
그래픽 카드 (GPU)
ASUS ROG Strix GeForce RTX 3080 OC Edition
MSI GeForce RTX 5060 Ti GAMING TRIO OC
파워 서플라이 유닛
MSI MPG A850G PCIE5
케이스
3RSYS RX400 Quiet BTF
디스플레이
LG UltraGear 32GP750
키보드
Leopold FC750R OE
마우스
Logitech G Pro X Superlight
운영체제
Microsoft Windows 11 24H2 (빌드 26100.3775)
드라이버
Intel Chipset Software v10.1.20062.8627
Intel Management Engine Drivers v2507.7.10.0
NVIDIA Game Ready Driver v576.52


 

ASUS Z890 AYW GAMING WIFI W: BIOS 업데이트


인텔 코어 울트라 (시리즈 2) 프로세서는 현재 거듭된 BIOS 업데이트를 통해 초기 출시 당시에 비해 어느 정도 성능 향상이 이뤄진 상태이기 때문에 가급적 최신 BIOS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ASUS Z890 AYW GAMING WIFI W 메인보드의 경우 아래 연결된 페이지에서 최신 BIOS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한 ZIP 파일을 그대로 USB 드라이브에 복사하면 준비는 끝납니다.

* BIOS 다운로드 페이지: 바로가기

작성 시점에서 최신 BIOS 버전은 2006이며 ME (매니지먼트 엔진) 버전은 19.0.5.1984입니다. BIOS 버전 2006에 최신 인텔 ME (매니지먼트 엔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ME를 추가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는 없습니다.

시스템 부팅 시 포스트 (POST) 화면에서 키보드 [DEL] 또는 [F2] 키를 여러 번 눌러 BIOS 화면에 진입합니다. 위와 같이 EZ 모드 화면이 표시되면 [F7] 키를 눌러 Advanced 모드로 변경합니다.


Tool 메뉴로 이동해 ASUS EZ Flash 항목을 선택합니다.


USB 드라이브로 이동한 다음, 다운로드한 바이오스 압축 파일을 선택합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 전 경고 및 안내문이 나오는데 내용을 확인 후 Yes 버튼을 눌러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끝나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Ok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이 다시 시작됩니다.



ASUS Z890 AYW GAMING WIFI W: 오버클러킹 및 최적화


ASUS Z890 AYW GAMING WIFI W의 바이오스 UI는 기존 ASUS 제품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기존 ASUS 메인보드 사용자라면 빠르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간단하게 구성된 타사의 제품을 사용했다면 조금은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오버클러킹 및 최적화와 관련된 거의 모든 옵션은 기본적으로 Ai 트위커 (Ai Tweaker) 탭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먼저 Intel 200S Boost (인텔 200S 부스트)는 제품 보증이 무효화되지 않는 오버클러킹 옵션으로 K 프로세서와 Z890 칩셋, XMP 프러파일을 지원할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텔 200S 부스트를 사용하면 메모리 클럭이 최대 8000MHz (MT/s), NGU 패브릭 (SoC 타일) 클럭이 2.6GHz에서 3.2GHz로, D2D (Die to Die) 클럭이 2.1GHz에서 3.2GHz로 향상되며, 순정 상태와 비교할 때 DDR5-8000 기준 평균 7-15%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Ai Overclock Tuner 옵션은 주로 XMP 설정에 사용되며, ASUS MultiCore Enhancement는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 터보 배수와 전력, 온도 조건을 변경하는데 사용됩니다. SVID Behavior는 CPU의 SVID 값을 조절하는데, Best-Case 시나리오로 설정하면 전체적인 CPU의 전압이 낮게 들어가지만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퍼포먼스 코어 레이쇼에서는 고성능 코어의 배수를 설정할 수 있는데 전체에 같은 배수를 지정하거나 코어 수에 따라 배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상위 모델인 285K와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도록 2개 코어까지는 57배수, 나머지는 55배수로 동작 클럭을 올렸습니다.



특정 퍼포먼스 (고성능) 코어 설정 부분을 보면 * 표시된 코어가 있는데 이 부분이 최고속으로 동작하는 코어 (일종의 골든, 실버 코어)입니다. 기본 전압으로는 57배수 동작이 어렵기 때문에 각각 오프셋 방식으로 일정 전압을 추가했습니다.



이피션트 (고효율) 코어 레이쇼는 고효율 코어의 배수를 지정하는 부분인데 고성능 코어에 비해 오버클러킹이 잘 되기 때문에 모든 코어를 48배수로 지정하고 별도로 전압을 추가하지는 않았습니다.

메모리 컨트롤러 : DRAM 주파수 레이쇼는 메모리 컨트롤러와 메모리의 동작 클럭 비율을 지정하는 부분인데 일반적인 오버클러킹은 모두 기본인 1:2 비율로 설정하면 됩니다. 1:4의 경우 초고성능 메모리를 이용한 오버클러킹 정도에서나 사용하게 됩니다.

인텔 코어 울트라 (시리즈 2) 프로세서의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당히 우수해서, 메모리 성능만 받쳐준다면 DDR5-8000 정도는 쉽게 지원하기 때문에 고성능 XMP 메모리나 CUDIMM 메모리를 활용하기 좋습니다. 보통 4 슬롯 메인보드의 경우 DDR5-8400~8800 정도까지 실사용이 가능하며, 2 슬롯 오버클러킹 메인보드의 경우 이 보다 조금 더 높은 클럭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RAM 타이밍 컨트롤에서는 메모리 타이밍을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타이밍에 대해 잘 모를 경우 XMP 메모리의 타이밍을 참고하면 초기값을 쉽게 정할 수 있습니다. 타이밍을 극한까지 조절하면 메모리 벤치마크에서 성능 차이가 꽤 나오지만, 실제 게이밍에서는 그 정도까지 큰 차이는 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사용 목적으로는 안정성을 우선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새로고침 주기를 설정하는 램 타이밍 옵션인 리프레시 tREF, tREFI의 경우 메모리 벤치마크에서 큰 성능 향상을 보여주는 타이밍이지만 소비 전력과 발열이 늘고, 안정성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너무 무리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Digi+ VRM에서 설정해야할 부분은 CPU 로드라인 캘리브레이션 (LLC)과 VCCSA 로드라인 캘리브레이션인데 두 항목 모두 오버클러킹을 고려한다면 레벨 6 정도의 값을 추천합니다.



혹시 간편한 실시간 테스트를 위해 인텔 XTU를 사용하려면 인터널 CPU 파워 매니지먼트에서 오버클러킹 락 (Overclocking Lock)을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하단의 파워 리미트 부분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합니다. 참고로 코어 울트라 7 265K나 코어 울트라 9 285K의 경우 약 200W를 초과하는 구간부터 전력 효율이 많이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저는 소비 전력을 고려한 고효율 세팅을 원한다면 200W 이하의 값을 권장합니다.

각 항목별로 오토 상태에서의 최대 전압을 제한하는 전압 설정 옵션입니다.


퍼포먼스 코어 V/F 포인트 오프셋은 전체 고성능 코어 또는 특정 고성능 코어의 전압/주파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이전 항목에서는 특정 코어에 추가 전압을 설정했는데 특정 부스트에서만 조절을 원한다면 이 옵션을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실제 테스트 결과 앞에서 사용한 방식보다는 안정성을 높이기가 까다로웠습니다.


마찬가지로 고효율 코어의 전압/주파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트위커스 패러다이스 (Tweaker’s Paradise)는 그 외 자잘한 옵션들이 자리를 고 있는데, BCLK를 100MHz 가깝게 맞추기를 원한다면 SOC BCLK 스프레드 스펙트럼 옵션을 비활성화하면 도움이 됩니다.



인텔 XTU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트위커스 패러다이스에서 언더볼트 프로텍션도 활성화해야 합니다.



최대 캐시 배수의 경우 39~40배수 정도가 적당하며, NGU 배수는 인텔 200S 부스트와 같은 32배수, D2D 배수도 인텔 200S 부스트와 같은 32배수로 설정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전압 설정인데 코어별 전압은 위에서 각각 설정했기 때문에 여기서 특별히 변경해야 하는 부분은 없습니다.

메모리 오버클러킹을 위해서는 메모리 컨트롤러 전압과 DRAM VDD 전압, VDDQ 전압을 조절합니다. 보통 고성능 XMP 메모리의 경우 1.35~1.45V 정도의 전압이 적용되는데, 저는 점수 놀이가 아닌 이상 저전력, 저발열, 고효율을 추구하기 때문에 메모리 컨트롤러는 1.2V, DRAM 전압은 1.25V로 설정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부팅 후 우선 오버클러킹 설정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해봅니다.

CPU-Z를 통해 CPU 터보 부스트가 최대 57배수, 메모리는 DDR5-8000, 캐시 (링, 언코어) 클럭은 40배수까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인텔의 전용 소프트웨어인 XTU (Intel Extreme Tuning Utility)를 이용하면 바이오스가 아닌 윈도우에서 실시간으로 배수, 전압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코어별로 적당한 값을 찾기 쉽습니다.

저는 고클럭 코어인 0번과 3번을 57배수로 조절하고 코어별로 적당한 오프셋 전압 값을 찾았습니다.


HWiNFO64를 통해 각 코어별로 클럭이 잘 들어가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를 DDR5-8000으로 오버클러킹하고 타이밍을 적당하게 수정한 결과입니다.

순정 DDR5-6400 셋업에 비해 읽기, 쓰기, 복사 뿐만 아니라 레이튼시도 크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메모리 성능은 게임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에도 영향이 꽤 크기 때문에, SK하이닉스의 고성능 모듈을 구해 가급적 높은 클럭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먼저 빠른 안정성 테스트를 위해 시네벤치 R23을 이용했습니다.

시네벤치 R23은 빠른 성능 확인이 가능하지만 안정성 테스트 면에서는 2024 버전에 비해 다소 부족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오버클러킹 세팅을 확인하기 위해 1차적으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시네벤치 R23에서 안정성이 확인되었으면 다음으로 시네벤치 2024를 이용해 보다 확실하게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시네벤치 2024를 이용하면 성능도 함께 비교할 수 있는데, 위 설정의 경우 싱글 코어 149점, 멀티 코어 2050점으로 싱글 코어는 285K와 동급, 멀티 코어는 265K와 285K의 사이 정도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네벤치 2024 다운로드: 바로가기



멀티 코어 테스트를 최소 테스트 시간 30분 이상으로 설정해서 진행하며, 제가 앞에서 한 것처럼 싱글 코어 부스트까지 별도로 설정했다면 멀티 코어 테스트와 별도로 싱글 코어 테스트도 추가로 진행해야 합니다.

시네벤치 2024를 30분 이상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면 해당 오버클러킹 설정은 대체로 안정화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시스템 안정성이 중요한 환경이라면 추가적인 도구, 실사용 테스트를 더 진행해 안정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같이 CPU, 메모리, 캐시 (링), NGU, D2D를 전체적으로 오버클러킹하면 5~10% 정도의 성능은 어렵지 않게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전압과 파워까지 적당하게 설정했다면 멀티 코어 성능은 조금 떨어지더라도 효율은 매우 올라갑니다.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한다고 판단된다면 이제 향상된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의 성능을 즐길 시간입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체험단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외부 체험단 프로의 모습으로 돌아온 SOUNDPEATS Air5 Pro 노이즈캔슬링 무선이어폰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울트라5 시리즈2 245K + ASUS Z890 AYW GAMING WIFI W 코잇 사용기 01
외부 체험단 가장 대중적으로 선택받을 수 있는 인텔 CPU! 인텔 코어 울트라5 시리즈2 245K(1부)
외부 체험단 인텔코어울트라9 시리즈2 285K 게이밍PC 세팅하기 (1)
다나와 체험단 게이밍 마우스 추천, 하이퍼엑스 펄스파이어 사가 프로 커스텀까지 가능! (1)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Ultra 9 285K와 ASUS ROG MAXIMUS Z890 HERO를 이용해 AI 성능을 높여보자! (1)
외부 체험단 ABKO MG10A 3모드 마그네슘 합금 초경량 게이밍 마우스 (블랙) (1)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Ultra 5 프로세서 245K + ASUS Z890 AYW GAMING WIFI W...리뷰!!! (1)
외부 체험단 더 빠르게! 인텔 코어 Ultra 5 245K + ASUS Z890 AYW GAMING WIFI W (1)
외부 체험단 최신 인텔® 코어™ Ultra 5 245K에 ASUS Z890 AYW 메인보드 구성 리뷰 (2)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울트라 7 265K 리뷰: 오버클러킹 및 최적화 (2)
다나와 체험단 마이크로닉스 WIZMAX 오닉스 PC 케이스 리뷰 (2)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Ultra 7 프로세서 265K + ASUS PRIME Z890-P-CSM 사용기 1차 (2)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울트라 7 265K CPU와 ASUS PRIME Z890-P-CSM 메인보드의 조합 (2)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울트라7 시리즈2 애로우 레이크 265K와 ASUS PRIME Z890-P-CSM 리뷰 1주차 (2)
외부 체험단 디아만테 자동차가죽시트코팅제 유리막코팅 수준이네요 (2)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울트라5 시리즈2 245K (feat. ASUS Z890 AYW) (2)
외부 체험단 초경량 8K 무선 게이밍마우스, 지클릭커 슈퍼히어로 OP200 르캄프 MASTER 써보니 (3)
외부 체험단 스트림덱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더하다! 엘가토(Elgato) XLR Dock (2)
외부 체험단 인텔 코어 울트라 265K, Asus Prime Z890-P-CSM 메인보드 사용후기 (1)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