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장치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NAS는 이름의 의미 그대로 네트워크에 상시 연결되어 있는 장치로 어디서든 접속해서 파일을 저장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고,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접속해서 파일을 공유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NAS의 사용자가 상당히 많아지고 있다. 예전에는 특별한 몇몇 사용자들만이 NAS를 사용했다면 요즘에는 사무실, 회사, 개인등 그 사용자풀이 많이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NAS의 사용자가 많아지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몇가지를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개인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장비가 많아졌다. 예를들어 1개의 엑셀 파일을 집에 있는 PC, 스마트폰, 아이패드, 사무실PC 등 다양한 기구에서 접근이 필요해진 것이다. 두번째로 NAS의 기능이 좋아지면서 예전에는 복잡한 서버용 PC를 따로 설치해야 했다면 최근에는 간단한 NAS의 설치만으로도 서버와 버금가는 기능 - 백업, 데이터 공유, 파일 서버 -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NAS는 한번 사용해본 사용자라면 NAS가 없는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할 정도로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오늘은 이러한 NAS들 중에서도 개인 사용자와 소규모 사무실에서 사용하기 좋은 가성비 NAS에 대해 소개해 보려고 한다.
ASUS가 만든 가성비 NAS - ASUSTOR DRIVESTOR 2 Lite (AS1102TL)
ASUSTOR 브랜드명은 ASUS와 Storage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용어로 ASUS에서 제공하는 NAS 서비스 브랜드이다.
이러한 ASUSTOR 브랜드에서 NAS를 시작하는 사용자들, 그리고 가성비 좋은 NAS를 경험해보고 싶은 사용자들을 위해서 출시한 모델이 바로 DRIVESTOR 2 Lite (AS1102TL) 모델이다. 그렇다면 DRIVESTOR 2 Lite가 어떠한 모델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DRIVESTOR 2 Lite (AS1102TL)는 3.5인치 SATA HDD 2개가 장착 가능한 2 Bay 모델이다. AS1102TL의 주요 하드웨어 스펙은 다음과 같다.
-
쿼드 코어 1.7GHz CPU - 리얼텍 RTD1619B
-
1GB DDR4 램
-
2개의 드라이브 베이 - 3.5인치 SATA HDD
-
1개의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 (100M / 1000M)
-
1x USB 3.2 Gen 1, 1x USB 2.0 포트
위 스펙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NAS는 NAS의 핵심 성능을 정확히 챙기면서 소규모 오피스나 개인용 NAS를 설치하려는 사람들에게 최적화가 되어 있는 제품이다. 특히 4K 비디오 코딩과 Btrfs포맷을 통해 데이터 백업을 위한 스냅샷 기능을 지원한다는 점도 눈에 띈다.
ASUSTOR DRIVESTOR 2 Lite (AS1102TL) 설치하기
그렇다면 실제로 DRIVERSTOR 2 Lite를 설치해보면서 이 제품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1. DRIVERSTOR 2 Lite 외관 살펴보기
AS1102TL은 위와 같이 깔끔한 박스에 포장되어서 배송된다.
박스를 열어보면 구성품은 다음과 같이 DRIVESTOR 2 Ltie 본체, 전원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랜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제품의 전면에는 NAS의 상태를 알려주는 LED 인디케이터와 USB 3.2 Gen 1 USB 포트가 위치해 있다.
제품의 후면에는 USB 2.0 포트와 100M/1000M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 그리고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연결 케이블이 위치해 있다.
기가비트 이터넷 포트는 랜케이블을 통해 유무선공유기와 연결하게 된다.
2. DRIVERSTOR 2 Lite 설치 과정
다음으로 실제 AS1102TL을 설치 하는 과정을 살펴 보도록 하자.
NA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NAS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HDD를 설치해 주어야 한다. 이 제품의 경우 NAS를 처음 사용해보는 사용자도 쉽게 NAS를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 과정이 간단하게 되어 있다.
HDD 설치를 위해서 먼저 후면의 상단, 하단에 있는 나사를 돌려 열어준다.
상,하단의 나사를 제거풀어주면 위와 같이 NAS의 측면 케이스가 분리가 된다.
이제 오른쪽 측면부에 HDD를 연결해주면 된다. 연결부는 SATA 방식으로 HDD를 안쪽으로 부드럽게 밀어 넣어주면 채결되는 방식이다.
3. DRIVERSTOR 2 Lite 설치 - HDD
이번에 조립에 사용한 HDD는 웨스턴 디지털의 RED Plus 2TB 제품을 사용했다.
Asustor NAS의 경우 자유로운 HDD 선택이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특정 회사의 HDD만을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을 두는 NAS들도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이렇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HDD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 되는 상황이다.
웨스턴 디지털의 NAS용 HDD의 경우 NAS용 하드중에서도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HDD이다.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평균 무장애 시간)이 1,000,000시간 이상으로 안정성이 검증되어 있으며 연중무휴 풀가동을 전제로한 극단적인 조건에서 설계, 테스트가 되었기 때문에 NAS 사용자들 중에서는 믿고 사용하는 제품중 하나이다.
4. DRIVERSTOR 2 Lite 설치 - HDD 조립
하드 조립은 위와 같이 하드를 NAS 안으로 끝까지 밀어 넣어준 후 측면의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을 시켜주면 된다.
하드의 고정이 완료되었다면 제품을 측면 커버를 다시 덮고 후면 나사를 결합해주면 HDD 조립이 완료된다.
DRIVERSTOR 2 LITE의 경우 이러한 하드 조립이 매우 간편해서 NAS 초보자들도 쉽게 조립이 가능하다.
5. DRIVERSTOR 2 Lite 설치 - 전원 연결, 공유기 연결
NAS의 HDD 조립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NAS에 이더넷 케이블을 연결하고 해당 케이블의 반대쪽 끝은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무선 공유기의에 연결을 해주면 된다. 다음으로 전원을 연결하고 후방에 있는 전원 버튼을 눌러주고 어느정도 시간을 기다리면 NAS의 부팅이 완료된다.
모든 부팅이 완료되었다면 위와 같이 상대표시 LED에 불이 들어오면서 사용준비가 완료되었다.
ASUS의 가성비 NAS - DRIVESTOR 2 LITE | AS1102TL 정리
오늘은 가성비 NAS ASUSTOR, DRIVESTOR 2 LITE의 간단한 스펙 소개와 조립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개인적으로 한번 사용해보면 사용하기 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 생각하는 제품이 몇가지 있다. 이는 HDD에서 SSD로 변화, 모니터암 사용, 그리고 나머지 하나가 NAS의 사용이다. NAS의 경우 잘만 활용한다면 나스가 없는 일상생활을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말 편리한 기능을 제공해준다.
이번 DRIVESTOR 2 LITE는 ASUSTOR의 다나와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한달간 사용해보았으며 이후에는 이 제품을 통한 데이터 백업, 클라우드 서버 사용, FTP 서버 활용 방법등에 대해 정리해볼 예정이다. 이번 시리즈를 통해 많은 분들이 가성비 좋은 이 제품에 대한 사용을 시작으로 NAS에 쉽게 입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오늘 소개한 DRIVESTOR 2 LITE의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으니 참고 해보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