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tor의 DRIVESTOR 2 Lite는 ASUS에서 만든 가성비 NAS로 상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Network Attached Storage를 의미한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DRIVESTOR 2 Lite의 개봉기와 하드웨어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제 하드웨어 설치 이후에 이 NAS의 초기 설정 방법과 집이 아닌 외부에서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자. 혹시 지난 포스팅을 보지 않았다면 먼저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한다.
Asustor DRIVESTOR 2 Lite NAS 1탄 - 개봉 및 설치기
1. 컴퓨터와 DRIVESTOR 2 Lite 최초로 접속하기
Asustor의 DRIVESTOR 2 Lite와 컴퓨터와 최초 연결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DRIVESTOR 2 Lite를 공유기에 연결
지난 포스팅에서 이야기 했던 과정부터 시작해보도록 하자.
먼저 NAS에 HDD를 장착했다면 PC가 연결되어 있는 유무선 공유기에 DRIVESTOR 2 Lite (NAS)를 랜케이이블을 통해 연결해 준다.
2. Asustor에서 ACC (Asustor contorl center) 앱 설치
다음으로 아래 Asustor 공식 홈페이이제서 Asustor control center 앱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한다. 설치는 아래 링크를 이용해도 된다.
https://www.asustor.com/ko/service/downloads?product_id=85
위 링크를 접속하면 NAS와 관련된 여러 앱들이 있는데 이중에서 ACC 앱을 설치하면 된다.

위 앱을 설치하고 실행한다.
3. Asustor에서 ACC (Asustor contorl center) 앱 설치
ACC앱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 [초기화되지 않았습니다.] 라는 글씨를 클릭 한다.

[초기화되지 않았습니다] 라는 글씨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최초 사용 설정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최초 설정을 진행하도록 한다.
4. DRIVESTOR 2 Lite 최초 설정 실행
이제 페이지를 잘 보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설정들을 하면서 페이지를 넘겨준다.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아래와 같은 설정 페이지가 나오는데 이부분은 신경써서 기억해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NAS의 등록 아이디를 만들어 둔다. 나의 경우에는 아이디가 있어서 아이디를 입력했지만, 처음 사용한다면 아이디를 새로 만들도록 하자.
최종 설정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START 화면이 나온다.
5. 포트 설정
위 과정까지 설정이 끝난 이후에 NAS의 첫 화면에 들어가면 다시 한번 설정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너무 많이 알려져 있는 8000,8001 포트가 아닌 다른 포트 사용을 권장한다.

그래서 여기는 원하는 포트로 지정해주면 된다.
여기까지 진행후 [확인]을 눌러주면 1차 설정은 완료되었다.
2. DRIVESTOR 2 Lite 외부 접속 설정하기
위 과정까지 진행했다면 NAS에 대한 최초접속은 완료되었다. 그런데 NAS가 최대한의 본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집이 아닌 외부에서도 이 NAS에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 그래서 다음으로 DRIVESTOR 2 Lite의 외부 접속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아래와 같이 NAS에 접속하면 나오는 화면을 ADM이라고 한다. 이 ADM에서 [설정]을 클릭한다.

[설정] 화면이 나오면 [EZ-Connect] 메뉴를 클릭하고 [EZ Connect 활성화]에 체크한 후 [적용]을 눌러준다.
그러면 자동으로 외부 접속을 위한 설정이 진행된다.
설정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위 설정이 끝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 이제 클라우드 ID나 ADM 주소를 통해 어디서든 NAS에 접속할 수 있다.
3. 스마트폰에서 DRIVESTOR 2 Lite 접속하기
이 NAS의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에서 NAS에 접속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방법인 스마트폰으로 통해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자.
스마트폰에서 DRIVESTOR 2 Lite 나스에 접속하기 위에 플레이스토어에서 AiMaster 앱을 다운로드, 설치 한다.

앱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접속할 서버 정보가 나온다. 나스 설정화면에서 확인했던 클라우드 아이디와, 계정이름, 비밀번호를 입력해 준다.
이후에 로그인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스에 정상적으로 접속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RIVESTOR 2 Lite 초기 설정, 외부 접속 방법 정리
오늘은 Asustor의 DRIVESTOR 2 Lite의 초기 설정 방법과 외부 접속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오늘 내용까지해서 NAS를 설치중 가장 복잡한 과정인 초기 설정과 외부 접속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과정은 살짝 복잡해 보이지만 차근차근 한단계씩 따라하다보면 어렵지 않게 실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오늘 포스팅까지 접속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다음 포스팅 부터는 이 NAS를 통해 어떠한 작업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 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