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을 구입했는데 어디에 사용해야 하지...
고민해본적 있지 않나요 우선 데이터를 저장하고 하는데는 그래 저장장치니까 그럴 수 있어
그런데 가격이 저렴한것은 또 아니고...활용처가 많다고 하는데....제대로 활용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곤 하죠..최소한 이 기능만이라도 사용하자는 목적으로 ASUSTOR에서 출시함 NAS을 이용해서 스마트폰 앱 및 PC백업 기능을 이용하면 NAS의 기능 절반 이상은 활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NAS는 하드웨어 성능보다는 소프트웨어 성능이 90% 이상입니다.
하드웨어는 어차피 NAS제조사에서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텔칩셋이나 ARM 기반의 칩셋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딱히 특이점이라고는 할수 없지만 운영체제는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활용성 범용성 호환성 그리고 최근에는 앱 사용성까지 모두 포함이 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앱을 어떻게 잘 활용할 수 있고 NAS와 연계가능한 기능이 많은지가 제조사의 역량이라고 판단이 되는데요 하드웨어 성능은 그 어떤 기업의 브랜드보다도 높은 가치를 제공하고 최근에는 ADM 5.0 운영체제 업그레이드에 따른 안정성과 보안성이 매우 향상 되었다고 합니다...저도 ADM4.0 이후로는 정말 오랜만에 ASUSTOR NAS을 사용해보네요
아수스토어 NAS는 설정편을 1편에서 다루었죠...여기에서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것이 이지커넥터 활성화와 가입
그리고 마이아수스토어에 설정도 다 해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앱을 손쉽게 연결하고 외부에서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숫자 도메인 타이핑할 필요 없이 아이디와 주소만으로도 손쉽게 접근이 가능합니다. 중간에 아수스토어가 네이밍서버 역할을 도와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앱 설치는 모르겠다면 그냥 다 설치하네요..복잡하며 아수스토어 필수앱은 몽땅 설치...
3가지만 설치해볼 예정입니다.
aimaster / aifoto3 / aidata 이 3가지 앱만 설치하면 됩니다. 사실 이 3가지도 필요 없도 aifoto3 만 설치해도 됩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촬영된 사진과 영상을 자동으로 폴더별 기기별 일자별로 자동으로 백업을 해주는 기능입니다. 스마트폰에서 중요한것이 사진과 영상이니까요...
구글포토 / 아이클라우드 / 네이버클라우드 월정액 줄 필요 없이 무제한으로 백업이 가능합니다. 그것도 원본으로 말이죠
aimaster 전반적으로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앱입니다. ADM5.0 으로 업그레이드 된 이후에는 아이콘 형태로 PC에서 연결하는것과 동일한 화면의 UI 확인이 가능합니다.
NAS의 대부분의 설정과 앱 설치 관리를 관리앱에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필수는 아니지만 있다면 좋다 정도....
그리고 앞서 내부 NAS앱 모두를 설치하라고 했지만 포토갤러리를 설치해야만 aifoto3 앱 사용도 가능합니다.
PC에서 드래그만으로도 사진과 영상 업로드도 가능하며...
이는 바로 스마트폰에서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역으로 스마트폰에서도 사진과 영상을 실시간으로 ASUSTOR NAS로 백업을 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데이터에 대해서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가능한 AIdata 앱은 스마트폰의 윈도우 탐색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PPT자료라든지 엑셀 문서 대용량 파일 업로드 등 모두 가능합니다.
이렇게 3가지 앱만 사용해도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백업하거나 다운로드를 할 수가 있습니다. 다른 앱도 있기는 하는데 중복된 기능도 있고, 솔직히 사용성이 그렇게 좋지는 않아서 이 3가지 앱 사용을 필수 권장입니다.
다시 프로그램으로 돌아와서 NAS가 있는 사무실이나 집안에서 연결할때는 일반적인 네트웍크를 통해서 빠르게 연결이 가능하지만 자동으로 백업을 해주거나 아니면 외부에서 노트북이나 PC를 사용할때 관련 파일 및 데이터를 자동으로 동기화 해주는 기능을 사용해보겠습니다. 다른 프로그램 다 필요 없고 AES 이 프로그램 하나만 설치하면 됩니다.
NAS최초 설치시 설정해야 한다는 도메인 아이디 연결하고 계정 비밀번호등을 모두 기입하면 로그인이 됩니다. 최초 로그인시에만 설정에 따라 2-3분 정도 걸리고 이후에는 부팅과 동시에 연결이 됩니다.
여기서 선택해야할것이 다른 사용자들과 협업을 해야한다면 모드 데이터를 동일하게 동기화 아니면 단순하게 기기에서 NAS로 데이터를 백업만 해야 한다면 PC--->NAS방향으로 데이터 백업만 설정하면 됩니다.
보통은 메인 PC는 그대로 놔두고 노트북이라든지 외부 PC 직원PC의 데이터를 동기화 할때 많이 사용을 합니다.
이렇게 위치와 설정 폴더까지 모두 지정하면...
동기화를 멈추지 않는 이상 데이터를 변하게 되면 실시간으로 백업이 됩니다.
ADM3.0 부터 관련 기능을 사용했는데 ADM4.0 들어서면서부터 서서히 안정화가 되었고, 이번 ADM5.0 들어오니 대용량의 다양한 파일도 빠르게 동기화가 진행이 되는것도 확인했습니다.
속도와 최적화가 많이 좋아졌네요 초기 소프트웨어가 살짝 아쉬움으로 많이 남았는데 이번 ADM5.0 업데이트를 적극 권장했던것이 다 이유가 있었네요 그렇다 하더라도 새로 생긴 파일에 대해서는 동기화 하는 것을 추천하며...
최초 대용량의 파일과다수의 파일 백업은 직접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을 두고 한다면 ezsync 기능 사용도 좋기는 합니다만 권장은 아닙니다. ^^
-
아수스토어 AS1102TL NAS와 WD RED NAS 전용 하드디스크를 이용한 시스템에서의 NAS 활용하기 위한 팁이였습니다. 보급형 NAS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를 불러오고 백업하는데 있어서의 성능적인 체감이 크다고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
물론 보다 복잡한 작업이나 실시간 트랜스코딩같은 하드한 작업을 하는 경우라면은 이정도의 제품으로 적합하지는 않겠지만 5인 ~10미만의 기업이나 사무실 환경이나 개인의 대용량스토리지 활용성 측면에서는 전혀 불편함 없이 이용이 가능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최소한 스마트폰백업 기능만 이용해도 매월 납부하는 클라우드 월정액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품정보: https://smartstore.naver.com/dwasus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