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연테크 긱스타 GKG108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
주연테크 긱스타 GKG108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는 108키 레이아웃의 풀배열 키보드입니다. 윈도우와 맥을 완벽하게 호환하며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들을 다양하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습니다.
주연테크 긱스타 GKG108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는 제품과 함께 커버, C to A 케이블, 키캡&스위치 풀러, 페라이트 코어, 교체용 키캡, 여분 스위치 2개, 설명서가 들어 있습니다.
다른 부분들은 대부분 키보드 제품들과 차이가 없는데 특이하게도 페라이트 코어가 구성품으로 들어 있습니다. 페라이트 코어는 사용 환경에 따라 신호 간섭(노이즈)이 발생하거나, 전자파 간섭이 우려되는 경우에 케이블에 끼우는 건데요. 연결부와 가까운 위치에 장착을 하면 전자파 발생 지점에서 곧바로 억제할 수 있어 효과적입니다.
제가 리뷰하는 주연테크 긱스타 GKG108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는 화이트 컬러의 하우징 제품입니다. 화이트 컬러의 하우징에 화이트+그레이+레드 조합의 키캡이 기본 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폰트는 블랙과 화이트로 되어 있고요. 기본 구성품으로 동봉되어 있는 키캡을 활용하면 포인트 컬러들을 바꿔줄 수 있습니다.
주연테크 긱스타 GKG108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에 사용된 키캡은 한영 이중사출 PBT 키캡입니다. 이중사출로 폰트가 지워지지 않으며, 고품질 PBT 재질과 고급스러운 컬러감으로 만족스러운 사용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해 줍니다.
주연테크 긱스타 GKG108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는 블루투스와 2.4G 무선, 유선 연결 모드를 지원합니다. 2.4G 리시버는 키보드 좌측 하단의 높이 조절 받침대 부분에 동봉되어 있습니다. 혹시라도 키보드를 보관하거나 이동을 할 때 잃어버릴 염려가 줄어들겠네요. 반대편에는 키보드에 대한 정보들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주연테크 긱스타 GKG108의 전원 스위치는 Caps Lock 키캡 아래에 위치해 있습니다. 겉으로 봤을 때는 티가 나지 않기 때문에 깔끔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스위치를 켤 때마다 키캡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도 동시에 있습니다. 이 부분은 선호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단점이라고 하기에는 그렇지만, 제가 선호하는 방식은 아닙니다.
주연테크 긱스타 GKG108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는 수직으로 떨어지는 미니멀한 실루엣으로 불필요한 곡선을 배제한 정직한 직각 형태의 디자인을 하고 있습니다. 상부와 측면이 깔끔하게 수직으로 이어지는 구조는 단정하면서 정제된 미니멀리즘을 구현했다고 합니다.
상부의 하우징 표면 질감과 하부 하우징의 세 가지 질감은 디자인과 함께 조화를 이루었는데요. 덕분에 시각적인 효과는 물론, 고급스러운 촉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해 줍니다. 그리고 LED 효과는 전면뿐 아니라 키보드 측면에도 있어 은은한 간접조명 효과를 줍니다. 덕분에 실루엣이 강조되기도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컨으로 LED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키보드의 디자인은 깔끔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포인트라고 한다면 인디케이터 부분이 메탈릭 커버로 디자인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메탈릭 인디케이터 커버를 적용해 한층 세련되면서도 완성도 높은 디자인을 완성했는데요. 상태를 표시하는 기존 방식보다 훨씬 깔끔한 느낌이 듭니다.
주연테크 긱스타 GKG108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는 HMX 선셋 저소음 리니어 스위치와 HMX 몽돌 리니어 스위치로 나눠져 있습니다. 두 가지 유형의 스위치가 하우징에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는데요. 여러 층의 흡음 소재를 균형 있게 배치해 안정적인 타건감을 제공해 줍니다. 5가지 종류의 흡음재는 통울림과 잡음을 최소화해주며, 12개의 실리콘 가스켓 마운트는 일관된 타건감과 균일한 사운드, 부드러운 타건감을 제공해 줍니다.
HMX 선셋 저소음 리니어 스위치가 장착된 주연테크 긱스타 GKG108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를 타건해 봤는데요. 전체적으로 적은 소음으로 조용한 공간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드러운 타건감으로 인해 크게 힘이 들지 않은 상태에서도 타이핑이 가능했는데요. 혹시라도 키보드를 두드리듯 타건하시는 분들의 경우에는 처음 사용 시 오타가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응만 된다면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편하게 타이핑하기 좋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