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달동안 Asustor의 DRIVESTOR 2 Lite 나스를 사용해 보았다. 많은 사람들이 주로 나스를 처음 구매하는 용도는 아마도 대용량의 데이터 - 영상, 사진, 프로젝트등-의 저장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나스를 좀더 사용하다 보면 정말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된다.
오늘은 Asustor의 DRIVESOTR2 Lite 나스를 기준으로 개인 사용자가 사용하기 좋은 나스의 다섯가지 활용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자.
1. 스마트폰 용량 부족 해결 - 사진, 영상 저장 서버
첫번째 용도는 아이폰이나 갤럭시 스마트폰의 사진과 영상 자동 백업용 서버이다. 요즘 스마트폰들은 고화질을 지원함에 따라 사진이나 영상이 용량이 정말 커졌다. 그러다 보니 스마트폰의 용량이 부족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이럴때는 Asustor의 나스의 사진 자동 백업 기능을 활용하면 좋다.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이폰의 앱스토어나 갤럭시의 플레이스토어에서 aifoto3를 다운받은후 asustor의 DRIVESTOR2 Lite에 연결해두면 스마트폰이 WiFi에 접속될때 새로 찍은 사진이나 영상이 자동으로 나스에 백업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sustor의 나스를 활용하면 스마트폰의 사진, 영상 백업 기능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의 용량 부족 문제를 손쉽게 해결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자세한 설정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보도록 하자.
2. 언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한 외장하드로 - WebDAV 기능
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라는 이름 뜻 그대로 네트워크에만 연결되어 있다면 어디에서든 저장 장치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Asustor의 WebDAV 기능을 활용하면 언제서든 탐색기를 통해 내 NAS에 접근이 가능해서 정말 손쉽게 외장하드로 활용이 가능하다.
Asustor의 DRIVESTOR2 Lite NAS를 WebDAV를 통해 연결해 놓으면 아래와 같이 탐색기에서 내 나스로 바로 연결이 가능하다.
해당 드라이브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내 나스에 있는 폴더에 바로 접근할 수 있어서 외장하드를 굳이 들고 다니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내 파일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WebDAV 기능을 통해 나스를 탐색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확인해 보도록 하자.
3. 여러대의 컴퓨터에서 파일을 최신으로 유지하기 - EZ Sync 클라우드 서버
만약 여러명의 사람이 파일을 공유하는데 이 파일들을 최신으로 유지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또는 한 사람이 집, 사무실, 스마트폰에서 작업을 하는데 3대의 기기에서 모두 최신의 파일을 유지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럴때 가장 좋은 파일 처리 방법이 바로 클라우드 서버이다.
클라우드서버는 특정 파일을 여러대의 컴퓨터에서 저장하는데 한 컴퓨터에서 파일이 업데이트되면 나머지 클라우드로 공유되어 있는 컴퓨터에서도 파일이 업데이트되는 공유 방식이다.
아수스토어의 나스를 활용하면 이러한 클라우드 서버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아수스토어에서는 이러한 클라우드 서버를 EZ Sync Manager로 구성이 가능하다. EZ Sync Manager로 클라우드 서버를 구성하고, 클라우드 기능을 사용할 PC EZ Sync앱을 설치하면 아래와 같이 탐색기 상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EZ Sync 클라우드 서버를 기능을 활용하면 여러대의 컴퓨터에서 항상 최신 버전의 파일의 공유가 가능하며, 여러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파일을 보내주거나 받는 과정 없이 항상 새로운 파일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EZ Sync 기능을 활용한 클라우드 서버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보시길 바란다.
Asustor나스 DRIVESTOR2 Lite 클라우드설정
4. FTP 브라우저, FTP 서버 활용
Asustor의 나스는 파일 전송 전용 프로토콜인 FTP 부분에서도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다양한 활용이라고 설명하는 이유는 DRIVESTOR2 Lite의 경우 다른 FTP 서버에 접속하는 브라우저로도 활용할 수 있고, 반대로 FTP 서버를 열어서 다른 단말기에서 접속하도록 하는 서버로도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첫번째로 Asustor의 나스는 외부 FTP 서버에 접속하는 브라우저로 활용이 가능하다. ADM의 App Store에서 FTP Explorer를 설치하면 아래와 같이 다른 FTP 서버에 접속을 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대용량 파일 전송을 위해 FTP를 사용할 경우 컴퓨터를 끄더라도 나스에서 해당 파일을 계속 주고 받도록 설정이 가능한 것이다.
두번째로 ADM상에서 FTP를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FTP 서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해당 기능은 ADM의 서비스 메뉴에서 FTP나 SFTP 기능을 활성화 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SFTP를 프로토콜을 활성화 해주면 FileZilla와 같은 FTP 전용 프로그램으로 내 나스에 접속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내 나스를 FTP로 파일을 주고 받은 FTP 서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FTP프로토콜을 활성화 하고, FileZilla를 통해 나스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보시길 바란다.
5. 동영상을 가지고 다닐 필요 없게 - 나스를 미디어 서버로 활용하기
DRIVESTOR2 Lite는 10비트 4K H.265 하드웨어 디코딩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내 나스에 있는 영상을 언제든 스마트 기기에서 스트리밍이 가능하다. 그래서 내가 만든 영상이나 영화와 같은 동영상을 가지고 있다면 이 파일들을 항상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내 나스에만 넣어 둔다면 어디서든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ADM의 App Central에서 LooksGood 앱을 설치한 후 스마트폰의 AiVideo 앱에서 나스에 접속하기만 하면 된다.
내 나스에 동영상 파일을 넣어두었다면, 스마트폰의 AiVideo앱에서 나스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영상 재생이 된다.
이 DRIVESTOR2 Lite의 경우 하드웨어 디코딩을 지원하기 때문에 4K, 10비트 H.265 영상도 버벅임 없이 감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Asustor의 나스를 통해 미디어 서버를 구축해보는 것도 나스를 활용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Asustor DRIVESTOR2 Lite 가성비 나스를 활용하는 다섯가지 방법 정리
오늘은 개인 사용자가 나스를 활용할 수 있는 다섯가지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오늘 소개한 나스 활용 방법으로는 스마트폰 사진 백업, 네트워크 외장하드 사용, 클라우드 서버 구축, FTP 기능 활용, 미디어 서버-스트리밍 활용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실 Asustor 나스의 경우 오늘 소개한 5가지 방법 이외에도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데이터 백업과 USB백업 php 서버 구축이나 AFP 백업까지 정말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니 본인만의 사용 용도를 찾아보는 것도 좋을것 같다.
정말 가성비 좋은 나스, ASUSTOR DRIVESTOR 2 Lite
나의 경우에는 지금까지 정말 다양한 NAS등을 사용해 왔다. 정말 초창기의 넷하드부터 다양한 나스 전문 브랜드의 제품까지 여러가지 나스들을 사용해보면서 각 제품들의 장점들을 느껴본 경험을 토대로 생각해보면 이번에 사용한 ASUSTOR AS1102TL (DRIVESTOR 2 Lite)의 경우 정말 '가성비 좋은 나스'라는 이름이 딱 어울리는 것 같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도 나스의 필수 덕목들인 호환성, 보안, 저소음 등에 신경을 많이 쓴 부분이 눈에 띄었다. 특히 최근에 업데이트된 나스의 운영체제인 ADM은 초보 사용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잘 만들어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최근에 몇몇 나스 전문 브랜드들이 특정 저장장치만을 사용하도록 제한하는 것에 비해 다양한 저장장치를 사용해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것도 매력적인 부분이다.
나스를 시작해보고 싶다면
DRVESTOR 2 Lite는 가성비 높은 나스를 꾸리고 싶은 사람들부터 어느정도 전문성 있는 데이터 저장 솔루션을 찾는 사람들까지 다양하게 사용해볼 수 있는 시스템인것 같다. 만약 본인이 나스에 관심을 가지고 시작해보고 싶다면 오늘 소개한 Asustor의 제품들도 꼭 확인해보시길 추천하며 글을 마무리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