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IT GeForce RTX 5060 DUAL
RTX 50 메인스트림의 시작점
스팀과 같은 게임 플랫폼의 설문 조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류의 그래픽카드는 의외로 하이엔드가 아닙니다. GTX 1060 6GB나 RTX 3060과 같이 시리즈의 6의 성능을 가진 제품들이 대체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가격과 성능 모두 접근하기 좋은 위치에 있기 때문입니다. 성능을 추구한다면 이보다 높은 성능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현명하겠지만 그만큼 가격도 올라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적당한 성능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겠다고 한다면 이미 선택을 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게다가 그래픽카드의 체감 가격이 점차 올라가고 있기도 하여 너무 낮지도 너무 높은 가격대도 아닌 것을 선호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PALIT 지포스 RTX 5060 DUAL D7 8GB은 업계 최고의 고객 지원과 3년 무상 품질 보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엠텍아이엔씨에서 유통하는 제품으로서 2슬롯과 262mm의 콤팩트한 사이즈가 특징인 그래픽카드입니다. 같은 RTX 50 블랙웰 시리즈에서도 하이엔드 모델과 같이 거대한 쿨러와 3슬롯이나 차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모델이 나오고 있는데, 팔릿의 DUAL 시리즈와 같이 튜닝 요소를 최소화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에 구매할 수 있는 기본적인 모델도 출시는 것입니다.
제품 특징과 스펙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개봉 방지를 위해 봉인 스티커를 부착하였습니다. 겉박스를 제거하면 내부의 검은색 박스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유통사는 이엠텍으로 3년의 보증 기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는 보호를 위해 정전기 방지 비닐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제품 개봉
그래픽카드와 스티커, 품질 보증서가 구성품으로 제공됩니다.
제품 외형
팬과 커버, 백플레이트 까지 모두 블랙 색상을 사용하고 있으며 무광 처리가 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올블랙 슈라우드와 함께 백플레이트가 적용되었으며 다양한 시스템에 어울리는 심미성 높은 디자인이 적용되었습니다.
커버에는 8자 형태의 기하학적인 무늬가 추가되어 단순할 수 있는 디자인에 시각적인 흥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제품은 약 262.1mm 정도로 RTX 50 시리즈 기준으로도 콤팩트한 사이즈로 장착 호환성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는 사이즈라 할 수 있습니다.
백플레이트에는 쿨링을 위해 나뭇가지 또는 잎사귀를 연상시키는 패턴 무늬의 에어홀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다만 아쉽게도 백플레이트는 금속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하위 라인업 제품이라는 것과 원가 절감을 위함으로 보이는데 플라스틱이 금속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아쉽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백플레이트라는 것은 변함없기 때문에 휨방지 기능은 어느 정도 수행하기 때문에 없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쿨링팬은 95mm 2개가 사용되었으며 중앙에는 팔릿 로고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각 측면에는 쿨링을 위한 에어홀과 개방된 구조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를 장착하였을 때 보이는 것을 감안하여 지포스 RTX와 DUAL 같은 문구가 추가되었습니다. DUAL 문구 주변에는 유광 재질이 사용되었는데 하단에 작은 띠와 같은 형태로 조명 효과가 점등됩니다.
브래킷에는 벌집 형태의 에어홀이 추가되어 있으며 HDMI 2.1b 1개와 DisplayPort 2.1b 3개를 제공하고 있어 최대 4개의 디스플레이 연결이 가능합니다. 최대 8K 120Hz 해상도와 4K 480Hz 해상도를 지원합니다.
HDMI 2.1b는 기존 HDMI 2.1의 사양을 유지하면서 케이블 호환성 및 신호 안정성을 개선한 버전이며, DisplayPort 2.1b는 최대 대역 폭인 80Gbps를 유지하면서 긴 케이블에서의 신호 안정성 문제 개선과 특정 모니터와의 호환성을 높이는 등의 업데이트가 추가된 버전입니다.
그래픽카드는 2슬롯 형태로 상단이 PCB 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으나 미들타워 케이스를 사용한다면 호환성을 걱정할 정도는 아닙니다. 전체적으로 크기와 슬롯 모두 작은 편으로 저렴하면서 작은 크기의 RTX 5060을 찾는 사람에게 적합한 디자인입니다.
전원은 8핀 보조전원 1개를 사용하며 전원 커넥터가 중앙에 위치한 구조를 채택하였습니다. 이 경우 케이블이 그래픽카드 일부를 가려버리는 등 미적 요소 방해로 인해 아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0-dB TECH 팬 기술 적용되어 GPU 60도 이상, TGP 150W 초과할 경우 팬이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흔히 말하는 제로 팬 방식으로 이를 통해 쿨링팬 수명을 늘릴 수 있습니다. 과거 상위 모델에서만 사용되었으나 현재 보급형 그래픽카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이 되었습니다.
측면에는 작은 띠 형태로 RGB 조명이 점등되는데 소프트웨어인 썬더마스터를 통해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녹색으로 기본 점등됩니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인 썬더마스터는 단순하게 RGB 조명 효과를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하기도 하지만 오버클럭, 팬 제어, GPU 정보 표시 등 다양한 커스텀 설정이 가능합니다. 상단의 모니터링과 하단 세부 메뉴로 분류되며 한국어 지원을 하고 있으면서 인터페이스가 단순하 큰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GPU 클럭, 메모리 클럭, 전력 제한(Power Limit) 등을 조절하여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그래픽카드의 온도, 팬 속도, 전력 소모량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LED 조명 제어에서 조명의 색상, 밝기, 효과 등을 변경할 수 있으며, 그래픽카드의 모델명, 펌웨어 버전, 드라이버 버전 등과 같은 상세 정보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GPU-Z로 본 PALIT 지포스 RTX 5060 DUAL D7 8GB 이엠텍
GPU는 GB206가 사용되었으며 5nm 공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쿠다 프로세서는 3,840개이며 GDDR7 8GB 메모리를 사용하였습니다. 인터페이스는 PCIe5.0x16(at x8)이며 메모리 버스는 128-bit입니다. 전력 소모는 최대 145W이며 권장 파워는 정격 550W 이상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메모리는 기존 RTX 4060과 달리 GDDR7을 탑재하여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제품 테스트
본 리뷰에서는 오버클럭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오버클럭을 하면 성능 향상이 있는 것은 분명하나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를 상정하여 기본적인 상태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 테스트 시스템
Intel Core Ultra 5 245K
emTek REDBIT ICE 360 ARGB
ASUS Z890 AYW GAMING WIFI W
ADATA DDR5-5600 CL46 16GB x2
PALIT GeForce RTX 5060 DUAL
ENTIS EG 750W 80PLUS GOLD
imation Z971 M.2 NVMe (1TB)
Windows 11 24H2
· 벤치마크
3DMark Fire Strike
3DMark Fire Strike Extreme
3DMark Time Spy
3DMark Time Spy Extreme
3DMark Steel Nomad
Geekbench 6 GPU Benchmark(OpenCL, Vulkan)
※알림※
본 리뷰에서는 성능 비교를 위해 다른 CPU 등록 데이터를 일부 벤치마크에서 활용하였습니다.
※측정 결과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DMark 벤치마크 기준 지포스 RTX 5060은 이전 세대인 RTX 4060 대비 평균 약 30% 내외의 성능 향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레이트레이싱 성능의 경우 RTX 4060 TI 8GB와 비교해도 좋을 정도였습니다. 벤치마크는 포트로얄을 제외하면 대체로 RTX 4060 TI 8GB 보다 약간 또는 어느 정도 여유가 있을 정도로 높은 편이었습니다.
RX 7600과 RX 7600 XT와 비교에서는 진행한 모든 3DMark 벤치마크에서 큰 폭으로 앞서고 있었습니다. 특히 트레이싱 성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평가해도 좋을 정도로 준수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이미 유명한 이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8GB의 VRAM은 더 이상 고해상도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2013년 출시된 GTX 타이탄이 당시 6GB 대용량 VRAM을 탑재한 괴물 그 자체였지만 현재 GTX 16시리즈와 같은 보급형 모델에서 사용하는 용량이 되었습니다. 게임에서 요구하는 VRAM이 늘어난 만큼 고사양 게임이나 고해상도 환경에서는 결코 좋은 인상을 줄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또한 앞서 살펴 본 GPU-Z에서 RTX 5060의 인터페이스는 PCIe 5.0 x8이었습니다. 이는 메인보드에서 PCIe 5.0을 지원하고 있다면 문제 될 것이 없지만 현재 판매되는 일부 보급형 모델의 경우 PCIe 4.0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성능 저하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물론 PCIe 4.0에서의 성능 하락이 그렇게 큰 편은 아니라는 말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PCIe 대역폭 문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3DMark 외에도 긱벤치 6 GPU 벤치마크를 사용해 성능을 비교하였습니다. 긱벤치 GPU 벤치마크는 OpenCL과 Vulkan이 있는데 이 두 가지 벤치마크에서 RTX 4060 TI 8GB 보다 약간 낮거나 조금 앞서고 있어 게임 성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GPU 컴퓨팅 작업에서도 이전 세대 60TI 모델과 견줄만한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바이오하자드 RE4의 경우 레이트레이싱은 지원하나 DLSS 옵션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레이트레이싱을 끈 상태보다 프레임이 낮게 나왔습니다. 하지만 FHD 기준이지만 충분히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의 프레임이 나왔습니다.
몬스터헌터 와일즈는 RT & DLSS 미적용 상태에서 평균 69 프레임, 1% Low 45 프레임으로 일부 구간에서 프레임 저하를 체감할 수 있었으나 레이트레이싱과 DLSS 및 프레임 생성과 같은 옵션을 활용할 경우 프레임이 크게 상승하게 되어 고사양에서도 부드러운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사이버펑크 2077은 DLSS를 적용하면 레이 트레이싱을 켜고도 평균 프레임이 137fps로 상승하였으며, 1% Low 프레임도 99프레임으로 100에 가깝게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RTX 5060은 FHD 게이밍 환경에서 가격 대비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고해상도나 높은 VRAM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성능 하락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아쉬움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엔비디아가 여러 기술을 사용해 프레임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선보이고 이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보완이 가능하다 평가할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럭은 사이버펑크 2077을 약 10분간 구동한 것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평균 부스트 클럭은 2,676.9 MHz으로 스펙 상의 부스트 클럭 보다 훨씬 높은 클럭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Palit DUAL 모델의 쿨링 설루션이 GPU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내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래픽카드의 전력 소모는 GPU-Z의 보드 전력 소모량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유휴 상태에서 10.5W, AIDA64, 퍼마크, 사이버펑크 2077에서 각각 145.3~8W로 최대 전력 소모인 145W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전력 소모는 다나와 상품정보 페이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격 파워 550W에서도 사용해도 좋을 정도로 무난한 전성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온도 측정은 HWiNFO를 사용하였습니다. 풀로드 기준은 사이버펑크 2077을 10분 구동한 것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유휴 상태에서 약 38.3도로 확인되었으며 풀로드에서는 75.7도로 확인되었습니다.
50도 이하에서 팬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유휴 상태에서는 0RPM으로 팬이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풀로드에서는 2,131 RPM으로 최대 팬 속도는 알 수 없었으나 그보다는 낮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쿨링팬과 히트싱크 및 히트파이프 구조 등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온도는 매우 뛰어난 편은 아니지만 무난히 사용할 수 있는 정도라 할 수 있습니다.
쿨링팬 소음은 사이버펑크 2077을 구동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유휴상태에서는 팬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0데시벨이었으며 풀로드에서는 평균 36.4 데시벨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래픽카드뿐만 아니라 CPU 쿨러, 케이스 번들 팬, 파워 서플라이 팬과 같이 여러 요소가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체감은 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실제로 팬이 작동되는 것을 체감할 정도로 높아지기는 하였으나 그렇게 크게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마치며
블랙웰의 마지노선
엔비디아 지포스 시리즈에서 중간 숫자 6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으면 성능을 크게 기대하지 않고 반대로 이보다 높으면 기대하기도 합니다. 여기에 가격대 또한 접근하기 좋을 정도로 높지 않기 때문에 게임을 생각한다면 주로 이 정도 등급의 그래픽카드를 많이 선택하기도 합니다. 물론 이전에 비해서 가격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이건 다른 상위 모델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픽카드와 같은 PC 부품은 제품이 아무리 좋아도 유통사에 따라 호불호가 갈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엠텍은 오래전부터 큰 문제 없이 준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통사로 자리 잡고 있어 다른 건 몰라도 이엠텍 유통 제품이라는 것 하나만 보고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도 적잖이 있습니다.
PALIT 지포스 RTX 5060 DUAL D7 8GB는 팔릿의 하위 모델인 DUAL 시리즈로 분류되며 95mm 팬 2개와 2슬롯 방식 그리고 콤팩트한 사이즈로 요즘 그래픽카드 기준 작은 편입니다. 여기에 제로팬, 작지만 조명 효과가 제공되며 오버클럭과 조명 제어 및 모니터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썬더마스터까지 사용할 수 있어 좋습니다. 다만 백플레이트가 제공되지만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어 금속 소재 제품 대비 좋은 편은 아닙니다.
PALIT 지포스 RTX 5060 DUAL D7 8GB의 최대 전력 소모는 145W로 설정되어 있는데 덕분에 정격 파워 550W 정도만 되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즘 파워서플라이가 최소 600W 정도 시작하니 효율 인증을 받았거나 이에 준하는 효율을 제공하고 있다면 무난히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전원 커넥터가 측면 가운데에 위치해 선정리가 어중간해진다는 아쉬움도 있습니다.
RTX 4060에서는 GDDR6을 사용하였지만 RTX 5060에 이르러 GDDR7을 탑재하여 성능 향상을 이루었으며 128-bit 메모리 버스의 한계를 뛰어넘는 높은 대역폭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3DMark와 긱벤치 6과 같은 벤치마크에서 확인할 수 있었는데 RTX 4060뿐만 아니라 RTX 4060 TI와 비교해도 근접하거나 약간 높은 점수를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8GB 메모리라는 한계점이 분명하기 때문에 고해상도 고사양 게임에는 그렇게 적합하지 않다는 것도 있습니다.
· 좋아요
이엠텍 유통 제품
콤팩트한 사이즈
제로팬, 조명 효과, 소프트웨어 같은 편의성 제공
무난한 전성비
GDDR7 탑재
· 별로예요
플라스틱 백플레이트
중앙에 위치한 전원 커넥터
8GB VRAM의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