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이 코앞으로 다가온 계절이지만 컴퓨터가 여러 대 돌아가는 방의 온도는 아직 높습니다. 라이젠의 기본 쿨러인 '레이스프리즘'으로 겨우겨우 버티던 도중에 맥스틸의 MAX600 ARGB 쿨러를 협찬받아서 장착하고 온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듀얼 타워 공랭 쿨러라서 크기와 무게가 상당했으며 그와 함께 팬의 조용함과 착해진 CPU의 온도는 만족스러운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기쿨들의 소음은 유명하거든요.
MAXTILL MAX600 ARGB 듀얼타워 공랭 쿨러 살펴보기
기본 패키지는 흰 박스에 매우 단정합니다. 제공받은 제품은 MAXTILL MAX600 Black ARGB 제품입니다. 가성비 듀얼 히트싱크 CPU쿨러로 팬 포함 3년의 무상 보증 기간을 보장합니다.

패키지 내부의 포장은 흔들림 없이 완충제로 가득 찬 상태이며 배송 중 파손 걱정은 없을 것 같습니다.

맥스틸 맥스600 CPU 쿨러의 구성품은 'CPU쿨러, 인텔 백플레이트, 인텔 거치대 + 나사, 인텔&AMD 마운트 브라켓, AMD 거치대 + 나사, 써멀컴파운드' 입니다.
바르기 편한 형태의 써멀컴파운드 동봉이라서 따로 써멀구리스 구입하지 않아도 괜찮아 보입니다. 저는 AMD에 장착이라 인텔 마운트와 나사는 다시 박스에 넣었습니다.

ARGB 팬 2개와 듀얼타워 히트싱크 구성입니다.

측면에서 보니깐 두툼한 모습이 듬직하네요. 전체 길이는 154mm로 다양한 케이스에 호환이 가능합니다. 높이가 높아지면 그만큼 장착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의 폭이 좁아지거든요.

알루미늄 히트싱크 블랙 도색으로 단단하게 묵직한 느낌이 안정적입니다.

구리 100%인 여섯 개의 히트파이프는 CPU 접합부에 직접 밀착시켜 열전도율의 효율을 높였습니다. 최대 TDP 245W 성능을 구현하여 영상편집이나 고사양의 작업에도 안정적인 포퍼먼스를 제공합니다.

듀얼타워 CPU 쿨러는 조립 전에 미리 팬을 제거해야 장착이 편리합니다. 양쪽의 클립을 제거한 뒤에 ARGB 팬을 따로 분리했습니다.

쿨러를 제거한 상태에서 높이는 154mm이며 각 히트싱크의 폭은 40mm입니다. (쿨러 장착 시에 상단 폭은 130mm)

바닥에는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인데 장착할 때 "꼭!!" 해당 필름을 제거한 뒤에 설치해야 합니다.

120mm의 크기에 9개의 날개를 가진 고성능의 정숙한 LED 팬이 2개 장착된 형태입니다. 팬은 CPU의 온도에 따라서 600 ~ 1600RPM의로 작동합니다. 또한 앞뒤 모서리에 총 8개의 방진패드 부착이라 회전하면서 생기는 미세한 진동을 잡아줍니다.

5V ARGB 3PIN으로 메인보드에서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V ARGB가 아닌 12V RGB에 장착하는 경우 메인보드나 해당 제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CPU 공랭 쿨러 MAXTILL MAX600 ARGB 장착하기
기존에 사용하던 쿨러는 라이젠 CPU를 구입하면 번들로 제공하는 기본 쿨러 중 하나인 '레이스 프리즘'입니다. LED 모양이 예뻐서 나름 인기 있는 제품인데 성능은 기본 레이스 스텔스 쿨러와 거의 비슷합니다.
안 그래도 온도가 살짝 높아서 걱정했는데 케이스 먼지도 털면서 겸사겸사 교체를 진행했습니다.

서멀 페이스트는 깔끔하게 제거한 뒤에 양쪽의 걸쇠를 분리했습니다. 메인보드 뒤에 위치한 백플레이트는 그대로 사용하고 그 위에 AMD 거치대 -> 브라켓 순서로 올리고 AMD 나사로 고정을 하면 준비는 끝납니다.

기본 AMD 백플레이트 -> AMD 거치대 -> AMD 겸용 마운팅 브래킷 -> AMD 나사로 고정한 모습입니다. 브래킷에서 튀어나온 부분이 CPU 쿨러와 결합하는 부분입니다.

제공된 서멀 컴파운드를 적당히 바르고 듀얼타워 공랭 쿨러의 보호필름을 제거하여 마운팅 나사에 맞춰서 조립을 진행합니다.

나사는 양쪽을 조이면 됩니다. 다만 너무 힘줘서 꽉 조이는 경우 메인보드나 CPU에 대미지를 줄 수 있으니 마지막에는 손끝으로 드라이버를 살살 돌리는 것이 좋습니다.

정상적으로 장착된 모습입니다. 이제 분리했던 팬을 앞과 중앙에 맞춰서 부착해야죠.

120mm ARGB 팬 2개를 부착합니다. 이런 듀얼타워 공랭의 경우는 팬과 메모리의 간섭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기본 흑금치나 시금치 메모리의 경우는 거의 대부분의 공랭 쿨러 장착 시 문제가 없지만 방열판이나 LED 튜닝램의 경우는 높이가 높기에 앞의 팬의 살짝 올려서 장착하여 높이 문제를 피해 갈 수 있습니다.
맥스틸 맥스 600의 경우 기본 메모리와 간섭 없이 장착이 가능했고 튜닝램의 경우는 쿨러를 살짝 올려야 장착이 가능해 보입니다.

팬까지 모두 장착이 끝났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5V ARGB와 CPU_FAN에 케이블은 연결해 줍니다. ( 앞서 말했지만 12V RGB에 연결하면 안 됩니다. )

크기가 듬직하고 블랙 컬러라서 기존의 케이스와 잘 어울립니다. 이제 전원을 넣어서 LED 컬러와 온도 테스트를 해봐야죠.

레이스프리즘 쿨러도 LED는 예뻤지만 맥스틸 MAX600 ARG 제품도 기존에 장착된 LED 팬과 잘 어울립니다.

컴퓨터 케이스 측면의 강화유리 패널을 열어 가까이 촬영했는데 팬 성능이 더 좋아서 그런지 소음이 잘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아마 풀로드시 RPM이 올라가면서 어느 정도 소리는 들리겠지만 케이스에 장착된 기본 팬보다 조용할 것 같네요.

추가로 제가 사용하는 ASUS PRIME A520M-A II 메인보드에서는 Aura Sync 기능을 이용해서 다양한 LED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각 메인보드 제조사에 LED 꾸미는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정적, 브리딩, 성괌, 색 순환, 무지개 등 그리고 LED를 끌 수 있는 "어둡게" 기능 등 여러 가지 옵션으로 예쁘게 PC를 꾸밀 수 있으니 한번 사용해 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아래의 사진은 제가 사용하는 ASUS AURA SYNC에서 LED를 OFF 시킨 상태입니다. 프로그램에서 "어둡게"를 선택하면 팬의 LED가 꺼집니다.

MAXTILL MAX600 ARGB 온도 테스트
방안의 평균 온도는 28도로 따로 냉방 기기를 이용하지 않았습니다. 테스트는 5600G의 내장 그래픽을 활용한 사무용 컴퓨터에서 진행되었습니다.
CPU : AMD 라이젠5-4세대 5600G
쿨러 : MAXTILL MAX600 ARGB (블랙)
메인보드 : ASUS PRIME A520M-A II
메모리 : ESSENCORE KLEVV DDR4-3200
SSD : 마이크론 Crucial MX500
케이스 : 아이구주 VENTI C60
시네벤치 R23에서 10분간 테스트를 돌렸습니다. 싱글은 어차피 CPU 성능을 많이 안 쓰니깐 올코어 다 갈구는 멀티로 부하를 주면서 하드웨어모니터로 온도를 측정한 결과입니다.
평균 온도는 45.1도
최소 온도는 38.6도
최대 온도는 70.8도
레이스프리즘 쿨러를 이용해서 벤치를 돌렸을 때 80도 가까이 나오던 온도가 70도로 착하게 내려왔습니다. 또한 팬의 RPM도 최대 속도가 아닌 1102RPM으로 정숙한 소리로 안정감 있었네요.

AIDA64의 안정성 테스트를 10분 정도 돌렸을 때의 온도는 최대 57도로 나왔습니다.

다만 AIDA64의 온도 측정과 하드웨어 모니터상의 온도 측정이 조금 달라서 높은 온도로 나온 HWMonitor의 결과 이미지도 같이 첨부합니다.
평균 온도는 42.3도
최소 온도는 38.6도
최대 온도는 69.8도

번들로 제공되는 기본 쿨러 즉 기쿨은 소음이 크고 온도를 잡아주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기본으로 제공하는 제품이라 높은 성능을 기대하면 안 되는 부분이죠.
그래서 사제 공랭 쿨러를 이용하는데 이처럼 듀얼타워에 히트파이프가 6개로 열전도 효율이 높은 제품이 컴퓨터의 발열을 낮춰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거기에 소음이 적고 안정적인 ARGB LED로 원하는 컬러와 효과로 LED를 변경할 수 있기에 기능과 미적인 부분도 같이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작동 영상은 짧게 촬영했습니다. 방 내부의 소음이 있는 상태라서 소리는 음소거인 영상입니다. Aura Sync 기능으로 섬광과 단색 컬러 지정 등의 효과를 준 모습입니다.
맥스틸의 MAX600 CPU 공랭 쿨러를 살펴보고 장착하여 온도 테스트까지 진행해 봤습니다. 최대 TDP 245W의 성능을 구현하고 팬 포함 3년의 무상서비스 기간에 가격대비 성능을 갖춘 가성비 제품으로 ARGB LED까지 가성비 CPU 공랭 쿨러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