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외부 체험단

'읽기는 빠르게, 쓰기는 합리적으로', AGI AI818 M.2 NVMe (1TB) 리뷰

IP
2025.09.23. 21:55:58
조회 수
1343
4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이 사용기는 컴퓨존 체험단을 통해 제품을 무료로 제공받아 어떠한 간섭 없이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퀘이사존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 AGI(Agile Gear International)는 2018년 설립된 대만계 메모리 & 스토리지 브랜드로, SSD를 중심에 두고 SSD, DRAM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을 생산합니다. 이번 리뷰로 다룰 AGI AI818은 PCIe Gen4 x4 / NVMe 기반 M.2 2280 보급형 라인으로, QLC 낸드가 쓰이며 SLC 캐싱, 그래핀계 방열 라벨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1TB 제품 기준 읽기 약 4.7GB/s, 쓰기 약 2.8GB/s 의 속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현 시점 M.2 NVMe SSD 주류는 여전히 Gen4입니다. Gen5는 가격, 발열, 호환성 부담 등으로 아직 정착하는 과정이며, 제조사들은 QLC 낸드와 DRAMless + HMB 설계로 제조 단가를 낮추고 부팅, 게임 등 라이트한 사용 환경에서의 체감을 유지하는 전략을 씁니다. AGI AI818도 이런 흐름에 맞춘 선택지로, 읽기 비중이 큰 일반 사용 환경이나 게임 설치용 보조 드라이브 성격에 어울리는 제품입니다.


퀘이사존

AGI AI818은 Gen4 기반 엔트리(보급형) 라인업으로, 같은 구조의 Gen3 SSD 대비 부팅, 게임 로딩, 앱 실행 등에서 체감 향상을 노린 제품입니다. 모델 특성상 DRAMless 설계에 HMB와 SLC 캐싱, 그래핀 방열 라벨을 적용한 구성이며, 긴 연속 쓰기 구간의 실 성능은 아래 벤치 테스트로 확인하겠습니다. Gen4 SSD는 방열에 따라 성능 유지력이 달라지므로, 메인보드 M.2 히트싱크를 기본 장착한 상태에서 검증을 진행했습니다.


벤치마크는 단순 스펙 나열보다 실사용 체감에 맞춘 항목으로 구성했습니다. CrystalDiskInfo로 상태를 점검한 뒤 CrystalDiskMark 9.0(순차/랜덤, Q1T1 포함), AJA System Test(영상 워크로드), AS SSD, ATTO(블록 크기별 변화), 반디집 실사용 시나리오(다폴더/대용량 단일 파일), 나래온 더티 테스트(지속 쓰기·캐시 소진 후 거동)를 통해 초기 피크부터 지속 성능, 발열 및 쓰로틀링까지 전 구간을 살펴보고, 방열판 장착 시 최고 온도도 함께 기록해 실사용 안정성을 점검하겠습니다.


이제 AI818이 동급 Gen4 SSD나 Gen3 SSD 대비 어떤 차이 보이는지 테스트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제품 상세 정보


퀘이사존

요즘 SSD의 표준은 M.2 NVMe + PCIe 4.0 x4(Gen4)이고, AGI AI818 (1TB)도 이 구성을 따르는 보급 모델입니다. QLC 낸드와 DRAMless 설계로 제조 단가를 낮췄지만 HMB(Host Memory Buffer)로 메타데이터 접근을 보완해 일반적인 사무 환경이나 가벼운 게임 등 읽기 위주의 짧은 작업에선 빠릿한 반응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Gen4 슬롯에 장착하면 스펙에 근접한 순차 성능을 기대할 수 있으나, 동적 SLC 캐시가 소진되는 긴시간 연속 쓰기에서는 속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TB 기준 TBW 600은 일상용으로 적당한 내구성을 보여주며, 대용량을 장시간 연속으로 쓰는 백업이나 캡처 용도보다는 게임 설치나 사무용 보조 드라이브로 쓰면 가성비가 살아나는 타입입니다.







패키지 및 제품 외관


퀘이사존
퀘이사존

▲ 패키지는 화이트 바탕에 AGI 그린 & 블랙 컬러를 포인트로 쓴 심플한 구성입니다. 전면에는 제품 이미지와 함께 최대 속도(읽기 4,700MB/s, 쓰기 2,800MB/s)와 용량 1TB 배지가 있어 핵심 스펙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하단 아이콘으로 안정성·속도·품질을 강조했습니다. 후면에는 5년 보증 마크와 각종 인증 로고(KC 포함), 제조국(China)과 수입원 정보, 제품 규격 및 온도 범위가 정리되어 있어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퀘이사존

퀘이사존

▲ 내부 구성은 단출합니다. SSD 본체는 정전기 방지 비닐에 밀봉되어 투명 트레이에 담겨 있고,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설명서는 주의사항 위주로 정리돼 있습니다. 별도의 방열판이나 M.2 고정 나사는 포함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보호 포장은 깔끔한 편으로 이동 중 흔들림이나 정전기 대책을 갖춘 구성입니다.'

▲ M.2 2280 규격의 단면(싱글사이드) NVMe SSD로, 블랙 PCB 위에 AGI 로고가 들어간 검은 라벨이 전면을 덮습니다. 이 라벨이 제조사에서 말하는 그래핀(그래파이트) 방열 라벨로 보이며, 금속 방열판처럼 열을 크게 식혀 주는 부품은 아니지만 표면적을 넓혀 열을 옆으로 퍼뜨리는 역할을 해 가벼운 로드에서 몇 °C 정도 온도를 덜어주는 보조재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두께가 살짝 있는 편이지만 메인보드 히트싱크나 PS5 방열판과의 간섭은 없는 수준이고, 단면 설계라 노트북과 호환성도 좋습니다. 그래핀 방열 라벨 단독으로는 큰 효과가 없으니 메인보드 기본 M.2 방열판과 함께 장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퀘이사존

▲ M.2 2280 규격의 단면(싱글사이드) NVMe SSD로, 블랙 PCB 위에 AGI 로고가 들어간 검은 라벨이 전면을 덮습니다. 이 라벨이 제조사에서 말하는 그래핀(그래파이트) 방열 라벨로 보이며, 금속 방열판처럼 열을 크게 식혀 주는 부품은 아니지만 표면적을 넓혀 열을 옆으로 퍼뜨리는 역할을 해 가벼운 로드에서 몇 °C 정도 온도를 덜어주는 보조재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두께가 살짝 있는 편이지만 메인보드 히트싱크나 PS5 방열판과의 간섭은 없는 수준이고, 단면 설계라 노트북과 호환성도 좋습니다. 그래핀 방열 라벨 단독으로는 큰 효과가 없으니 메인보드 기본 M.2 방열판과 함께 장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퀘이사존

▲ 뒷면에 인증과 사양이 표시 된 라벨이 붙어 있습니다. 라벨 하단에는 'WARRANTY VOID IF REMOVED' 문구가 있어 임의 제거 시 보증이 무효가 됩니다. 전면의 블랙 로고 라벨과 대비되는 컬러의 인포 라벨이며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퀘이사존

▲ 우측의 컨트롤러는 리얼텍 Realtek RTS5772DL이며 좌측의 낸드는 칩 표기(29F 계열)로 보아 마이크론 계열의 3D QLC 패키지로 추정됩니다. RTS5772DL은 PCIe 4.0 x4를 쓰는 4채널 DRAMless 컨트롤러로, 시스템 메모리 일부를 빌려 쓰는 HMB(Host Memory Buffer)와 동적 SLC 캐시를 지원합니다. 부품 구성을 보면 '제조 단가는 낮추고, 일상 체감은 덜 느리게' 에 맞춰진 조합이라 부팅, 앱 실행, 게임 로딩처럼 짧게 읽고 쓰는 작업은 빠릿하게 느껴지고, 수십 GB 수준의 설치나 복사도 무난한 수준입니다. 다만 QLC + DRAMless 특성상 수백 GB를 한 번에 오래 쓰는 백업이나 영상 캡처처럼 장시간 연속 쓰기에서는 캐시가 소진된 뒤 속도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벤치 테스트


퀘이사존
퀘이사존

 ▲ 시스템 사양은 위와 같으며 메인보드의 모든 슬롯이 Gen4 x 4를 지원하지만 CPU 바로 아래 슬롯이 가장 빠른 Gen5를 지원하기에 리뷰 제품의 모든 성능을 끌어올 수 있다는 판단하에 해당 위치에 SSD를 설치해 주었습니다.


퀘이사존

 ▲ 케이스 전면에 시스템 쿨러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라 내부 쿨링은 그다지 좋지 않은 편입니다. 모든 테스트는 측면 유리 패널을 장착한 채 실사용 환경과 동일하게 진행했습니다.


퀘이사존

 ▲ 테스트는 위 표와 같은 순으로 진행했으며 온도는 모든 테스트를 거친 후 HWinfo64로 측정한 결과를 살펴 보았습니다. 



1. CrystalDiskInfo 9.7.0 x64

퀘이사존
▲ AGI AI818 (1TB)는 NVMe 1.4 규격이며 펌웨어 버전은 VF100C6B, 전원 켠 횟수 2회·사용 시간 0시간으로 사실상 신품 상태입니다. 기능 항목에는 S.M.A.R.T.과 TRIM 및 Volatile Write Cache가 표시되며, 아이들 기준 온도는 41°C로 측정되었습니다.



2. CrystalDiskMark 9.0 x64
퀘이사존


퀘이사존

▲ CrystalDiskMark 9.0.1(1GiB×5, NVMe)에서 AGI AI818은 순차 4,722/2,872MB/s(읽기/쓰기)를 기록해 Gen4 보급형 성능을 보였습니다. 랜덤은 4K Q1T1 75.5/213.8MB/s, Q32T16 969/711MB/s로 부팅, 앱 실행, 게임 로딩 에서 대기시간이 짧고 바로 열리는 느낌을 줍니다. 벤치 결과를 체감 성능으로 설명하자면 읽기 위주의 설치, 대용량 파일 복사 같은 순차 작업이 빠르고, 수십 GB 수준의 쓰기도 무난합니다. 다만 DRAMless, 동적 SLC 캐시 특성상 수백 GB를 연속으로 쓰면 속도가 내려가는 구간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합니다.



3. AJA System Test 12.5
퀘이사존

▲ AJA System Test(1080i, 10-bit YUV, 1GB)에서 AGI AI818은 읽기 약 3.7GB/s, 쓰기 약 2.7GB/s로 측정되었습니다. AJA는 실제 영상 작업처럼 파일을 쓰고 읽는 과정을 현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하므로, CDM보다 낮지만 체감에 가까운 수치가 나옵니다. 이 정도면 4K 편집 프리뷰, 스크래치 디스크, 대용량 소스 복사 등 연속 처리에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수치입니다. 다만 테스트 파일 용량이 커지거나 장시간 연속 캡처처럼 쓰기 비중이 큰 작업에서는 동적 SLC 캐시 특성상 속도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AS SSD Benchmark 2.0

퀘이사존
▲ AS SSD(1GB) 결과를 보면 순차 약 4.1GB/s 읽기, 2.7GB/s 쓰기를 기록했고 4K 단일 쓰레드 64.7/173.8MB/s, 접근지연 0.02ms대로 측정되었습니다. AS SSD는 보수적인 편이라 수치가 낮게 나오지만 체감으로 옮기면 윈도우 부팅, 앱 실행, 게임 로딩 등 에서 대기시간이 짧고 파일 열림이 빠른 편이며, 대용량 게임 설치, 영상 소스 읽기, 사진 대량 복사 같은 읽기 위주의 연속 작업에도 무난한 성능니다. 반면 쓰기 대역이 3GB/s 이하라서 4K 인코딩 파일을 장시간 캡처하거나 수백 GB를 한 번에 백업하는 경우에는 속도가 점차 떨어질 수 있고, QLC 기반의 DRAMless, 동적 SLC 캐시 특성상 잔여 용량과 온도에 따라 쓰기 성능 변동이 크다는 점은 단점으로 짚을 수 있습니다.




5. ATTO Disk Benchmark 4.01
퀘이사존

▲ ATTO Disk Benchmark(QD4, Direct I/O, 256MB) 벤치 결과입니다. 블록 크기 256KB 이상에서 읽기 약 4.4GB/s, 쓰기 약 2.7GB/s로 수렴했습니다. 작은 블록 구간에서는 쓰기 상승이 더딘 편이라 설치 파일처럼 잘게 쪼개진 쓰기 작업에서 대기시간이 약간 길 수 있지만, 128KB 이상 연속 전송에선 속도가 안정적으로 붙어 대형 게임 설치, 미디어 라이브러리 복사, 영상 소스 읽기처럼 큰 파일 위주의 작업에 알맞습니다. 이번 테스트 용량이 작아 SLC 캐시 안에서 측정된 점을 고려하면, 수백 GB를 연속으로 쓰는 백업, 장시간 캡처 환경에서는 캐시 소진 이후 쓰기 속도가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적당히 큰 파일은 빠르게 처리하고, 작은 파일 쓰기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처리하는 성향입니다.




6. 반디집 7.39 압축 및 해제 (56.5GB, 파일 1,226 폴더 36개)

퀘이사존

퀘이사존
▲ 반디집 실사용 테스트(폴더, 파일 혼합 56.5GB)에서 해제 1분 19초(≈0.72GB/s), 압축 1분 28초(≈0.64GB/s)가 나왔습니다. 해제는 읽기 비중이 커 드라이브 성능을 잘 반영해 대용량 압축 묶음도 금방 풀리는 편이고, 압축은 CPU 영향이 커 상대적으로 낮지만 1분대 초반이면 일반 작업에 충분합니다. 정리하면 AGI AI818은 설치, 복사, 대용량 압축 해제처럼 읽기 중심 작업에서 체감이 빠르고, 수십 GB급 쓰기까지는 무난합니다. 다만 QLC 기반 DRAMless, 동적 SLC 캐시 특성상 수백 GB를 연속으로 쓰는 백업, 이동에서는 중간에 속도 변동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하세요.




7. 반디집 7.39 압축 및 해제 (100GB, 파일 51개, 폴더 1개)

퀘이사존

퀘이사존

▲ 반디집 실사용(단일 폴더 100GB, 32개 파일)에서 해제 2분 16초(≈0.74GB/s), 압축 2분 44초(≈0.61GB/s)가 나왔습니다. 해제는 읽기 비중이 커 드라이브 실읽기 성능을 반영해 대용량 묶음도 기다림이 짧고 바로 풀리는 편이며, 압축은 CPU 연산과 지속 쓰기가 길어져 평균 속도가 더 낮게 잡혔습니다. 정리하면 100GB급 대용량 읽기, 복사, 압축 해제처럼 읽기 중심 작업에선 체감이 빠르고, 장시간 연속 쓰기에서는 QLC 기반 DRAMless, 동적 SLC 캐시 특성상 600~700MB/s대로 수렴하며 구간별 속도 변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8. 나래온 더티 테스트

퀘이사존
▲ 나래온 더티 테스트에서는 초반 pSLC 캐시 구간에서 약 3.2GB/s까지 빠른 쓰기가 되었고, 캐시가 포화된 뒤에는 QLC 영역에 직접 기록되며 150~250MB/s 구간이 길게 이어졌습니다. 중간에 잠깐 속도가 치솟는 구간은 내부 정리로 캐시 여유가 생길 때의 회복 구간이며, 전체 쓰기 속도 평균은 약 0.5~0.6GB/s로 수렴했습니다. 해석하자면 읽기 중심의 작업이나 수십 GB 쓰기까지는 체감이 빠르고, 수백 GB를 한 번에 쓰는 백업이나 장시간 캡처에서는 어느정도 사용 후 약 200MB/s 안팎으로 내려가는 구간이 항상 발생하게 됩니다. 빠른 쓰기 속도를 확보하려면 잔여 용량 15~20% 유지, 대용량 파일은 구간을 나눠 복사하기, 방열판을 사용해 온도 관리하기 정도가 있습니다.




9. 온도 측정(메인보드 방열판 사용) - HWinfo 64 v6.26
퀘이사존

▲ 벤치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HWinfo64에서 온도는 40~55°C 사이에 형성되었으며, 최고 55°C를 기록했습니다. Gen4 SSD에서 컨트롤러가 70°C 전후로 쓰로틀링이 생기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수치는 방열판만 장착한다면 충분한 여유가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즉, 기본 메인보드 방열판과 보통 수준의 케이스 풍량이면 실사용에 온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요약


퀘이사존




"이 사용기는 컴퓨존 체험단을 통해 제품을 무료로 제공받아 어떠한 간섭 없이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꿀박기 님의 다른 글 보기

1/7
체험단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외부 체험단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7 PS7-GPX850S5 풀모듈러 파워서플라이 (1)
외부 체험단 흔들림 NO 손쉽게 장착 3세대 차량용 리센 흡착식 핸드폰 거치대 후기 (1)
외부 체험단 데일리로 딱, 초경량 블루투스 헤드폰 등장 [필립스 TAH2209] (2)
다나와 서포터즈 4K 모니터 37인치 삼성 게이밍 모니터 삼성전자오디세이 G75F 커브드모니터 사용후기 (2)
외부 체험단 몬텍 PC케이스 MONTECH HS02 PRO BTF (2)
다나와 체험단 가성비 NVMe SSD 1TB 추천 화웨이 eKitStor Xtreme 200E 실사용 후기 (2)
다나와 체험단 국민메인보드의 진화, 최신 라이젠을 위한 MSI MAG B850M 박격포 WiFi추천이유 (2)
외부 체험단 크리에이터를 위한 프리미엄 SSD, LaCie SSD 서포터즈 2기 발대식 후기 (2)
다나와 체험단 메인보드 MSI B860M 박격포 WIFI 사용기 (2)
다나와 서포터즈 게이밍모니터 추천 고주사율 모니터 추천 27인치 QHD OLED 모니터 삼성전자 오디세이 G60SF (2)
외부 체험단 8D 입체음향을 느끼게 해주는 BOBTUNE 8D 올인원 게이밍 유선이어폰 리뷰 (2)
외부 체험단 애플 맥북 프리미엄 스토리지 라씨 서포터즈 발대식 갔다왔어요 (2)
다나와 체험단 가성비 SSD 추천 '화웨이 eKitStor Xtreme 200E M.2 NVMe 1TB' 괜찮은데? (2)
외부 체험단 레이저 조로(Razer Joro) 사용 후기 - 휴대성과 성능을 모두 잡은 블루투스 사무용 게이밍 키보드 (2)
외부 체험단 정말 9만원대 모니터의 성능이 이정도야? (2)
다나와 체험단 테크 감성 넘치는 PC케이스 추천, 싸이번 LIMPID SC-M5 PLUS BONITO Edition (2)
외부 체험단 핸드폰 태블릿 멀티충전기 추천, 오아 쁘띠차저 35W 2포트 초고속 미니 (2)
외부 체험단 <넾다세일> 27인치 가성비 게이밍 모니터 LG 27G411A 리뷰 (2)
다나와 체험단 5060 Ti추천 게이밍 그래픽카드 PALIT 지포스 RTX 5060 Ti INFINITY 3 D7 16GB 이엠텍 (2)
외부 체험단 앱코 A102 3모드 스탠다드 그립 게이밍 유무선 마우스 (2)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