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Ie 4.0 SSD의 보급이 활발해지고 어느덧 PCIe 5.0 시대에 접어들었는데요, 사용할 수 있는 보드가 한정적이긴 하지만 요즘은 왠만한 Z, X 보드, 심지어 B 보드까지도 PCIe 5.0을 적용할 수 있기에 메인스트림에서 하이엔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저층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삼성전자의 9100 Pro 8TB SSD를 소개해드리려고 하는데요, 성능은 기존 PCIe 4.0 대장급의 2배 정도 향상이 이루어졌고 방열판이 장착되어 히트싱크가 없는 메인보드에도 장착이 가능하며, 초슬림 디자인으로 PS5와의 호환성도 뛰어난 제품입니다.

전체 구성품은 히트싱크가 포함된 삼성 9100 Pro 8TB SSD와 설명서가 있고 유통사에 따라 상이할 수 있지만 별도의 조립 나사가 제공됩니다.


SSD 폼펙터는 PCIe 5.0 M.2 2280 규격이며, 용량은 8TB, 크기는 길이 80.15mm, 높이 25mm, 두께 8.88mm로 완벽에 가깝게 초슬림한 디자인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Ie 5.0 SSD는 발열이 4.0 제품대비 대체로 높은 편인데요, 5nm 컨트롤러가 탑재된 파워 아키텍처로 인해 990 Pro 대비 전력 효율이 최대 49%까지 향상되어 이정도의 초슬림 히트싱크로 성능 저하 없이 빠른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면 얼마나 쾌적한 작업이 가능할지 기대가 됩니다.


히트 싱크 디자인은 마치 스포츠카를 연상하기도 하는데요, 최근 F1 더무비를 인상깊게 봐서 그런지 레이싱카의 끝판왕급 포뮬러 원의 윙과 프레임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이에 맞춰 최대 읽기 속도는 14,800MB/s, 최대 쓰기 속도는 13,400MB/s로 현존 SSD 중에서는 F1 카라고 봐도 무방하겠네요.

무엇보다 외관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점은 히트싱크를 포함한 제품임에도 초슬림 디자인이 적용되었는다는 것인데요, 8.8mmT 두께의 바디 덕분에 다양한 메인보드에 호환됨과 동시에 PS5에도 장착이 가능하며, 특히 8TB 용량은 PS5에 장착했을때 호환성이 뛰어나서 상상만해도 넉넉한 용량덕에 마음이 든든해지는 기분입니다.
"조립 및 시스템 사양"


삼성 9100 Pro 8TB와 빌드한 시스템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스템 사양>
▪️CPU : Intel Core Ultra 9 시리즈2 285K (애로우레이크)
▪️MB : ASUS ROG MAXIMUS Z890 HERO
▪️RAM : G.SKILL DDR5-8000 CL40 TRIDENT Z5 RGB J 패키지 (48GB(24Gx2))
▪️VGA : XFX 라데온 RX 9070 XT SWIFT D6 16GB
▪️SSD : SAMSUNG 9100 Pro 히트싱크 NVMe M.2 SSD 8TB + imation PCle Gen4.0 Z971 1TB SSD
▪️PSU : 엔티스 EG 1000W 80PLUS 골드 풀모듈러 ATX 3.1
▪️COOLER : dark flash WAVE DH-360D ARGB

고가의 메인보드의 경우 대부분의 PCIe 5.0 슬롯에 두꺼운 히트싱크가 빌트인 되어 있을 수 있는데요, 이 제품은 히트싱크가 포홤된 SSD로, 만약 조립할때 간섭이 있다면 가이드를 제거하고 고정 홀더를 장착해 조립해줄 수 있습니다. 저도 테스트를 위해 기존 레일에 있는 히트싱크를 빼고 장착하였는데, 메인보드 호환성 및 히트싱크 유무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SD를 장착하고 부팅을 하게 되면 볼륨할당이 되지 않아 저장장치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는데요, 간단하게 작업표시줄의 윈도우 키를 우클릭하여 '디스크 관리'에 들어가게 되면 할당되지 않은 새로운 디스크를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를 통해 볼륨 할당 및 활성화를 시켜줄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8TB 용량을 정상적으로 할당하게 되면 약 7452.02GB의 SSD로는 가히 놀라울 만큼의 용량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용 소프트웨어, 삼성 매지션"

삼성의 SSD는 전용 소프트웨어, '삼성 매지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색 포털에 '삼성 SSD 소프트웨어'로 검색하거나 삼성 공식 홈페이지에서 경유해 들어갈 수 있으며 다운로드 받고 나서는 자동으로 시스템 저장장치를 인식해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해줍니다.




기본적인 기능은 시스템 모니터링 및 SSD 모니터링, S.M.A.R.T 시스템 점검, 퍼포먼스 설정, 벤치마크, 마이그레이션 등을 지원하며, 마이그레이션은 삼성 SSD끼리 사용이 가능합니다.
UI가 한눈에 보기 편하고 소프트웨어가 그리 무겁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모니터링을 하기에 불편함이 없고 최신 펌웨어를 통해 업데이트를 할 수 있으니 혹시 SSD에 이슈가 생겼을 경우에도 대처가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지션 자체에서도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해 현재 사용중인 제품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데요, 매지션에서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순차 읽기 속도는 10,932MB/s, 순차 쓰기 속도는 11,118MB/s, 임의 읽기 속도는 1,808,105 IOPS, 임의 쓰기 속도는 1,524,658 IOPS가 측정되었습니다.
제품의 최대 임의 읽기/쓰기 속도는 2,200K/2,600K IOPS이지만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벤치마크 테스트"


시스템 빌드 후 디스크마크 인포와 온도를 측정해본 결과입니다. PCIe 4.0 제품은 메인보드 히트 싱크에 장착되어 있고 상시 평균 온도는 36도, PCIe 5.0 SSD는 다소 발열이 있는 만큼 상시 온도가 50도 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에서는 평균 12,200MB/s의 읽기속도가, 12800MB/s의 쓰기 속도가 측정되었는데요 AJA 테스트에서는 3840 x 2160 UltraHD 10bit YUV에서 파일 사이즈를 다르게 하여 측정하였고 평균 11,200MB/s의 읽기 속도가, 평균 9,300MB/s의 쓰기 속도가 측정되었습니다.


그외에 다른 벤치마크 테스트에서도 대부분 비슷한 결과 측정되었고 대체로 읽기 속도는 11,600MB/s를 넘어가며 쓰기 속도는 13,000MB/s를 넘어서면서 이전세대 대비 압도적인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나래온 더티 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요, 모든 용량을 채우는데 소요된 시간은 약 54분 24초, 최대 속도는 11,234MB이고 최소 속도는 20MB/s, 평균 속도는 4127MB/s로 구동되었는데요, 평균 50프로 미만 구간이 68%이긴하나 8TB 용량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생각했던 것보다도 평균속도가 월등하게 잘 나온편이었고 초슬림 히트싱크로도 성능유지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약 100GB 용량의 영상 파일을 복사 및 이동하는데도 평균 20초 이내의 빠른 시간으로 전송이 가능했고 속도는 복사 속도는 평균 3GB/s, 이동은 2.84GB/s로 전송하는 시스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이정도면 4K 영상 작업을 할때도 정말 쾌적하고 용이할 것 같았습니다.
"게임 로딩 및 파일 전송"


게임을 주로 하시는 분들이라면 PCIe 3.0부터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고 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맵 로딩이 긴 RPG 장르에서는 생각보다 더 빠른 속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요, 바로 Microsoft DirectStorage 기능 덕분으로 NVMe 기반의 고속 스토리지를 전제로 설계된 API를 활용하면 대역폭과 IOPS 여유가 커서 스토리지의 병목을 주여 실제 체감되는 로딩 시간을 줄이고 텍스처 스트리밍 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그래픽 카드도 최신 제품(DirectX 12를 지원)을 사용하거나 게임 엔진이 DirectStorage를 지원해야한다는 전제가 붙긴 합니다.


그럼에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등의 게임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로 플레이가 가능했으며, 텍스처 로딩이나 맵 로딩에서 버벅임이 생기지 않아 이전보다 더 쾌적하게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4.0 대장급 제품들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실제 체감되는 시간은 약 1~2초 가량으로 더 빠르게 로딩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인게임 로딩을 남들보다 더 빠르게 체감하고 싶으시다면 사용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치며"

삼성 9100 Pro 히트싱크 8TB는 압도적인 용량과 뛰어난 퍼포먼스, 그리고 초슬림의 히트싱크임에도 성능저하가 거의 없는 놀라운 유지력까지 PCIe 5.0 제품에서도 현존 끝판왕급 제품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엇보다 8TB의 대용량 SSD는 말이 필요가 없는 용량이며, PS5에도 작은 사이즈 덕분에 호환이 가능하다는 점, MS 다이렉트 스토리지 등으로 게임 성능을 체감되는 영역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SSD 업그레이드 만으로 얻게 되는 유의미한 장점들이 상당히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엄청나게 고가의 제품이긴 하지만 그만큼 남들과는 다른, 차별화된 성능을 사용할 수 있고, 실제 게임만 하시는 분들에게는 다소 부담되는 영역일 수 있지만 작업자의 입장에서 봤을때에는 사실 시스템 자체가 사업장이기 때문에 성능이나 용량을 고려했을때 나름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도 있을 것 같고 특히 4K 영상 편집을 주로 하시는 분들에게는 용량 걱정없이 편집할 수 있는 역대급 제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