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제조사로부터 원고료를 지원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이번편은 2편으로 별도의 후속 리뷰까지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이번편에서는 히트싱크가 들어간 삼성 SSD의 최신 모델인 삼성 9100PRO 8TB 제품입니다.
히트싱크가 들어가 있는 제품이 별도로 판매가 되는것은 PS5 같은 콘솔 게임기부터 노트북등에서 8mm 이내로 장착이 되면서도 발열처리를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주는 조건으sw로 판매가되는 제품입니다.

기성 제품보다는 더 나은 발열 성능과 함께 히트싱크와의 일체감 보증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분명한 장점을 제공을 하는데요
아무래도 발열이 생길수 밖에 없는 PCIe5.0 지원하는 제품인만큼 데스크탑에서 사용시에는 더욱더 거대한 발열판이 필요로 할것으로 보입니다. 요즘 출시되는 PCIe5.0 지원하는 메인보드의 경우에는 메인 SSD에서 대용량의 방열판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반 데스크탑에서 사용시에는 발열판이 없는 버전으로 구입할것으로 보입니다.


1TB~8TB 까지의 용량을 제공하며, 용량마다 지원하는 버퍼의 용량은 달라질것으로 생각은 됩니다. 최대 14,800MB/s에 달하는 읽기 속도를 가진만큼 전반적인 시스템의 성능향상이 있을것으로 보이기는 합니다.

테스트 시스템
CPU: intel Z890
Board: ASUS ROG Z890 HERO
VGA: RTX5070Ti / Quadro A4000 입니다.
다른 SSD로 많고 오라클의 PCI슬롯을 사용하는 레이드 SSD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군은 많지만 아무래도 4.0 대역폭을 사용하는 SSD와의 성능차이를 보는것이 첫번째일듯 합니다.

방열판 포함해서 8mm 입니다...얇습니다.
이 방열판이 장착된 상태로 노트북에 장착해보면서하는 테스트는 별도의 콘텐츠로 한번더 다루어보겠습니다.

완전히 이 상태로 보증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내부는 한번 보아야겠죠
주요 칩셋과 디램 낸드 부분에 모두 방열판이 붙어 있습니다.

대용량 8TB 제품이기 때문에 2TB 낸드 4개가 들어가 있어서 8TB 용량으로 구성을 했습니다.

방열판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구조가 있는 메인보드에서는 장착 자체가 힘들어서 방열판이 없는 상태로 테스트 진행했습니다.
그래서 ASUS ROG 보드에서 지원하는 무지막지하게 큰 방열판이 장착이 된상태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고성능 노트북에서의 테스트를 한번더 하면서 후속 콘텐츠로 한번더 소개해보겠습니다.

정상적으로 인식 되었습니다. 히트싱크모델이 별도로 있을만큼 이번 모델에 있어서의 자신감이 있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최대 60도..이 이상 올라가지 않았습니다.
테스트는 ASUS Z890 ROG HERO 방열판이 장착된 상태로 진행이 되었으며 2TB 정도까지 지속 쓰기를 하고 나서야 60도까지 올라섰습니다. 그 전까지는 온도 자체는 안정적으로 유지가 되는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버퍼 구간은 약 2TB 수준인것으로 보입니다. 이 시점에서 들어왔을대 속도가 급락했습니다.

최대 쓰기 속도 11,192Mib/s로 최대 속도에 살짝 못하지만 보드에 따라서 오차범위 수준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도 제가 속도 떨어지는 시점을 볼려고 기다렸는데 1.9TB 쓰기까지 진입하면서 속도가 급격하게 빠지는것을 보니 쓰기 안정성 속도또한 기대이상 입니다.
한번에 2TB 데이터 쓰기할 상황이 많지는 않으니까요

현재 사용하고 있는 PCIe4.0 SSD와 비교를 하더라도 삼성 9100Pro의 데이터가 훨씬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나오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삼성 매직션 관리프로그램의 하는 일은 크게 2가지입니다.
SSD의 설정과 펌웨어 업데이트 속도 체크등을 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초기 설정시에 데이터마이그레이션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겠네요

아무래도 고가의 제품인데다가 제품의 관리차원에서도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아무래도 이 메인보드에서 나오는 최대 속도인것 같네요 ^^..매직션에서도 비슷한 속도가 찍히는것을 보니까요

PCIe4.0 SSD와 삼성 9100PRO SSD와 성능 비교를 하더라도 큰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물론 사용하고 있는 SSD라서 데이터가 60-70% 이상 채워져 있고, 데이터가 혼재되어 있어서 오는 차이도 분명히 있기는 합니다. ^^


내부 복사 성능과 외부에서 데이터 읽기를 통해서 내보내는 속도 입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가장 중요한것 실무에서 과연 성능 차이가 있을가 포토샵에서 100여개의 파일을 매크로 걸어서 램 사용량을 10% 수준으로 최소화한상태에서 SSD의 성능인 순간적인 읽기 쓰기 성능을 알아보았습니다.


영상으로도 확인이 되겠지만, 삼성 9100PRO SSD가 구형 SSD보다 훨씬더 빠른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차이가 분명히 있기는 하네요 구형 SSD 제품들이 대용량의 지속 쓰기보다는 순간적으로 읽기 쓰기와 지속 사용량 측면에서 요즘 고성능의 SSD와 실무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수가 있었습니다.

-
정말 가격만 낮아지면 구입하고 싶은 제품입니다. 최상위 제품인만큼 속도 부분에 있어서도 차별화를 둘 정도로 인터페이스이 성능을 최대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
특히 지속 사용성능에 있어서 이전 세대와의 성능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으며 게임로딩 속도 측면에서도 분명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데이터를 많이 초기에 많이 가져와야 하거나 쉐이더를 한번에 많이 올려야 하는 게임일수록 게임로딩에서 차이가 난다는 것도 알 수가 있었습니다.
-
전반적으로 쓰기 버퍼가 2TB 가까이 된다는점과 히트싱크SSD가 들어간 9100PRO의 경우에는 노트북에서도 기대이상의 성능이 보여질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다음편에서는 고성능 노트북에서 9100pro 히트싱크 모델의 성능도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