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이 공유기를 책상 위에 올려놨을 때,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이건 그냥 공유기가 아니라 거의 한 대의 서버 같다"는 느낌이었습니다.
ASUS ROG Rapture GT-BE98. 이름부터 심상치 않았지만, 실제 성능은 기대 그 이상이었습니다.
제가 이 공유기를 사용하게 된 계기는 간단했어요.
4인 가족이 동시에 고해상도 영상 스트리밍을 하고, 저는 따로 고사양 PC로 온라인 게임을 자주 하다 보니
기존 공유기로는 버티기 힘들었거든요. 특히 저녁 시간에는 핑이 200을 넘는 경우도 잦았고요.
Wi-Fi 7 지원, 게이밍 최적화 기능, 그리고 쿼드 밴드 기술 탑재라는 문구에 혹해서 결국 지르고 말았는데,
결론부터 말하면 "왜 진작 안 샀지?" 싶더군요.
외계 생명체 같은 외형, 그리고 내부엔 괴물 같은 스펙
ASUS ROG Rapture GT-BE98은 외형부터 눈길을 끕니다.
8개의 안테나가 입체적으로 뻗어나가는 구조인데, 마치 스타크래프트 테란 기지에 등장할 법한 디자인이에요.
Aura RGB가 켜지면 그야말로 사이버 감성 끝판왕.
하지만 진짜는 외형이 아니라 내부였습니다.
이 제품은 Wi-Fi 7 지원 공유기로, 기존 Wi-Fi 6E보다도 한 단계 더 진화한 기술을 담고 있어요.
특히 6GHz 대역폭을 추가한 쿼드 밴드 기술 탑재 덕분에 총 4개의 주파수 밴드를 효율적으로 분산해 쓸 수 있습니다.
2.4GHz + 5GHz + 또 다른 5GHz + 6GHz 대역까지 포함해, 총 대역폭이 약 25Gbps에 달한다고 하더라고요.
실제 사용 시에도 무선 속도나 커버리지가 엄청 넓다는 게 체감됩니다.
저 같은 경우, PC는 10기가 유선 포트에 직접 연결했는데,
여기서 말도 안 되는 성능이 나옵니다.
초고속 유선 포트를 통한 대용량 데이터 전송 능력, 이건 그냥 말뿐이 아니에요.
NAS에 연결된 영화 파일 100GB를 복사하는 데 2분도 안 걸리더군요.
10Gbps 포트 덕분에 편집용 원본 영상도 클라우드가 아닌 집 안에서 바로 불러와 쓸 수 있게 되면서,
작업 효율이 눈에 띄게 올라갔습니다.
진짜 게이머를 위한 트리플 레벨 게임 가속 기능
제가 이 공유기에서 가장 만족한 부분은 바로 트리플 레벨 게임 가속 기능입니다.
ASUS 공유기에서는 ‘Game Boost’로 불리는 이 기능이,
게임 서버와의 패킷 우선순위를 설정해서 실시간 핑을 낮춰주는 역할을 해요.
실제로 저는 배틀그라운드, 로스트아크, LOL 등을 자주 하는데
이 공유기를 쓰고부터는 핑이 7~9ms 사이로 고정되고, 렉도 거의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예전에는 퇴근 후 저녁 시간만 되면 간헐적 끊김 때문에 멘붕이었는데,
이젠 그런 걱정은 아예 사라졌어요.
QoS(서비스 품질 관리)까지 수동으로 설정하니, 스트리밍과 게임을 동시에 해도 체감 속도는 그대로더라고요.
그리고 ASUS는 자체적으로 게이밍 전용 VPN 터널 기능도 제공하는데요,
이는 게임 서버 우회나 해외 서버 접속 시 진가를 발휘합니다.
일반 VPN과 달리 속도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플레이가 가능했어요.
집 전체에 와이파이 사각지대 없는 AiMesh 지원
기존 공유기를 쓸 때는 집 구조상 와이파이 사각지대가 생기곤 했어요.
특히 욕실이나 베란다 근처는 신호가 뚝뚝 끊겼죠.
그런데 ASUS ROG Rapture GT-BE98은 ASUS AiMesh 기능을 통해 집 안 전체에 끊김없는 Mesh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합니다.
저는 기존에 쓰던 ASUS 공유기를 위성 노드로 구성했는데,
한 번의 설정으로 모든 공간에서 6GHz 와이파이를 끊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어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방을 옮겨 다녀도 신호 전환이 매끄럽고
로밍 중 끊김이 전혀 없었습니다.
설정도 ASUS 앱 하나로 대부분 끝나서, 네트워크 문외한인 저도 어렵지 않게 구성할 수 있었어요.
IoT 기기 많은 집이라면 이 기능이 정말 신의 한 수입니다.
고급 유저를 위한 포트 구성과 USB 활용성까지
공유기의 포트 구성도 상당히 유연합니다.
10Gbps WAN/LAN 겸용 포트 외에도 2.5Gbps 포트, 기가비트 포트, 그리고 USB 3.0 포트까지 마련돼 있어
NAS나 외장 SSD를 물려서 간이 클라우드로 쓰기도 좋아요.
저는 외장 SSD를 연결해서 스마트폰 사진을 자동 백업하게 해뒀는데,
속도도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게임 콘솔, IPTV, CCTV, NAS, 데스크탑 등 다양한 장비를 동시에 연결해도
연결 대수 제한 없이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점도 굉장히 만족스럽습니다.
처음 연결 및 기본 설정
공유기를 설치하고 전원을 켜면, 뒷면에 있는 WAN 포트에 인터넷 회선을 연결해야 합니다.
Wi-Fi 이름(SSID)과 초기 비밀번호는 제품 하단 스티커에 적혀 있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해당 Wi-Fi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혹시 자동 연결이 되지 않더라도 걱정 마세요.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router.asus.com 또는 192.168.50.1을 입력하면 바로 설정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어요.
초기 설정 과정에서는 마법사 형식으로
-
AiMesh 구성 가능 여부,
-
게임 가속 모드 설정,
-
Wi-Fi 밴드 선택 등을 순서대로 안내해 줍니다.
덕분에 네트워크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아주 쉽게 설치를 마칠 수 있어요.
설치 완료 후에는 기본 관리자 계정과 비밀번호도 꼭 변경해두는 걸 추천드립니다.
보안을 위해서죠!
ASUS Router 앱으로 더 편리하게
설치를 마친 후에는 꼭 ASUS Router 전용 앱도 설치해 보세요.
iOS, 안드로이드 모두 지원되며, 이 앱 하나로 공유기 대부분의 기능을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제가 직접 사용해본 기능 중 유용했던 건 다음과 같아요:
-
Wi-Fi 켜기/끄기: 잠시 연결을 차단할 때 유용
-
게스트 네트워크 생성: 방문객용 와이파이 개설
-
트래픽 모니터링: 어떤 기기가 얼마나 데이터를 쓰는지 실시간 확인
-
펌웨어 업데이트: 자동 알림 및 원터치 업그레이드
-
AiMesh 노드 추가: 다른 ASUS 공유기를 쉽게 확장 연결
-
게임 가속 모드 실행: 버튼 하나로 ‘Game Boost’ 켜기
특히 스마트폰 하나로 공유기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 설정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이 정말 편리하더라고요.
와이파이 끊김 문제 생기면 공유기까지 가지 않고도 앱으로 바로 조치 가능해서 더더욱 만족스러웠습니다.
가격이 아깝지 않았던 이유
물론 가격대는 부담될 수 있어요.
하지만, 제가 체감한 성능은 확실히 "다른 클래스"였고,
Wi-Fi 7 지원, 게이밍 최적화 기능, 쿼드 밴드 기술 탑재,
여기에 초고속 유선 전송, 트리플 게임 가속, AiMesh 지원까지 더하면,
이건 단순한 공유기를 넘어 홈 네트워크의 핵심 허브라는 느낌이었습니다.
ASUS가 게이머 시장을 잘 아는 브랜드인 만큼,
제품 기획부터 세팅까지 사용자의 니즈를 제대로 반영했다는 인상이 강했어요.
마무리: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온라인 게임을 자주 하며 ‘핑’과 ‘렉’에 예민한 사용자
-
집 전체에 와이파이 음영지역 없이 연결하고 싶은 가족 단위 사용자
-
NAS, 스마트홈, IPTV 등 멀티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싶은 고급 사용자
-
Wi-Fi 7 기반 네트워크 환경을 선제적으로 구축하려는 얼리어답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