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it뚜버기 PaPa입니다.
스마트폰 브랜드로 잘 알려진 글로벌 기업 화웨이가 가성비 스토리지 제품을 출시하였지만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화웨이 eKitStor Xtreme 200E M.2 NVMe™ SSD는 PCIe 4.0x4를 기반으로 출시한 프리미엄 M.2 NVMe™ SSD입니다.
화웨이 eKitStor Xtreme 200E M.2 NVMe™ SSD는 QLC NAND 메모리(실시간 87,000원)를 탑재하여 가성비를 높이고, 7,000MB/s 순차읽기 속도와 6,500MB/s 순차쓰기의 빠른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SSD입니다. QLC의 단점을 방어하는 기능들을 탑재하여 프리미엄급 M.2 NVMe™ SSD와 견줄 수 있는지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roduct specifications
● Storage capacity : 512GB/ 1TB
● Interface :PCIe® 4.0X4 M.2 NVMe™
● Storage Memory : QLC 3D NAND Flash
● Cache Memory : HMB(Host Memory Buffer) / DRAM-less
● Dimension : 80 x 22 x 2.7mm(W x H x D)
● OS : Windows, macOC, Androld, IPadOS, IOS, Game consoles(PS5)
● Weight : 6g(1TB기준)
● Performance : Read Up to 7,000 MB/s, Write Up to 6,500MB/s
● TBW : 400TB
● Warranty : 5year(제한적)
수입사 (주)이선디지털에서 정식 유통하여 국내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5년의 제한적 보증 중 1TB기준 400TB는 일반 가정에서 평생 써도 충분한 사용량으로 안심하고 사용해도 됩니다.
|Package Components
화웨이 eKitStor Xtreme 200E M.2 NVMe™ SSD(이하 eKitStor Xtreme 200E)는 수입 상태 그대로 들여왔지만, SHIPPINGSEAL을 제공하여 믿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성품] eKitStor Xtreme 200E M.2 NVMe™ SSD/ 고정볼트 매뉴얼
매뉴얼의 기준은 중문과 영문이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지만, QR코드를 제공을 통해 한국어로 번역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이외 고정볼트를 제공하고 있지만 메인보드에 따라 사용 가능합니다.
|Product Design
eKitStor Xtreme 200E는 2280 규격의 표준 사이즈로 대부분의 메인보드는 물론 노트북이나 콘솔에도 호환되며, PCIe® 4.0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하고 있어 빠른 전송속도 제공합니다 또한, 최대 1TB 대용량으로 최신 대용량 게임 및 영상작업 파일 까지 여유로운 저장공간을 사용할 수있습니다.
eKitStor Xtreme 200E NVMe™는 3D QLC NAND를 탑재하여 가격을 낮추었었지만, SLC 캐싱을 할당하여 CPU와 플래시 메모리 간의 버퍼 작용으로 QLC가 가진 속도 저하를 줄여주어 언제나 쾌적한 사용을 제공합니다.
[제품내부]
상단 스티커를 제거하면 PCB 상판에 QLC 낸드 플래시 모듈과 자체 개발한 컨트롤러가 배치되어 있으며, 단면 설계를 통해 다양한 시스템에 유연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만, 부착된 스티커는 방열 기능이 없는 일반 스티커로, 발열 관리 측면에서는 다소 아쉬움이 있습니다.
[컨트롤러] 81FV 자체 컨트롤러
자사 컨트롤러는 SMART, TRIM, HMB(Host Memory Buffer)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해 줍니다. 디램리스(DRAM-less)라고 부르는 디램 캐시가 없는 모델로 디램이 있는 모델 대비 성능이 낮을 수 있지만, HMB 기술로 전력 사용을 낮추면서 꾸준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Volatile Write Cache 기능을 통해 대기전력이 3mW 수준으로 상당히 낮은 전력을 유지하면서도 1TB 기준 최대 4.5W의 낮은 소비전력 관리로 노트북이나 휴대용 기기에 사용할 경우 배터리 효율도 향상시켜줍니다.
[NAND 메모리 ] QLC 3D NAND
위쪽으로 QLC 3D NAND Flash 메모리는 512GB 2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대 400TBW를 지원하여 하루 20GB를 꾸준히 사용해도 56년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제공합니다.
PCB 위에 다양한 QR코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QR코드는 각 부품별로 제조하는 과정 중 고유 식별코드를 적용하여 각 부품별로 추적하며 꼼꼼한 제작을 거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2.7mm의 두께와 5.9g의 가벼운 무게를 제공하며 노트북 외에도 휴대용 인클로저에 사용하기에도 좋습니다.
|Assemble
[빌드사양]
CPU : AMD™ 9800X 3D
CPU Cooler : MSI MAG 코어리쿼드 I360
M/B : Gigabyte X870 AORUS ELITE WIFI7 ICE(PCIe® 5.0)
SSD 1 : 화웨이 eKitStor Xtreme 200E M.2 NVMe™ SSD(1TB)
SSD 2 : crucial P510 M.2 NVMe™(1TB)
RAM : KingBank Heatsink Gaming DDR5 8000MHz 16G*2 CL46 EXPO
VGA : Gigabyte RTX 4080AERO
Gigabyte X870 AORUS ELITE WIFI7 ICE 메인보드의 PCIe® 5.0위치에 기본 방열판을 설치하였으나, 나래온과 3DMARK는 방열판을 제거하여 극한의 상황에서 eKitStor Xtreme 200E NVMe™의 컨트롤러도 성능을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CrystalDiskInfo를 통해 확인해 SMART, TRIM, Volatile Write Cache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erformance
[CrystalDiskMark 8.0.6]
10번의 CrystalDiskMark 테스트 가장 높은 점수가 나온 2개의 데이터로 순차 읽기 속도는 6,938.17MB/s, 순차 쓰기 속도는 6,257.83MB/s로 공식 사양보다 살짝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AS SSD Benchmark 2.0/ ATTO Disk Benchmakr 4.0]
AS SSD 벤치마크는 Gen4의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ATTO Disk Benchmark에서는 QLC의 아쉬운 부분이 보였지만 큰 성능 저하 없이 균일한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외에도 추가적인 테스트에서도 DRAM이 없는 구조에도 대용량 전송에서도 큰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으로 HMB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나래온 더티 테스트]
나래온 더티 테스트에서는 1TB 전체 용량을 쓰는 데 2시간 5분 37초가 소요되었으며, 평균 3,956MB/s의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테스트 구간 중 96%에서 하락을 시작으로 평균 50% 미만은 28%부터 진행되며 QLC의 아쉬운 점을 보여주었지만, 프리징 현상 없이 후반부까지 꾸준한 속도를 유지해 주었습니다.
[3DMARK 저장소 벤치마크]
3DMARK 저장장치 벤치마크를 통해 게임 녹화부터 저장, 이동, 게임 실행 능력 등을 평가해 보면 2707점의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Anvil`s Storage Utilities 1.1.0]
탑재된 시스템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Anvil`s Storage Utilities를 통해 조 더 세분화된 성능을 확인해 보면 4K 데이터 성능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AJA System test]
영상 압축 성능을 테스트하는 AJA 시스템 테스터에서 2K는 물론 4K에서 더욱 빠른 속도를 보여주며 대용량 전송에도 훌륭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방열판이 없는 외부 온도는 최대 55.5℃ 측정되었지만, 방열판이 장착된 환경에서는 최대 41℃를 넘지 않는 안정적인 발열 성능을 보여주며 장시간 게이밍 작업 시에도 꾸준한 성능으로 끊김 없는 플레이를 즐길 수 있습니다.
방열판이 없는 외부 온도는 최대 55.5℃ 측정되었지만, 방열판이 장착된 환경에서는 최대 41℃를 넘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며 방열판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습니다.
[File copy]
eKitStor Xtreme 200E NVMe™(1TB)에서 crucial P510 M.2 NVMe™(1TB)로 대용량 단일 파일을 전송해 보니 읽기와 쓰기 모두 빠른 속도를 기록했습니다. 4GB 파일 기준 읽기는 3.57GB/s 1초, 쓰기는 3.4GB/s 2초가 소요되며, 8GB 파일 기준 읽기는 4GB/s로, 쓰기 3.55GB/s로 모두 2초이내로 전송을 하였습니다.
1MB 파일 12,300개(12GB)를 동일하게 이동 한 해보면 읽기 속도는 732MB/s, 쓰기 속도는 556MB/s로 30초이내의 시간을 보여주었으며, 전송 중 속도 하락 없이 빠른 전송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Windows 11 Pro 24H2 Booting]
일반적으로 SSD의 부팅 속도는 BIOS 설정, 전원 관리 옵션, 백그라운드 앱 구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Windows 11 Pro 설치 후 드라이버까지 모두 적용된 상태에서 로딩 스피너가 시작된 후 바탕화면까지 약 15초 내외로 진입하며 Gen5 SSD와 견줄 만큼 빠른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Game loading]
디렘이 없어도 SLC캐싱과 HMB 기능으로 1분 이내의 로딩 시간을 보여주어, 디램 SSD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외에도 디아블로4부터 사이버펑크2077, 검은신화 오공등 AAA급 게임에서도 NVB3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게임 샐행, 맵 로딩 시간이 단축되며 안정적이고 쾌적한 플레이 환경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Personal thoughts
지금까지 화웨이의 eKitStor Xtreme 200E NVMe™ SSD(1TB)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화웨이 SSD는 여러 브랜드가 이미 자리 잡은 시장에서 비교적 늦게 출발했지만, 기대 이상의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QLC 기반에 디램리스 구조이지만 자체 개발한 컨트롤러를 통해 HMB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TLC 제품과 견줄 만한 성능으로 가성비 뛰어난 NVMe™ SSD라고 여겨집니다. 또한 전력 효율을 고려한 설계 덕분에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어 노트북이나 모바일 환경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어, 휴대용 기기나 외장 인클로저와 함께 사용할 때에도 효율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CIe 4.0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동급 대비 가성비 면에서 균형을 잡은 eKitStor Xtreme 200E NVMe™ SSD(1TB)는 가성비SSD로 고려해 보기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