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용기는 레이저코리아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레이저 헌츠맨 시리즈는 게이밍 키보드 시장에서 꾸준히 사랑받아온 시리즈로 프로 게이머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키보드 중 하나입니다. 이 시리즈의 가장 큰 장점은 래피드 트리거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는 점인데요, 스위치를 끝까지 누를 필요 없이 사용자가 지정한 입력값에 따라 키가 반응하기 때문에 발로란트와 같은 FPS게임, 그리고 리듬게임을 즐기는 유저들에게는 필수품이나 다름없습니다.

작년에 레이저 헌츠맨 V3 Pro 풀배열과 텐키리스 모델을 리뷰했었는데, 최근 8000Hz 폴링레이트를 탑재한 레이저 헌츠맨 V3 Pro TKL 8KHz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 물론 완전히 새로운 버전은 아니지만, 요즘 게이머들에게 8000Hz 폴링레이트는 선택이 아닌 필수 옵션이 되었기에 헌츠맨의 8K 폴링레이트 지원을 기다리신분 많으실텐데요 지금부터 이 제품의 특징과 성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양 및 구성


제품 사양
모델명 : Razer Huntsman V3 Pro TKL 8KHz
레이아웃 : 텐키리스 (TKL)
연결 방식 : 유선 (Type-C to USB-A)
스위치 : Razer™ 2세대 아날로그 옵티컬 스위치 (공장 윤활 처리)
폴링레이트 : 8000Hz
동시입력 : 무한 동시입력 지원
키캡 : 이중사출 PBT 키캡
조명 : Razer Chroma RGB (1680만 색상)
온보드 메모리 : 최대 6개 프로파일 저장 가능
미디어 컨트롤 : 다기능 디지털 다이얼 및 두 개의 전용 컨트롤 버튼
손목받침대 : 인조 가죽 소재 (자석 탈부착식)
상판 소재 : 5052 알루미늄 합금
크기/무게 : 36.3 x 22.4 x 3.9cm / 약 730g
품질보증 : 2년


제품 박스를 열면 레이저 헌츠맨 V3 Pro TKL 8KHz 본체와 함께 USB-C to USB-A 케이블, 인조 가죽 자석 손목받침대, 퀵 스타트 가이드, 사용자 설명서, 그리고 레이저 로고 스티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인조 가죽 자석 손목받침대는 마그네틱 방식으로 제작되어 있어 탈부착이 매우 간편합니다. 키보드 본체에 자석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게임 중에도 손목받침대가 밀리지 않고 키보드와 함께 움직여서 위치를 다시 잡아주는 번거로움이 없습니다. 다만 이전의 쿠션감 있던 손목받침대와 비교하면 약간 딱딱한 느낌이 있습니다.
외형 및 특징



레이저 헌츠맨 V3 Pro는 풀배열과 텐키리스, 두 가지 크기로 출시되었는데요, 제품명에서 알 수 있듯이 오늘 리뷰하는 모델은 텐키리스 버전입니다. 크기는 36.3 x 22.4 x 3.9cm로, 풀배열에서 우측 숫자패드가 제거된 형태입니다.

텐키리스의 가장 큰 장점은 마우스를 키보드에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마우스를 사용할 때 손이 이동하는 거리가 짧아져서 장시간 게임을 즐기더라도 어깨와 팔의 피로도가 현저히 줄어듭니다. 특히 FPS 게임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넓은 마우스 패드를 사용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텐키리스 키보드가 공간 활용면에서 훨씬 유리합니다.


컬러는 블랙 색상으로, 5052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제작된 상판이 눈에 띕니다. 표면에는 헤어라인 처리가 되어 있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면서도 지문이나 먼지가 덜 묻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게는 약 730g으로 휴대하기에도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입니다.

우측 상단에는 다기능 디지털 다이얼과 두 개의 전용 컨트롤 버튼이 위치해 있습니다. 이 버튼들은 기본적으로 미디어 컨트롤(재생/일시정지, 음량 조절 등) 기능을 하지만, 시냅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커스텀 매크로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방향키 위쪽에는 LED 인디케이터가 배치되어 있어 키보드의 현재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FN키와 상단 기능키를 조합하면 온보드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불러오거나 래피드 트리거의 작동점을 빠르게 조정할 수 있어서, 모니터를 켜지 않고도 키보드만으로 다양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키보드 하단부에는 총 5개의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되어 있어 격렬한 게임 도중에도 키보드가 밀리지 않고 제자리를 잘 지켜줍니다.


높이 조절 받침대는 3단계(0도, 6도, 9도)로 조절 가능해서 자신에게 맞는 타이핑 각도를 찾을 수 있습니다.

스텝 스컬쳐2(Step Sculpture 2)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키캡의 높이가 행마다 다르게 설계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해도 손목의 피로도가 덜합니다.
스위치 및 키캡

레이저 헌츠맨 V3 Pro TKL 8KHz는 Razer™ 2세대 아날로그 옵티컬 스위치가 탑재되어 있는데요, 이 스위치는 광학 방식으로 물리적 접점이 없어 더욱 빠른 반응속도를 자랑합니다. 키 압력은 40g으로 리니어 타입이며, 작동점은 0.1mm부터 4.0mm까지 0.1mm 단위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8KHz 버전의 가장 큰 특징은 스위치에 공장에서 윤활 처리가 되어 출시된다는 점입니다. 이전 버전에서는 스위치가 다소 가볍고 민감했었는데, 윤활 처리를 통해 더욱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느낌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실제로 타건해보면 키를 누를 때의 느낌이 매우 일관되고 부드럽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8000Hz 폴링레이트와 결합되면 응답 시간은 무려 0.58ms에 불과한데요 이는 이전 모델 대비 약 3배 빠른 수치입니다. 실제 게임에서 체감은 어렵겠지만 최고의 성능을 추구하는 게이머라면 꼭 필요한 옵션중 하나입니다.

키캡은 이중사출 PBT 소재로 제작되었습니다. PBT 키캡의 장점은 ABS 키캡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사용해도 표면이 반들반들하게 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키캡 표면에는 약간의 질감이 처리되어 있어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키를 잡아줍니다.
이중사출 방식이기 때문에 글자가 인쇄된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색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아무리 오래 사용해도 글자가 지워지지 않습니다. RGB 조명이 글자를 통해 은은하게 빛나는 것도 이중사출 키캡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래피드 트리거

일반 키보드는 키를 눌렀다가 다시 눌러야 입력이 되려면 키가 일정 높이 이상 올라와야 하는데, 래피드 트리거는 키가 올라가는 순간 바로 재입력이 가능합니다. 심지어 0.1mm만 올라와도 다시 입력이 되기 때문에 매우 빠른 연타가 가능한 기능입니다.
FN+TAB 키를 누르면 빠른 작동점 설정 모드로 진입하는데요, 이 상태에서 아무 키나 눌러 작동 높이를 테스트하고, 디지털 다이얼이나 화살표 키를 이용해 원하는 작동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LED 인디케이터에 게이지가 표시되어 현재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FN+Caps Lock 키를 누르면 빠른 래피드 트리거 설정 모드로 진입하며, Caps Lock 키를 눌러 래피드 트리거 모드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다이얼이나 방향키를 이용해 LED 게이지를 보면서 다운스트로크와 업스트로크 값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더욱 세밀한 설정을 원한다면 Razer Synapse 4 소프트웨어에서 래피드 트리거를 활성화한 후 다운스트로크(키를 내려 누를 때)와 업스트로크(키를 올릴 때)를 각각 0.1mm 단위로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FPS 게임에서는 매우 민감한 설정을, 일반 타이핑이나 게임에 따라서는 조금 더 안정적인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1.5~2.0mm 정도가 게임과 타이핑을 병행하기에 적당한 설정입니다.
스냅탭 모드
스냅탭 모드는 최근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된 기능으로, 빠른 반응 속도를 필요로 하는 FPS 장르 게임을 위한 특화 기능입니다. FN+좌측 Shift 단축키로 쉽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일반 키보드에서는 A키(왼쪽 이동)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D키(오른쪽 이동)를 함께 누르면 게임 내 캐릭터가 멈춰 서게 됩니다. 하지만 스냅탭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가장 마지막에 누른 키의 입력이 우선적으로 적용되어 캐릭터가 멈추지 않고 즉시 방향을 전환합니다.
이 기능이 얼마나 유용한지는 실제 발로란트 게임에서 확인해볼 수 있는데요, AD 브레이킹 플레이를 할 때 캐릭터가 좌우로 빠르게 움직이면서도 전혀 끊김이 없고 정확한 타이밍에 사격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발로란트처럼 정교한 무빙과 조준이 중요한 게임에서는 스냅탭의 효과가 극대화되는데요, 코너를 돌 때나 엄폐물 뒤에서 피킹을 할 때 스냅탭을 사용하면 바로 방향 전환이 가능합니다.
RGB 효과

레이저 헌츠맨 V3 Pro TKL 8KHz는 Razer Chroma RGB를 지원하며 다른 레이저 제품들과 색상을 동기화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레이저 마우스, 헤드셋, 마우스패드는 물론이고, 일부 메인보드 제조사나 필립스 휴(Philips Hue) 같은 조명 액세서리와도 호환되어 게이밍 공간 전체를 하나의 테마로 꾸밀 수 있습니다.


시냅스 소프트웨어에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RGB 효과가 많이 있습니다. 웨이브, 스펙트럼 사이클링, 브리딩, 반응형 등 다양한 효과를 선택할 수 있고, 각 효과마다 속도와 방향, 색상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타건 사운드

이번 8KHz 버전의 가장 큰 개선점 중 하나가 바로 타건 사운드인데요 모든 스위치에 공장 윤활 처리를 하고, 케이스 내부에 추가적인 흡음폼(EVA 폼과 러버 시트)을 추가해 타건 사운드가 훨씬 풍성하고 듣기 좋게 변경되었습니다.
40g의 리니어 타입 스위치답게 부드럽고 조용한 편이며, 스페이스바나 시프트 키를 눌렀을 때도 덜컹거리는 소리가 거의 없습니다. 이전 버전에 비하면 확실히 개선되어 도서관처럼 조용한 곳에서 사용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인 사무실이나 집에서 사용하기에는 충분히 괜찮은 소음 수준입니다.
시냅스 4 소개

Razer Synapse 4는 레이저의 최신 통합 소프트웨어로, 레이저 제품의 모든 설정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뿐만 아니라 마우스, 헤드셋, 마우스패드 등 레이저의 모든 기어를 연결하고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설정에서는 각 키에 원하는 기능을 할당할 수 있는데요 매크로, 멀티미디어 컨트롤, 텍스트 단축키, 프로그램 실행 등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기능을 사용하면 FN키 조합으로 완전히 다른 키 배열을 사용할 수도 있어, 게임별로 최적화된 키 설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폴링레이트도 125Hz 부터 8000Hz까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작동 탭은 래피드 트리거와 스냅탭 등 고급 기능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개별 키마다 작동점, 민감도, 래피드 트리거 설정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 WASD 키는 매우 민감하게, 나머지 키는 일반적으로 설정하는 식의 세밀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조명 탭에서는 RGB 효과를 설정할 수 있는데요 프리셋 효과를 선택할 수도 있고, 각 키마다 개별적으로 색상을 지정해 나만의 고유한 조명 효과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사용기

실제로 발로란트를 비롯한 여러 게임에서 레이저 헌츠맨 V3 Pro TKL 8KHz를 사용해본 결과, 래피드 트리거와 스냅탭의 조합은 전투상황에서 빠른 AD 스트레이프를 하면서도 정확한 조준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스위치의 느낌도 만족스러웠는데요 40g의 가벼운 키압이지만 공장 윤활 처리 덕분에 푹신하면서도 안정적인 느낌이 들었고, 키를 누를 때마다 일관된 타건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일반 사용자가 1KHz와 8KHz의 차이를 명확히 체감하기는 어렵지만, 0.58ms라는 극도로 빠른 응답시간과 래피드 트리거, 스냅탭 기술이 모두 합쳐지면서 전체적으로 매우 반응성이 뛰어난 게이밍 키보드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리뷰를 마치며

레이저 헌츠맨 V3 Pro TKL 8KHz는 8000Hz 폴링레이트, 공장 윤활 스위치, 추가 흡음폼이라는 세 가지 주요 개선사항을 통해 완성도를 높인 플래그십 게이밍키보드입니다. 특히 래피드 트리거와 스냅탭 기능은 발로란트와 같은 FPS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에게 꼭 필요한 옵션중 하나인데요, 또한 리듬게임을 즐기는 유저들에게도 래피드 트리거의 빠른 재입력 방법은 기록단축에 큰 도움을 줍니다.


Razer™ 2세대 아날로그 옵티컬 스위치는 0.1mm부터 4.0mm까지 작동점을 조절할 수 있어, 게임 장르나 개인의 선호도에 맞춰 최적화할 수 있는 점도 매력적인 포인트 입니다.

AD 브레이킹 플레이를 주로 하면서 최고 사양의 FPS 키보드를 찾고 계시다면, 래피드 트리거 키보드 중에서도 8K 폴링레이트를 지원하는 레이저 헌츠맨 V3 Pro TKL 8KHz를 눈여겨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