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7900GS 킬러!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

IP
2006.11.27. 13:28:23
조회 수
11677
2
댓글 수
1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제목 없음 룰루 랄라..

 - 북극곰

"인생지사 새옹지마(人生之事 塞翁之馬)"

모바일 플랫폼에서 7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보여주며 독점을 하다 시피한 ATI는 올해 2/4분기에 들어서면서 NVIDIA의 적극적인 제품 출시로 인해 약 10% 가량 점유율 하락을 보였지만 그대신 데스크탑 시장에서 ATI는 1/4분기에 비해 2.8%가 증가한 것에 비해 NVIDIA는 오히려 1.5%하락하는 등 ATI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NVIDIA가 보급형 시장을 위해 GeForce 7300시리즈를, 중고급형 시장을 위해 GeForce 7600/7900시리즈를 선보이면서 다시 NVIDIA가 독주를 하게 되는등 전세가 역전되었다. 게다가 이런 와중에 ATI와 AMD가 합병이 된다는 소식히 접해지면서 안팎으로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 계속 되었다.

ATI는 이러한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우선 NVIDIA에게 빼앗긴 시장 점유율을 되찾고자 새로운 제품을 하나둘씩 선을 보이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현재 중급형 모델중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는 GeForce 7900GS에 경쟁하기 위해 새로운 공정의 적용 및 여러 가지 개선이 이뤄진 Radeon X1950 Pro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살펴볼 제품은 ATI Radeon X1950 Pro칩셋 기반으로 레퍼런스 모델에 비해 동작 클럭이 오버클럭된 채로 출시되어 더욱더 성능이 향상되었고, 독자적인 쿨링 솔루션인 IceQ 3를 채택해 정숙함과 강력한 쿨링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앱솔루트코리아㈜에서 출시한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이다.

앱솔루트크코리아㈜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

그래픽 코어

ATI Radeon X1950Pro (RV570, 80nm 공정)

코어 동작클럭

630MHz

메모리 동작클럭

740MHz DDR (1480MHz 효율)

메모리 스펙

SAMSUNG 1.4ns GDDR3 256MB

메모리 버스

256bit

인터페이스

PCI-Express x16

입출력 환경

Dual-Link VDI 지원 Dual DVI 포트
TV-Out (컴포지트/S-Video/컴포넌트) / VIVO

구성

사용자 설명서 (영문), 드라이버&데모게임 CD,
번들 게임 (Faul Out) CD, PowerDVD 6 CD,
S-VHS 케이블, DVI 젠더(2개), 컴포넌트 케이블,
VIVO 케이블, 크로스파이어 브릿지, IceQ3용 슬롯가이드

유통사

앱솔루트크코리아㈜ (http://www.abko.co.kr)

가격

244,000원 (11월 27일, 다나와 최저가 기준)

 

 

1.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 레이아웃

▲ 박스 상단에는 이 제품의 주요 특징들이 요약되어 있다. Turbo 라는 모델명에서 볼 수 있듯이 레퍼런스 제품의 동작 클럭 (코어: 575MHz/메모리: 1380MHz)보다 오버클럭(코어: 620MHz/메모리: 1480MHz)된채 출시된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Crossfire 구성 및 Windows Vista 운영체제 지원, VIVO 지원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밖에 HD컨텐츠 보고기술인 HDCP등의 지원등을 확인할 수 있다.


▲ 독자적인 냉각 솔루션인 IceQ3의 사용으로 다른 제품들과는 확연이 구분되는 독특한 레이아웃을 갖추고 있으며 정숙한 소음에 뛰어난 쿨링 성능을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다루도록 하겠다.


▲ IceQ3 케이스 끝쪽에 추가적인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6핀 전원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클립부 고정을 위해 상단 부분에 약간의 공백이 마련되어 있는등 작지만 세심한 배려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한번 장착한 후 분리에는 위쪽의 플라스틱 케이스 때문에 조금 힘들기는 하다.)


▲ 출력부의 구성은 최대 2650x1600의 고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는 Dual-Link가 지원되는 듀얼 DVI 포트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밖에 TV 출력을 담당하는 S-VHS 포트가 구성되어 있다.
S-VHS 포트를 통해 컴포지트 및 컴포넌트 출력 이외에 ATI Rage Theater칩이 장착되어 있어 VIVO 기능까지 사용할 수 있어 TV/VCR/캠코더등을 통한 영상의 출력이나 입력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물론 이를 위한 케이블도 각각 제공된다.


▲ 이 제품만의 독특한 쿨링 솔루션인 IceQ3는 이전 시리즈에 사용되었던 iceQ 2를 개선해 보다 정숙하면서도 뛰어난 쿨링 성능을 갖추었다. 이전 버전에 비해 GPU 및 메모리 그리고 전원부까지 구리재질의 히트싱크가 부착되어 있으며, 여기에 1개의 히트파이프가 추가되는등 발열처리에 보다 신경을 썼으며, 쿨러의 경우에도 그래픽카드의 길이에 맞춰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간섭현상도 많이 개선되었다.


▲ GPU 바로 위에 쿨러가 장착되는 일반적인 구조는 GPU의 발열을 작은 면적의 히트싱크와 장착된 쿨러가 처리해야함으로 상대적으로 RPM이 높아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해 IceQ3의 경우 쿨러가 전원부쪽으로 이동해 있으며 대신 GPU전체를 덮을 만큼 대형 방열판이 장착되어 적은 풍량으로도 충분히 발열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숙함과 쿨링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RV570 코어가 아무리 80nm 공정에서 제조되었지만 3억 3천만개의 트랜지스터 집적과 높은 동작 클럭으로 인해 쿨러없이 사용할 수 있을정도는 아니다. IceQ3는 GPU와 쿨링팬이 맞닿아 열을 식혀주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GPU의 발열해결을 위해 구리재질의 커다란 히트싱크가 장착되어 있으며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위해 카드와 수평으로 얇은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 메모리 위에도 구리재질의 히트싱크가 부착되어 발열을 해결해주고 있으며, 측면을 보면 기존 버전에서 볼 수 없었던 히트파이프가 부착되어 있어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냉각성능을 이끌어내려고 하고 있다.


▲ 그래픽 카드에서 IceQ3 부분을 분리한 모습이다. GPU의 발열을 해결하기 위한 커다란 히트싱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카드 끝쪽에 위치한 쿨러를 통해 유입된 바람이 GPU 히트싱크를 거쳐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임을 알 수 있다.


▲ 메모리는 상단에 ㄱ자 형태로 8개가 부착되어 있으며 메모리와 전원부에도 구리 재질의 히트싱크가 부착되어 발열을 해결해 주고 있다.


▲ 최상위 모델인 Radeon X1950XTX가 90nm공정의 R580+코어를, X1900XTX / X1900XT / X1900GT가  90nm공정의 R580 코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비해 이 제품은 80nm 공정을 적용한 RV570이라는 소래온 코어가 장착되어 있다.
제조공정의 미세화를 통해 기존의 Radeon X1900GT와 동일한 36개의 픽쉘 쉐이더 프로세서, 8개의 버텍스 쉐이더 파이프라인, 16개의 픽셀 파이프라인등을 갖추면서도 낮아진 발열을 발열 및 소비전력을 갖추게 된다.
또한 X1950 Pro의 레퍼런스 코어 클럭은 575MHz로 X1900GT와 동일한데,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의 경우 Turbo라는 모델명에서 볼 수 있듯이 기본 코어 클럭에서 55MHz가 상승된 630MHz 클럭을 갖추고 있어(참고로 X1900XT의 코어클럭은 625MHz이다) 보다 동작 클럭으로 인한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듯 기본적으로 오버클럭이 된 상태로 출시되기 때문에 오버클럭에 익숙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별다른 설정없이도 좀더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로 인한 약간의 비용 상승은 감안한다는 전제하에서지만...)


▲ 사용된 메모리는 삼성 1.4ns GDDR3 SDRAM으로 512bit 링버스 메모리 아키텍쳐가 적용되어 256bit의 구성을 보이며, 전면에 8개의 메모리가 사용되어 256MB의 용량을 갖추고 있다.
레퍼런스 클럭은 1380(690)MHz이지만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은 1480(740)MHz로 오버클럭되어 출시되었기 때문에 레퍼런스 모델에 비해 보다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 VIVO(Video-In/Vidoe-Out)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ATI Rage Theater 칩이 장착되어 있어 함께 제공되는 VIVO 케이블을 통해 TV/VCR/캠코더등과 연결해 영상을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등의 작업을 가능케 한다. 참고로 현재까지 출시된 X1950 Pro 제품의 경우 HIS Raden X1950 Pro 시리즈와 파워칼라사의 제품만이 VIVO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 80nm 제조공정을 통해 낮아진 발열과 소비전력이 줄어들어 기존 X1900 시리즈에 비해 매우 간소한 전원부를 구성하고 있다. GPU 및 메모리의 전원 공급은 VT1165M 및 Pluse PA1312LN 인덕터를 통한 3Phase 구성을 하고 하고 있다.


▲ Radeon 9600XT/9800XT 제품에서 제공해왔던 OverDrive 기능은 그래픽카드의 클럭을 조절하여 성능 향상을 가져오는 것 이외에 온도 센서를 통해 GPU의 온도변화에 따라 동작 클럭을 유동적으로 안정하게 변경시켜줌으로써 GPU에 무리가 가능것을 방지해준다.
이러한 OverDrive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판내에 LM63이라는 온도센서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이 제품은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기판 뒤쪽 GPU 옆쪽에 LM63칩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X1950 Pro의 두드러진 특징중에 하나가 바로 Native Crossfire 방식을 지원한다는 점이다. 기존의 Crossfire 구성을 위해서는 메인 그래픽카드내에 별도의 Compositing Engine을 장착되어야 하며 두 개의 카드간에 외부로 Crossfire 커넥터를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에 비해 Native Crossfire 방식의 경우 GPU 내부에 Compositing Engine를 통합하고 24비트 구성을 갖춘 2개의 CrossFire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좀더 넓은 대역폭의 확보 및 내부 데이터의 처리 성능이 향상되었다.


▲ ASUS P5B Deluxe 메인보드에 제품을 싱글로 장착한 모습으로, IceQ3 쿨링 솔루션으로 인해 바로 아래의 1개의 슬롯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참고로 메인보드에 2개의 PCI-Express x16 슬롯을 갖추고 있고 금전적인 여유가 있다면 Crossfire 구성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 이전 iceQ2의 경우 쿨러가 카드 바깥쪽으로 튀어 나와 작은 케이스를 사용할 경우 주위부품들과 간섭현상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이 제품의 경우 미들급 케이스에도 별다른 문제없이 장착이 가능하다. 다만 PCI-Express x16 슬롯 아래의 슬롯은 사용이 불가능하며, 함께 제공되는 브라켓을 장착해 외부로의 공기 배출을 원활하게 도와준다.

 

 

2.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 성능 테스트

 프로세서

인텔 코어2 듀오 E6400 (콘로)

 메인보드

MSI P965 Neo-F

 메모리

하이닉스 PC5300U 512MB x 2EA (DDR2 667MHz, CL5-5-5-12)

 하드디스크

씨게이트 250GB SATA2 (7200.10/16MB)

 파워서플라이

에너맥스 Noisetaker EG701AX-VE

 모니터

델 2405FPW (1920x1200, 60Hz)

 운영체제

한글 WIndows XP SP2

 드라이버

INTEL 칩셋 S/W 유틸리티 v8.1.1.1001, ATI Catalyst 6.11Beta

비교 제품은 경쟁 제품인 GeForce 7900GS 레퍼런스 제품이 사용되었다.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가 레퍼런스 X1950 Pro에서 오버클럭이 된 상태로 출시된 제품이고 7900GS와도 가격대도 4~5만원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비교는 힘들겠지만 본인이 대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이것밖에 없었기 때문에 이점은 이해해주길 바란다. (2~3일정도 대여가 가능했기에 하단의 온라인 게임 테스트는 비교를 하지 못하였음을 밝힌다.)

ATI Tray Tools 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동작 클럭 및 온도에 따른 팬속도 설정은 다음과 같다. 레퍼런스(575/1400) 모델에 비해 코어/메모리가 모두 오버클럭 (630/1480)되어 출시되었는데, 실제 살펴본 동작 클럭은 이보다도 좀더 높은 값(634/1485)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쿨링팬은 3핀 전원 커넥터를 채택하여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팬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내에서 이에 대한 설정을 확인 및 변경할 수 있다.

 

▒ 3DMark06

그래픽카드의 3D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3DMark06은 HDR 및 Pixel Shader 3.0등의 다양한 효과를 지원함으로써 특히 최신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비교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결과를 보면 모든 해상도에서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은 경쟁상대인 GeForce 7900GS를 약 10% 내외의 차이로 앞서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4xAA와 16xAF를 적용한 후의 결과도 동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4xAA / 16xAF를 적용하였을 때의 이미지 퀄러티는 어떠할까 3DMark06에서는 이러한 비교를 간접적으로 할 수 있도록 게임 테스트내의 한 장면을 동일하게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저장된 이미지중에서 일부분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 No AA / AF

▲ 4xAA / 16xAF

두 이미지를 비교해보면 먼저 바닥면의 경우 아무런 효과를 주지 않았을 경우 한가지 색상을 보여주는 반면 4xAA/16xAF를 설정하였을 경우 명암에 따른 두가지 이상의 색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전면에 위치한 박스의 모습의 경우에도 4xAA/16xAF를 적용했을 경우 보다 세밀한 표현과 계단 현상등이 줄어든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1280x1024 해상도에서 AA/AF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4xAA/16xAF를 적용하였을 때의 각각의 수치를 비교해보면 약 25%의 성능 하락을 보여주고 있다. 이정도 차이는 체감상으로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정도이기 때문에 자신의 시스템 사양이 어느정도 뒷받침해줘야만 원활하게 즐길 수 있다.

 

▒ Quake4

그래픽카드의 3D 성능 측정에 가장많이 사용되는 게임인 Quake4를 이용하여 실제 게임 플레이시의 체감 성능을 살펴보았다. 참고로 퀘이크4의 경우 게임 자체내에서 멀티쓰레드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듀얼 코어에서 보다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게임내의 설정은 High Quality 와 Ultra High Quality의 두가지 모드를 선택하였으며 듀얼코어를 인식하도록 콘솔 명령어를 넣어 주었다. 이밖에 HDR과 AA등의 필터링 효과는 사용하지 않았고, 녹화 파일은 해외에서 벤치마크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데모인 Necro666이 사용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지금까지의 결과와는 달리 7900GS가 약 10%이상 앞선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퀘이크4가 OpenGL기반의 게임이고 NVIDIA가 유달리 OpenGL쪽에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런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 F.E.A.R

모노리스사에서 출시한 1인친 FPS게임인 F.E.A.R은 최소 사양이 펜티엄4 1.7GHz 이상, 512MB이상의 메모리, Radeon 9000/GeForce 4TI 이상의 그래픽 카드를 요구하며, 권장 사항은 펜티엄4 3.0GHz 이상, 1GB이상의 메모리, 256MB이상 메모리를 갖춘 Radeon 9800 Pro등으로 지금까지 출시된 게임들중 가장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옵션에서 AA/AF를 제외한 모든 항목을 최고로 설정한 후 기본으로 제공되는 타임데모 테스트를 통해 최소/최고 프레임 및 평균 프레임을 살펴보았다.
 

결과를 살펴보면 1024x768 및 1600x1200 해상도 모두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가 약 10% 내외로 앞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최대 프레임은 두 제품간의 성능차이만큼 차이가 발생하지만 최소 프레임은 이보다는 근소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타임데모동안의 프레임 변화는 7900GS쪽이 좀더 적은 폭을 보여주었다.

 

▒ Prey

듀크 뉴켐으로 유명한 3D REALM사에서 오랜 개발끝에 선보인 FPS 게임인 PREY는 둠3의 엔진을 기반으로 보다 뛰어난 물리엔진과 정교한 그래픽을 제공한다.

게임내의 설정은 AA/AF를 제외한 모든 항목을 최대로 설정하였으며 그래픽 부스트 기능은 활성화하였다. 참고로 이 게임은 4:3 화면 비율 뿐만 아니라 16:9 와이드 화면 비율을 지원하기 때문에 1920x1200 해상도에서는 16:9 화면 비율로 설정하였다.
 

둠3 엔진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OpenGL에 보다 강력한 성능을 보이는 7900GS가 앞선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그 차이는 줄어들며 1920x1200에서는 역전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xAA/16xAF를 적용하였을 때는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거의 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024x768해상도에서는 7900GS가 근소하게 앞선 모습을 보여주지만 그 이상의 해상도에서는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가 앞서고 있다.

 

▒ 배틀필드 2142

하반기 최고의 기대작중에 하나인 배틀필드2142의 경우 싱글플레이 및 최대 64명 온라인플레이를 지원하는 게임으로 이번 테스트는 Fall Of Berlin 맵에서 보병으로 전투를 하다 중앙지역에서 메카닉으로 갈아타 적과 전투를 하다 자동차로 갈아타 이동하는 장면을 약 3분동안 Fraps를 이용하여 프레임 측정을 하였다.
 

초반 시내로 이동하면서 적과 조우시시에는 43~47 프레임을 보여주었으며 메카닉을 탄 후 70프레임까지 상승하다가 전투를 벌이면 급격한 프레임 갑소가 이뤄지고 있지만 최소 35 프레임 이상은 유지해주고 있다. 이후에 자동차로 갈아탄후 시내를 빠른속도로 이동할 경우에는 20~60 프레임사이을 왔다갔다하지만 실제 플레이시에는 끊김등의 현상을 발생하지 않았다. 즉, 싱글플레이시에 한정된 테스트였지만 다수의 적과 장비가 동원되더라고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하였다.

 

▒ 리니지 2 II

국내의 대표적인 3D 온라인 게임인 리니지2의 프레임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자. 서버의 부하가 가장 적은 시간을 이용해 필드내에서 몬스터를 사냥하는 모습을 3분간 녹화한 후 이를 Fraps를 이용해 최소/최대/평균 프레임을 측정하였다.

참고로 게임 설정은 1920x1200 16bit 해상도, 화질개선셰이더를 제외한 모든 항목을 최고로 설정한 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다수의 몹이 한번에 등장하는 장면을 제외하고는 플레이서 끊김이나 화면이 밀리는 등의 모습은 발견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하였으며 이는 리니지2에 사용된 언리얼2 엔진의 덕택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HDR렌더링을 적용할 경우 프레임 하락을 보이는데 예상보다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는다.

참고로 리니지2는 업데이트를 통해 픽셀쉐이더 및 HDR 등의 지원이 추가되었는데, 그로 인한 화질 개선또한 뛰어난 편이다. 리니지2에서는 글로우효과A/B, HDR렌더링A/B/C의 다섯가지 화질개선셰이더 항목을 제공하는데, 이중에서 HDR렌더링을 적용하였을 때의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화질개선셰이더 - 사용안함
 

▲ 화질개선셰이더 - HDR렌더링A
 


▲ 화질개선셰이더 - HDR렌더링B

▲ 화질개선셰이더 - HDR렌더링C

HDR렌더링을 설정하였을 경우 햇빛이 비춰지는 방향에 따라 머리나 갑옷등의 반사효과등도 보다 사실적으로 변하며 캐릭터뿐만 아니라 나무나 바위등의 사물에서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B/C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개인적으로 HDR렌더링C 설정값이 실제 모습과 가장 일치한다고 보여진다. 

 

▒ Soul Of Ultimate Nation

웹젠에서 선보인 3D 온라인 게임인 SUN(Soul Of Ultimate Nation)온라인의 프레임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자. 참고로 시스템 권장사항은 펜티엄3 3GHz이상, 1GB이상의 메모리, GeForce6200/Radeon 9600 이상의 그래픽카드등으로 매우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임내의 설정은 1600x1200x24 해상도에 텍스쳐 품질 및 이렉트 품질은 높음으로, 글외 모든 효과는 체크한 상태였으며 약 40마리 정도의 몬스터가 밀집한 곳에서 전투를 하는 장면을 Fraps를 이용해 약 3분동안 프레임을 측정하였다.
 

전반적으로 60프레임이 넘는 모습을 보여주어 원할한 플레이가 가능하였으며 광역마법등을 사용해 커다란 이펙트 효과가 나타날 경우에는 프레임 저하를 보이지만 이또한 40프레임 정도로써 크게 거슬릴 정도는 되지 않는다.

 

▒ World Of Warcraft

본인이 가장 즐겨하는 온라인 게임인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통한 프레임 테스트를 실시해보도록 하자. 그래픽 설정은 아래와 같으며 트라이리니어 필터링을 제와한 모든 항목을 최고로 설정하였으며 아이언포지-그늘숲 까지 그리폰 이동시의 프레임 변화를 Frap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이언포지 광장을 벗어날 때 급격한 프레임 감소가 이뤄지는데 이는 광장에 다수의 캐릭터와 각종 건물이 운집해 있기 때문이며 다른 그래픽카드에서도 동일하게 프레임 감소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이아언포지를 벗어난 후에는 50~60프레임으로 안정된 동작을 보여주며 도착지점에서 40프레임대로 프레임이 낮아지는 것은 주위에서 대대적인 전투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즉, 최고 해상도와 설정으로 마을을 이동하거나 몹을 사냥하는 정도는 큰 무리가 없지만 다수의 적과 전투를 벌이는 상황에서는 급격한 프레임 감소와 랙을 경험하게 된다. (물론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7800GTX에서도 이 경우 어느정도 랙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 IceQ3, 과연 얼마나 쿨링 성능에 효과적인가?

앞서 X1950 Pro 코어가 80nm 공장에서 제작되었기에 상대적으로 발열 부분에서 유리하며, 또한 iceQ3 쿨링 시스템 덕분에 조용하지만 뛰어난 냉각성능을 제공한다고 언급한적이 있다. 과연 이러한 부분이 실제 사용시에 적용이 되는지 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3DMark06에 그래픽카드에 최대한의 부하를 주도록 설정한 후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Riva Tuner를 통해 그래픽코어의 온도 및 외부 온도 그리고 팬속도등을 측정하였다. 참고로 시스템 구성등에 따라 결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지 참고만 하길 바란다.
 


▲ 그래픽 코어 온도 변화
 


▲ 외부 온도 변화
 


▲ 쿨링팬 RPM 변화

컴퓨터를 켠후 5분동안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았을 때인 IDLE시의 온도는 코어 49℃, 외부 45℃, 팬은 60%의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정숙한 동작을 보여준다.

3DMark06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구간에 따라 온도 상승과 하락이 이어지고 있으며 테스트 동안 코어 최고온도는 69℃, 외부 48℃로 IDLE시에 비해 각각 20℃/3℃가 증가되었다. 코어의 온도 상승은 예상보다 큰 폭인데 이는 쿨링팬이 코어에 부착되어 직접적으로 발열을 처리하는 방식이 아닌 히트싱크를 통해 열을 전달한 후 측면의 쿨링팬을 통해 유입된 바람이 히트싱크를 식혀주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코어의 온도가 69℃까지 상승하더라도 외부 온도는 IDLE시에 비해 약 3℃밖에 증가되지 않는데, 이는 바로 IceQ3의 쿨링 솔루션의 장점으로 히트싱크를 냉각시킨 바람이 케이스 후면으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추었기 때문이다.

다만 코어 온도가 상승하면서 쿨링팬의 RPM도 함께 상승해 최고 90%의 회전속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때 IDLE시에 느꼈던 정숙함보다는 약간 귀를 거슬리는 소음을 보여주어 아쉬움을 남긴다. (물론 팬속도를 고정할 수도 있지만 이럴 경우 그만큼 그래픽카드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니 두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는 없는 노릇이다)

 

 

3. 높은 성능과 뛰어난 쿨링 솔루션을 갖춘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

RV570 GPU를 채택한 X1950 Pro는 기존에 출시된 X1900GT을 대체해 경쟁상태인 GeForce 7900GS와 경쟁을 하기 위해 출시된 제품인만큼 픽쉘쉐이더, 버텍스 쉐어더, 픽셀 파이프라인 수등 기본적인 하드웨어 스펙은 X1900GT와 동일하다. 다만 새로운 80nm 공정의 도입으로 발열이나 소비전력등에서는 유리한 모습을 보이며 특히 메모리의 경우 좀더 높은 클럭(1380MHz)으로 동작함으로써 성능 향상을 이끌어 내고 있다.

X1950 Pro의 장점은 80nm 공정의 도입뿐만 아니라 CrossFire의 구성에서도 커다란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기존에는 별도 엔진이 장착된 마스터 카드와 그렇지 않은 슬레이브 카드를 구분하여 장착해야 했으며 외부 커넥터를 이용한 CrossFire 구성을 해야만 했다. 이에 비해 새롭게 변경된 Native CrossFire 방식은 그랙픽 코어 내부에 관련 엔진을 통합함으로써 내부 24bit 커넥터를 사용해 장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이를 통해 좀더 넓은 대역폭을 갖추게 됨으로써 전반적인 성능 향상또한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갖춘 X1950 Pro를 보다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것이 지금까지 살펴본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라고 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코어 및 메모리 동작 클럭을 레버런스에 비해 오버클럭한채 출시함으로써 오버클럭을 원하는 초보자나 적은 비용추가로 좀더 빠른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어필을 하고 있다. 실제로 벤치마크 프로그램 및 실제 게임상에서의 7900GS와의 성능차이를 살펴본 결과 OpenGL을 지원하느  게임에서만 7900GS가 근소하게 앞섰을뿐 그외 모든 테스트에서는 약 10%이상 앞선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해외출시가격은 X1950 Pro가 $199, 7900GS가 $195로 동일한 수준이며 현재 시장의 판매가는 7900GS이 19~24만원, X1950 Pro이 21~25만원선으로 X1950 Pro가 약 2~3만원 높은 편이다. 7900GS의 출시 시가가 더 빨랐다는 점, 많은 제조사들이 출시해 그만큼 경쟁이 심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출시된지 한달여밖에 되지 않은 X1950 Pro의 가격은 해외 출시가격과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다고 할 수 있다.


▲ 다나와에 등록되어 있는 X1950 Pro 칩셋을 사용한 제품들 (11/27 기준)

물론 20만원 초반대를 형성하고 있는 X1950 Pro 제품들에 비해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는 24만원대로 현재 출시된 X1950 Pro칩셋을 사용한 제품중에서 제일 가격이 높다. 물론 이러한 가격 상승은 오버클럭된 채로 출시하기 위해 보다 높은 수율의 제품을 수급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독자적인 쿨링 솔루션인 IceQ3를 사용하는 것등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 ATI Rage Theater 칩셋의 장착으로 VIVO를 지원함으로써 활용 범위가 더욱더 넓어질 수 있다는 점도 또다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ceQ3 쿨링 솔루션은 기존 IceQ2에서 히트싱크의 재질 변경 및 크기를 좀더 넓히고, 쿨링팬을 카드에 맞춰 배치하는 등 좀더 뛰어난 냉각 성능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실제 테스트 결과에서도 GPU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지만 IceQ3 덕분에 외부 온도는 약간의 상승만을 보여 전체적으로 뛰어난 쿨링 성능을 갖추고 있다. 다만 GPU의 온도상승에 따른 팬 RPM의 증가로 인한 소음이 좀 큰 편이기 때문에 예전의 정숙함&쿨링 성능을 동시에 만족해주지는 못한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밖에 iceQ3 쿨링 솔루션의 사용으로 PCI-Express x16 슬롯과 그 아래쪽의 슬롯까지 모두 2개의 슬롯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다수의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따를 수도 있으며 만약 CrossFoire구성을 한다면 모두 4개의 슬롯을 차지하는 셈이 되므로 그 부족현상은 더욱더 가중될 수 있다.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은 지금까지 중급형 그래픽카드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7900GS를 충분히 상대하고도 남을 정도의 뛰어난 성능, IceQ3 쿨링 솔루션의 쿨링 효과 그리고 다양한 부가기능을 무기로 중급형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한동안 X1950 Pro의 강세는 지속될 것이고 그 중심에는 HIS Radeon X1950 Pro IceQ3 Turbo 256MB VIVO가 있을 것이다. 물론 선택은 사용자의 몫이긴 하지만...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사용기 로지텍 G735 진심을 담은 후기
사용기 알파스캔 AOC 27B36 보더리스 사용 후기
사용기 차박/캠핑 TV 종결 아이템!! 이스트라 팔로미 24인치 무선 포터블TV 사용기
사용기 MSI MAG A1000GL 80PLUS 사용기
사용기 한성컴퓨터TFG24F14P2 FHD IPS 144Hz 게이밍 모니터(무결점)
사용기 풀윤활 기계식 키보드 추천 유무선 블루투스 지원되는 지클릭커 WK98 (1)
간단 사용기 G5 C34G55T 간단 구매 후기! (2)
공간/설치기 MSI MAG 401QR 구매후기 (2)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80 팬텀 D7 16GB 설치 및 사용기~ (2)
사용기 MSI MAG B850M 박격포 WIFI 사용후기 (2)
사용기 게이밍마우스 추천 경량 4K 무선 블루투스 펄스파이어 사가 프로 실사용리뷰 (2)
간단 사용기 gainward rtx5080 팬텀 (2)
사용기 gainward rtx 5070 ti phoniex 리뷰 (2)
사용기 Gainward GeForce RTX 5070 Python III 사용기 (2)
사용기 pny 5080 triple fan 제이씨현 (2)
간단 사용기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80 BLACK OC D7 16GB 간단 후기 (2)
사용기 5070ti 피닉스 사용기 (2)
사용기 크로스오버 27GUA950 모니터 후기 (2)
간단 사용기 조텍 5070 AMP 화이트 리뷰 (3)
간단 사용기 GAINWARD 5070ti 피닉스 후기 (3)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