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공유기에 외장하드 기능은 기본, 클라우드는 덤! 세마전자 스토리링크 SHD-G9

IP
2014.03.11. 10:28:54
조회 수
5511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jpg
공유기와 외장하드는 회사나 연구실은 물론, 가정 집에서도 우리가 늘상 사용하는 컴퓨터 기기입니다. 하지만 책상 위에 모니터와 스피커 그리고 공유기에 외장하드까지 놓자니, 자리도 없고 어떻게 놓는다고 해도 산만해 보이기 쉽습니다. 게다가 책상 자체가 원래부터 작으면 이런 고민은 더  커지게 마련입니다.
협소한 장소에서도 공유기와 외장하드를 사용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그 해답은 이제 세마전자가 출시한 신개념 외장하드, 스토리링크 SHD-G9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공유기 기능도 외장하드 기능도 수행하고, 덤으로 클라우드 기능까지 맛볼 수 있는 SHD-G9은 복잡하고 번거로운 거 싫어하는 세상 사람들에게 명쾌한 해결책을 제시해줄 것입니다.
이 사용기는 (주)세마전자 &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2.jpg

3.jpg
SHD-G9의 세부스펙과 세마전자 홈페이지

모든게 하나가 된 스마트한 외장 스토리지!
그동안 세마전자는 저렴하고 뛰어난 성능의 공유기와 랜 카드, 세련된 디자인이 돋보이는 외장하드 등을 잇달아 출시하며 그 이름을 사람들에게 각인시켜 왔습니다. 이러한 관심에 힘입어 최근에 출시한 유/무선 스토리지, SHD-G9은 외장하드와 공유기 기능을 결합시킨, 종래의 네트워크 시장과 스토리지 시장에서는 결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타입의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USB3.0의 초고속 스피드를 보이는 외장하드 케이스이지만, 외장하드를 쓰지 않는 평상시에 유무선 공유기로 작동하는 이 제품은 하나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세상에서 가장 똑똑한 스마트 제품입니다. 게다가 강력한 클라우드 기능까지 지원하고 있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컨텐츠를 거리의 제약없이 아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는 것도 이 제품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 하겠습니다.



4.jpg
패키지 디자인
패키지에는 SHD-G9의 주요 특징과 외형 상의 특징이 간략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전면과 후면을 통해서 우리는 이 제품의 세부 스펙과 타 제품 대비 강점을 사용 전에 미리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5.jpg



6.jpg
패키지의 전체 및 전면 모습
SHD-G9은 3.5형 SATA HDD 제품으로, 본 리뷰에서 살펴볼 제품은 하드가 미포함된 외장하드 케이스 제품입니다.


7.jpg

8.jpg
패키지 전면에서 볼 수 있는 제품 주요 특징과 자매품, SHD-K9
패키지 전면의 우측 상단에는 이 제품의 주요 특징이 아이콘으로 나타나 있으며, 그 아래에는 같은 성능을 가지는 자매품, SHD-K9의 모습이 보입니다. 3.5형 HHD를 쓰는 SHD-G9이 고정된 장소에 놓고 사용하는 제품이라면, K9은 2.5형 HHD를 사용하며 컬러풀하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좀더 휴대성이 강조된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9.jpg



10.jpg
패키지 후면 모습
패키지 후면에서는 제품 특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해주고 있으며, 그 외에 세부적인 스펙과 부위별 기능에 대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11.jpg

12.jpg
제품의 주요 특징
패키지 후면에 있는 제품의 주요 특징입니다. SHD-G9의 강점을 네 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첫째로 집 외부든 내부든 원격에서 편리하게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점, 안드로이드와 iOS에 관계없이 스마트 앱으로 누구나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점, 무선 외장하드를 쓰면서 유무선 공유기로의 기능도 가능하다는 점, USB3.0의 초고속 스피드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jpg

14.jpg
제품 세부 스펙과 부위별 명칭
특징 아래에는 제품의 상세한 스펙과 부위별 명칭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15.jpg




16.jpg
패키지 측면 모습
패키지 측면에서는 G9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물론, 스마트 TV나 콘솔, 와이파이 카메라까지 모두 G9에서 사용가능합니다.


제품 및 기타 구성품
패키지를 개봉해서 제품을 비롯한 패키지 내부에 있는 구성품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9은 단순한 외장하드가 아닌 공유기 기능까지 수행하는 제품이라, 메뉴얼과 데이터 연결 케이블 외에 고출력 어댑터, 랜 케이블 등이 함께 들어 있습니다.
구성품 중에서 제품을 세로로 세울 수 있는 크래들이 없는게 아쉽습니다. 개인적으로, 외장하드나 공유기는 제품을 세워서 쓸 수 있는 크래들이 있어야 공간적으로 활용하기에 참 좋다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크래들의 부재는 여러모로 아쉬운 부분입니다.

17.jpg
패키지 개봉
패키지를 개봉하면 제품과 구성품들이 충격흡수 쿠션으로 안전하게 보호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8.jpg




19.jpg
제품 본체와 전체 구성품의 모습
패키지에는 제품과 메뉴얼, 연결 케이블 외에 고출력 어댑터, 랜 케이블이 함께 동봉되어 있습니다. 크래들까지 있었으면 더욱 좋았을 텐데요...


20.jpg
제품 메뉴얼
G9의 사용자 설명서는 제품 설치부터 환경설정, 사용법까지 매우 자세하게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덕분에 공유기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초심자라 할지라도 아주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21.jpg

22.jpg
하드 장착 및 제품 연결
사용자 설명서는 텍스트 외에 사진을 풍부하게 사용해서 초심자라 할지라도 매우 쉽게 제품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23.jpg

24.jpg
무선연결 및 설치 마법사
공유기의 환경설정과 무선잡는 것은 초심자라면 다소 헷갈릴 수도 있으나, G9은 아주 간편합니다. 또, 설명서도 그 과정을 매우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25.jpg
고출력 전원 어댑터
외장하드와 공유기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G9이기에 제품에는 충분한 전원을 공급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어댑터 규격은 12V, 1.5A로 안정적인 제품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26.jpg




27.jpg
데이터 연결 케이블
외장하드로서 제품을 사용할 때 쓰는 데이터 케이블로, 규격은 5GB/s의 속도를 자랑하는 초고속 USB3.0입니다.

28.jpg
화이트 컬러의 심플 & 깔끔한 디자인
컬러풀하고 화려한 느낌의 SHD-K9에 비해, SHD-G9은 다소 밋밋한 편입니다. 화이트 컬러의 바디에 블랙 컬러의 4dBi 안테나 1개가 있는 G9의 디자인은 심플하고 깔끔하다는 인상이 강합니다.
3.5형 외장하드 기능도 같이 수행하기 때문에 크기는 다른 공유기들에 비해 좀 큰 편입니다. 178㎜(W), 35㎜(H), 117㎜(D)의 사이즈는 타 제품보다는 크긴 하지만, 책상 한 구석에 놓고 쓰기에는 괜찮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29.jpg




30.jpg
SHD-G9의 전체 디자인
제품 외형은 단순합니다. 공유기 기능을 위해 안테나가 하나 달려있다는 것만을 빼면 전체적으로 다른 3.5형 외장하드 모습과 그리 다를 바 없습니다.


31.jpg




32.jpg

33.jpg
제품 상단 디자인
제품 상단에는 스토리링크 브랜드 로고와 제품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알린 LED 램프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안테나 및 측면 지원 포트, 단자
상태 알림 LED 램프가 있는 측면 쪽을 보면, 안테나와 제품이 지원하는 포트와 단자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공유기와 외장하드가 합쳐진 모델답게, 여기에서 우리는 리셋과 전원 포트 외에 공유기의 랜 포트와 외장하드의 데이터 케이블 포트를 모두 살펴볼 수 있습니다.

34.jpg
1개의 4dBi 안테나
1개 달린 2.4GHz, 4dBi 안테나는 802.11n 무선 규격을 지원하며, 동급의 보급형 공유기 정도의 성능을 발휘해줄 것입니다.


35.jpg
측면 지원 포트 및 단자
안테나가 있는 측면에는 인터넷 케이블 포트와 PC 포트, 외장하드를 위한 USB3.0 포트 그리고 리셋, 전원 단자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열 해소를 위한 통풍 에어홀
제품 바닥면에는 사용중에 나타나는 발열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에어홀이 빼곡하게 있습니다. 또, 모서리 사방에는 미끄럼 방지패드가 있는데, 방지패드는 2개만 자동으로 붙어 있으며, 나머지 2개는 HDD 설치를 모두 완료하고 붙이면 됩니다.

36.jpg




37.jpg
제품 바닥면과 통풍 에어홀의 모습
제품 발열을 최대한 낮추기 위해 바닥면 전체에 에어홀이 빽빽하게 있습니다.


38.jpg

39.jpg
미끄럼/진동 방지패드
제품을 바닥에 단단히 고정하고 진동을 줄여주는 방지패드는 현 상태에서는 2개만이 붙어 있으며, 나머지는 조립 후에 붙이게 됩니다.



40.jpg
제품 분해 및 내부 모습 살펴보기
다음에는 제품을 분해해서 내부의 모습을 살펴보고, HDD를 설치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제품 덮개를 분리해야 하는데, 따로 나사로 조여있지 않아서 아주 쉽게 분리해낼 수 있습니다.

41.jpg

42.jpg
제품 분해 과정
상태 알림 LED 램프가 있는 윗부분을 잡고 들어올린 후, 반대쪽 제품 로고가 있는 방향으로 밀어주면 아주 쉽게 덮개를 벗겨낼 수 있습니다.


43.jpg
제품 내부의 전체 모습
덮개를 벗겨낸 내부의 전체 모습입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내부는 단순한 모습이며, 안에는 HDD 설치를 위한 진동방지 HDD 고무패드와 조립 나사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44.jpg
진동방지 HDD 고무패드와 조립 나사, 미끄럼 방지패드
HDD 조립을 위한 고무패드와 나사, 그리고 조립을 모두 끝내고 제품 바닥에 붙힐 2개의 미끄럼 방지패드입니다.


45.jpg
HDD SATA 포트와 기판 회로
내부 상단에는 HDD를 장착할 SATA 포트와 제품 측면 포트와 단자에 관한 기판 회로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습니다.


시스템 설치
HDD를 장착하고 시스템 설치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조립에 사용한 HDD는 WD 640GB입니다.
HDD를 설치하고 마지막에 스티커가 있는 미끄럼 방지패드를 붙이면 그걸로 조립은 그걸로 간단하게 완료인데, 이 방지패드가 1회용이라는 건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46.jpg

47.jpg
HDD 설치하기
먼저 HDD 양쪽에 진동방지 고무패드를 장착해줍시다. 그리고 SATA 포트에 조심스럽게 밀어주면서 설치하면 됩니다. 내부 공간은 HDD가 꼭 맞게 들어갈 정도이기 때문에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조립해야지, 무리하게 힘으로만 막 하다보면 SATA 포트에 손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조립할 때에는 충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48.jpg




49.jpg
HDD 조립을 완료한 모습
HDD 조립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HDD 양쪽에 있는 고무패드가 내부에서 HDD가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잘 잡아주고 있습니다.


50.jpg
미끄럼 방지패드 붙이기
HDD를 설치하고 제품 바닥에 나사를 조이고, 미끄럼 방지패드를 붙이면 설치가 모두 끝이 납니다.
그런데 이 방지패드가 스티커 부착식이라, 한 번 붙이면 나중에 다시 떼기 곤란하고 설령 떼어낸다해도 부착력은 약해지기 마련입니다. 외장하드는 안에 있는 HDD를 분리해야 할 경우도 종종 있는데, G9은 이러한 HDD 착탈이 좋지 않은게 조금 아쉽습니다.


컴퓨터에 연결한 제품 디자인
시스템 설치도 끝났으니, 이제 제품을 컴퓨터에 연결해 보겠습니다. G9은 USB3.0 케이블을 꽂지 않으면 공유기로, 꽂게되면 외장하드로 기능하며, 이러한 상태변화는 알림 LED 램프를 보고 확인하면 됩니다.

51.jpg

52.jpg
책상 위에 놓아져 있는 SHD-G9
처음에는 제품을 가로로 놓았지만, 아무래도 책상 위의 공간이 너무 협소한 관계로 세로로 세워서 빈 공간에 제품을 밀어넣었습니다. 이렇게 세로로 세워서 쓸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크래들을 지원해준다면 좀더 안정감있게 쓸 수 있을 텐데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습니다.


53.jpg

54.jpg
공유기로 사용중인 모습(上)와 외장하드로 사용중인 모습(下)
G9은 USB3.0 데이터 케이블을 사용 유무에 따라 공유기의 사용과 외장하드의 사용이 달라지게 됩니다. USB3.0 케이블을 연결하면 외장하드, 그렇지 않으면 공유기입니다. 제품의 사용상태는 알림 LED 램프의 색 변화로도 식별할 수 있는데, 블루 LED가 들어오면 공유기(슬립 모드에서는 청록색 LED), 퍼플 LED가 들어오면 외장하드(슬립 모드에서는 레드 LED)입니다.
제품은 1분간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슬립 모드로 들어갑니다. 이는 전력소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이나, 접속이 잦은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55.jpg
데스크탑에서 시스템 설정하기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시스템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설정화면은 인터넷 창에 10.10.10.254를 치면 언제든지 들어올 수 있습니다.

56.jpg
상태 정보 화면
10.10.10.254를 쳤을 때 가장 먼저 들어오는 초기 화면이 상태 정보 화면입니다. 여기는 현재 설정된 G9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체적으로 한눈에 볼 수 있게끔 합니다.


57.jpg
설치 마법사 1단계
맨 윗줄의 탭을 눌러서, 설치 마법사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제 1단계는 통합 관리자 설정으로 초기에는 계정명과 암호 모두가 admin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DDNS로 사용할 때 아무나 쉽게 외장하드에 접근하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계정명과 암호는 꼭 변경하도록 합시다.


58.jpg
설치 마법사 2단계
설치 마법사 2단계는 인터넷 연결 방식 선택입니다. 대부분의 가정 집은 일반 광랜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냥 유동 IP주소 방식을 선택하고 넘어가도록 합시다. 만일 사무실이나 관공서와 같은 곳이라면 고정 IP주소 방식으로 해서 지정된 IP를 쓰면 됩니다.


59.jpg
설치 마법사 3단계
설치 마법사 3단계는 무선 설정으로, 현재 가장 안전한 방식인 WPA2-PSK에서 딱히 손대지 말고 그대로 암호 설정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60.jpg
설치 마법사 4단계
설치 마법사 4단계는 DDNS 설정입니다. DDNS는 주로 유동 IP주소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도 DNS를 쉽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SHD-G9은 DDNS를 기본적으로 지원합니다.


61.jpg
설치 마법사 완료
설정을 모두 마치면 변경 사항을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자동으로 시스템이 재부팅됩니다.


62.jpg
인터넷 설정
설치 마법사 옆에 있는 탭은 인터넷 설정 탭입니다. 여기서는 IP주소의 유동/고정 여부, 맥 주소의 복사와 DDNS 설정 재설정 여부 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63.jpg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에서는 유선 포트의 동작과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세부 설정,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와 보안에 대한 설정 상태를 보여주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고 쓸 수 있도록 사용함으로 설정하도록 합시다.


64.jpg
시스템 관리
시스템 관리는 통합 관리자와 게스트 계정에 대한 설정, 그리고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시스템 설정하기
G9의 시스템 설정은 위에서 본 것처럼 데스크탑에서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를 통해서도 할 수 있습니다. 데스크탑과 마찬가지로 10.10.10.254를 치면 스마트폰용 설정 화면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오히려 데스크탑보다는 스마트폰이 더 깔끔하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65.jpg
스마트폰 설정화면
스마트폰으로 시스템 설정에 들어갔을 때의 초기 화면입니다. 컴퓨터로 하는 것보다 오히려 더 깔끔하고 가독성이 있습니다.


66.jpg
스마트폰 상태 정보
스마트폰으로 본 상태 정보 화면입니다. 인터넷 정보부터 HDD 정보까지 핵심 사항만으로 간단명료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67.jpg
스마트폰 설치 마법사
스마트폰의 설치 마법사 화면입니다. 마찬가지로 데스크탑에서 하는 것과는 별다른 차이가 없습니다.


68.jpg
펌웨어 업그레이드
데스크탑에서 시스템 설정할 때,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아서 스마트폰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습니다. 현재 최신 버전은 1.0.2이며, 아주 간편하게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습니다.



69.jpg
유 / 무선 속도 테스트
공유기로서 SHD-G9의 성능을 테스트해보았습니다. 공유기로 볼 때 G9은 150Mbps급의 보급형 제품들과 비슷한 성능을 보이는데, 이를 벤치 사이트를 통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테스트는 벤치비를 사용하였습니다.

70.jpg
유선 테스트
유선 상의 성능 테스트 결과입니다. 다운로드 91.2Mbps, 업로드 65.6Mbps로 사용하는 지장없는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71.jpg
무선 와이파이 테스트
스마트폰을 통한 무선 와이파이 속도 테스트입니다. 다운로드 22.2Mbps와 업로드 20.8Mbps로 다른 150Mbps급 제품들과 엇비슷한 수준입니다. 단, 역시 보급형 제품 수준이라 장애물이 있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속도 감소가 제법 크게 나타납니다.


외장하드 속도 테스트
USB3.0 케이블을 연결해서 외장하드 모드로 돌려놓고, 외장하드로 쓸 때의 속도는 어떻게 나오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테스트는 벤치 프로그램인 CrystalDiskMark와 HD Tune을 사용했으며, 실제로 대용량 파일을 옮길 때 느낄 수 있는 체감 속도도 확인해보았습니다.

72.jpg
CrystalDiskMark 테스트
USB3.0 포트를 연결하고 크리스탈디스크마크를 통해 알아본 결과입니다. 읽기, 쓰기 속도가 모두 100MB/s를 넘는 빠른 속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73.jpg
HD TUNE 테스트
가장 보편적인 HDD 속도 테스트 툴의 하나인 HD TUNE의 테스트 결과입니다. 평균 90.MB/s로 USB3.0 기기의 속도는 잘 나왔다고 생각됩니다.


74.jpg
실제 데이터 복사의 체감 테스트
24개 파일의 26.2GB의 대용량을 복사할 때의 속도를 알아보았습니다. USB2.0으로는 시간 단위로 걸릴게 3분 대로 끝이 나네요.
이처럼 G9은 USB3.0 외장하드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잘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75.jpg
네트워크 드라이브 설정
SHD-G9은 외장하드, 공유기 기능은 기본, 여기에 무선 와이파이 하드와 클라우드 기능의 추가되어 우리는 이 제품을 더욱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컴퓨터 상에서 G9을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설정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76.jpg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컴퓨터 탐색기에서 컴퓨터에 커서를 놓고, 우클릭 한 후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선택합니다.


77.jpg
네트워크 암호 입력
네트워크 암호 입력 창이 뜨면, 시스템 설정에서 지정했던 암호를 입력합시다.


78.jpg
연결할 네트워크 폴더 선택
찾아보기를 사용해서 검색에서 나타난 STORYLINK를 찾아, 폴더를 선택하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설정이 완료됩니다. 이제 USB3.0 포트를 연결하지 않아도 컴퓨터에서 G9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79.jpg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의 파일 복사
네트워크 드라이브로의 파일을 복사해보았습니다. USB3.0 포트를 연결하지 않아서, 속도가 빠르지는 않습니다.


80.jpg
외장하드와 네트워크 드라이브 활성화 / 비활성화
공유기와 외장하드 기능이 따로 분리되는 것처럼, 외장하드와 네트워크 드라이브도 당연히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USB3.0 포트를 연결해서 외장하드를 활성화시키면 반대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비활성화됩니다.
용량이 큰 파일을 옮길 때에는 물론, 외장하드를 쓰는게 효율적이겠으나, 만일 크기가 작다면 그대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것도 번거로움을 피하는 방법이라 하겠습니다.


스마트폰으로 SHD-G9 활용하기
다음은 SHD-G9의 미디어 콘텐츠를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해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제품의 본 사용보다 더 많이 활용하는 기능으로, G9이 지원하는 강력한 무선 하드 / 클라우드 기능은 거리의 제약에서 우리를 해방시켜줄 것입니다.

81.jpg
세마전자 앱 다운로드
사용하기 전에 먼저 앱을 다운받아야 합니다. 앱 스토어에서 세마전자를 클릭했을 때, 가장 위에 보이는 앱을 다운로드해서 스마트폰에 설치하면 됩니다.


82.jpg
SEMA SMART eHDD StoryLink의 초기 화면
세마전자 스마트하드 앱의 초기화면입니다. 맨 위에는 2개의 탭이 있어서 스마트폰과 G9과의 파일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항목, 스마트폰 파일 관리는 현재 앱이 깔린 스마트폰의 파일을 살펴볼 수 있으며, 무선(WiFi) 외장하드 연결과 클라우드 연결은 무선 하드와 클라이드로 G9에 접속할 수 있게 합니다. 세 번째, SEMA 무선(WiFi) 외장하드 설정은 앞에서 살펴본 스마트폰을 통한 환경설정입니다.
그 외, 맨 아래의 설명서는 G9의 사용설명서를 앱을 통해서 보는 것이고, 설정은 앱의 화면 표시 설정입니다.


83.jpg
무선 하드 / 클라우드 접속
무선 하드나 클라우드에 접속하기를 선택하면 DDNS에 등록한 아이디, 사용자 이름, 패스워드 입력창이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컴퓨터에서 하던 것과 똑같이 G9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84.jpg
클라우드를 통한 그림 파일 재생
클라우드로 접속해서, G9에 있는 만화 파일을 재생하였습니다. 아무 문제없이 빠르게 그림 파일들을 읽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85.jpg
클라우드를 통한 동영상 파일 재생
다음은 클라우드 상태에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였습니다. 거리가 아주 멀리 떨어진 외부에서 실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은 끊김없이 아주 잘 재생되었습니다.


86.jpg
클라우드를 통한 파일 복사, 첫 단계
이제, 클라우드 기능을 통해서 스마트폰에 있는 동영상 파일을 G9에 복사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앱 맨 위에 있는 2개의 탭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왼쪽에 있는 탭은 스마트폰, 오른쪽에 있는 탭은 G9으로 사용하겠습니다. 물론, 반대로 해도 상관없습니다.
먼저, 파일을 받을 G9의 폴더를 선택합니다.


87.jpg
클라우드를 통한 파일 복사, 두 번째 단계
다음에는 다시 왼쪽 탭을 선택해서 스마트폰에 있는 복사할 파일을 1~2초 동안 눌러줍니다. 그러면, 화면처럼 팝업창이 뜨는데, 여기서 복사를 선택합시다.


88.jpg
클라우드를 통한 파일 복사, 세 번째 단계
앞의 과정을 거쳐서 복사 버튼을 누르면, 사진처럼 파일이 복사될 주소가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이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 복사가 진행됩니다.


89.jpg
클라우드를 통한 파일 복사, 네 번째 단계
클라우드 파일 복사의 속도는 대략 2~3MB/s 정도의 속도입니다. 아주 빠른 것은 아니지만 외부에서 스마트폰만을 가지고 간편하게 파일을 옮길 수 있어서 상당히 쓸만합니다.
역으로 하면 G9에 있는 파일을 스마트폰으로 가져올 수 있어, 생각보다 더 유용하게 쓰일 것입니다.



90.jpg
세마전자 스토리링크 SHD-G9과 SHD-K9의 가격

★ 장점
① 공유기 기능과 외장하드 기능이 모두 사용 가능
② 무선 하드와 클라우드 기능 지원
③ 간편한 스마트폰 앱 지원
④ 초심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친절한 메뉴얼

★ 아쉬운 점
① 세워서 쓸 수 있게 하는 크래들의 부재
② HDD의 착탈이 원활하지 못한 점
③ 사람에 따라 불편하게 느낄 수도 있는 빠른 슬립보드 진입

★ 제품에 대한 짧은 한 마디!
공유기와 외장하드의 결합으로 책상 위 공간이 비좁아도 두 가지 기기를 모두 쓸 수 있는게 무엇보다도 좋다!
또, 무선 하드와 클라우드 기능은 스마트폰의 활용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느낌!
하지만, 아쉬운 점에서 다른 건 다 안되도 크래들 만큼은 꼭 좀 지원해줬으면...


이상으로 SHD-G9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공유기와 외장하드를 한 제품 안에서 모두 쓸 수 있게 한 이 제품은 정말로 세마전자의 뛰어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로서 아주 뛰어난 제품까지는 아니지만 가정용으로 사용할만한 성능은 제대로 보여주었으며, 외장하드로서도 USB3.0의 초고속 스피드가 문제없이 잘 나타났습니다. 이 두 가지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도 제품의 가치가 있다 하겠지만, 무선 하드와 클라우드 기능까지 쓰면 정말로 생활이 편리해지는 것을 체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강력한 클라우드 기능은 원거리를 이동할 때의 무료함을 달래줄 뿐만 아니라, 파일 이동과 복사도 아주 간편하게 해낼 수 있어서 중요한 파일을 미처 가지고 오지 않았다 하더라도, SHD-G9만 있으면 아무 걱정이 없을 것입니다.  
기능적으로는 정말 만족스러운데, 디자인과 구성 상에는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특히, 크래들 미지원은 개인적으로 많이 아쉽습니다. 원체 책상 공간이 비좁아서 공유기나 외장하드는 가능한 세워서 써야 하는데, G9은 크래들이 없어서... 물론, 그냥 세워서 써도 상관없겠으나, 제품의 안정감을 위해서라도 크래들은 있었으면 합니다.
또, HDD 착탈이 자유롭지 못한 것도 다음 제품에서는 개선할 사항이라 생각됩니다. 외장하드에 있는 하드는 다른 제품으로 다시 교체할 수도 있고, 여러가지 상황에 처할수도 있으니, 자유로운 착탈은 꼭 수반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아쉬운 점보다는 강점이 더욱 돋보이는 제품입니다. 보다 깔끔한 컴퓨터 책상을 위해, 그리고 스마트폰을 더욱 편리하게 써먹기를 원한다면, SHD-G9에 대해 알아보기를 권해봅니다.

키워드 : 세마전자, 공유기, 외장하드, SHD-G9, 무선 하드, 클라우드, USB3.0, 802.11n, 150Mbps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자유전사 님의 다른 글 보기

1/1
해당 게시판 관련 글이 없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사용기 타무즈 T880-V4D-ARGB CPU 공랭 쿨러 화이트 셋업
간단 사용기 자취생 게이밍 노트북 추천 MSI 소드 17 HX B13VGKG-i9 QHD
사용기 기가바이트 GS27QA 모니터 사용후기 (4)
사용기 Gigabyte GS27QA 후기! (4)
간단 사용기 ASUS [RTX5070/라이젠9] G614PP-S5036 사용기 (4)
사용기 게임부터 영상편집까지, 얘는 진짜 다 합니다 몬스타 비비드 실사용기 (4)
사용기 제이씨현 유디아 ED2731HF VA 27인치 화이트 모니터 내돈내산 추천 (4)
사용기 대장급 듀얼타워형 CPU 공랭쿨러 타무즈 T880-V4D 블랙 (5) 다나와 리포터
사용기 삼성 오디세이 G5 S32DG500 리뷰 (4)
사용기 에이서 아스파이어 go 가성비 노트북 AG14-71M-54YH 사용기 (4)
사용기 조용한 괴물 등장! 몬스타 블루리치 실사용기 (4)
사용기 고급진 다기능 쓰레기 키보드라 생각했는데 단축키로 해결 (5)
사용기 진짜 ‘작업용 끝판왕’이 뭔지 보여드립니다. 몬스타 가츠 매스59 (5)
사용기 업무용 끝판왕 와이드모니터, 알파스캔 3824Q WQHD IPS 블랙 38인치 모니터 리뷰 (5)
사용기 수면 이어폰 추천, 디비비츠 포미버즈(For me buds)로 꿀잠 자본 후기 (8)
간단 사용기 이정도면 혜자 GIGABYTE 지포스 RTX 5070 GAMING OC D7 12GB 피씨디렉트 구매후기 (5)
사용기 한성 TFG27U1428P 사용기 리뷰 (6)
사용기 거대한 성능의 은하계, 몬스타 유니버스 58 사용기 (5)
사용기 제이씨현 유디아 ED2731HF IPS 27인치 화이트 모니터 내돈내산!!! (4)
사용기 라데온으로 만끽하는 새로운 게임세상!~ XFX 라데온 RX 9070 XT 퀵실버 화이트 D6 16GB와 함께!~ (4)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