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80PLUS GOLD 등급의 고급형 파워서플라이!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T

IP
2014.06.26. 09:51:33
조회 수
7358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메인.jpg

 
■ 명품 파워서플라이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T
 
명품 파워서플라이 제품을 생산 유통하는 에너맥스(ENERMAX)의 국내 유통사인 씨엠코포레이션(http://www.cm-korea.co.kr/) 에서 선보인 고급형 파워서플라이 Revolution X't 시리즈의 최상급 모델인 ERX730AWT 이다. 2014년 4월 출시된 모델로 80PLUS GOLD 요구 사항을 충족, 인증된 제품으로 고효율, 고성능을 제공한다. 
 
최신 인텔 v2.4 설계 기반의 4세대 프로세서인 하스웰 / 하스웰 리프레시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고효율 / 고성능 파워로 높은 안정성까지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모듈러 방식으로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에 따라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선을 제거하고 깔끔한 PC환경을 구성, 시스템 내부의 냉각 성능 및 공기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유연한 플랫 케이블이 적용되어 장착 시에도 내부 간섭이나 불편함이 전혀 없다. 저소음, 긴 수명을 자랑하는 트위스터 베어링 팬이 적용되었다.
 
싱글레일 12V 가용력 97%, 시스템 전원 OFF 시에 30~60초 동안 PSU 팬을 작동시켜 내부의 잔열을 방출시키는 HeatGuard, 내구성 및 최고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일본산 캐패시터 적용, 실수로 AC코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C코드를 고정시켜 주는 CordGuard, ErP Lot 6 2013 기준에 부합하고 일반 제품에 비해 최대 20% 효율을 향상시키는 +5Vsb 회로 설계된 하이엔드급 파워서플라이로 성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 까지 만족시키는 제품이다.
 
씨엠코포레이션의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T 파워서플라이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패키지.jpg
 
전면
검정 바탕에 제품명과 파워서플라이의 이미지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80 PLUS GOLD 인증 마크가 인쇄되어 있다.
 
후면
후면에는 파워서플라이의 사양과 케이블, 특징에 대해서 이미지와 함께 기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측면
측면에는 제품명과 함께 특징이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었고 특징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각종 인증마크가 인쇄되었다.
 
 
 
 
 
 
 
구성품.jpg

구성품
내용물은 사용자 설명서, 에너맥스 팸플릿, 파워서플라이 본체, 플랫 케이블, 전원코드, 패브릴 재질의 포켓으로 구성되었다. 고급형 파워서플라이 답게 내부 포장에도 신경 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성품1.jpg

에어캡 보다 내구성이 강한 에어팩이 적용되었다
. 보급형 파워서플라이의 경우 종이재질의 충전재로 고정시키거나 아무것도 없는 것을 감안한다면 완벽한 포장형태를 취하고 있다.
 
 
 
 
 
 
구성품2.jpg
 
사용자 메뉴얼
사용자 매뉴얼에는 파워서플라이의 사양 및 제원, 케이블 및 커넥터, 호환성, 시스템 부팅하기, 보호, 안전 및 보안, 고객 서비스 센터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컴퓨마트의 고객센터를 통해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Enermax 팸플릿
팸플릿에는 애너맥스에서 제조, 유통하는 케이스, PSU, FAN, COOLER 등이 소개되었다.
 
 
 
 
 
 
구성품3.jpg

역시 고급형 파워서플라이 답게 액세서리 또한 알차게 구성되었다. 패브릭 재질의 파우치는 시스템 구성 후 여분의 플랫 케이블을 수납하거나 다양한 부품을 보관하는데 용이하다. Enermax 로고가 적용된 밸크로 테이프는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2개 제공된다. Enermax 스티커, 케이스 고정용 스크류, 실수로 AC코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C코드를 고정시켜 주는 CordGuard로 구성되었다.
 
 
 
 
 
 
구성품4.jpg

전용 전원 케이블을 확인할 수 있다.
 
 
 
 
 
 
구성품5.jpg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T
를 구성하고 있는 케이블을 살펴보면 모듈러 케이블의 경우 4, 네이티브 케이블의 경우 3개가 제공된다. 모듈러 케이블을 살펴보면 SATA 커넥터 4개를 제공하는 케이블이 2개로 총 8개의 SATA 커넥터를 제공한다. 6+2P(8P) PCI-E 2.0 x2, 4P Molex x4, FDD x1개를 제공한다. 네이티브 케이블은 24P MainBoard x 1, 4+4P CPU x1, 6+2P (8P) PCI-E 2.0 x2개를 제공한다.
 
 
 
 
 
 
외형.jpg

고급스러운 도장면과 올블랙 디자인이 적용되어 깔끔한 모습을 보여준다
. 일반 ATX 파워서플라이 사이즈(140 x 150 x 86mm)보다 큰 사이즈(150 x 160 x 86mm)로 설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39mm 트위스터 베어링 팬이 적용되었고 외부에는 블랙 팬 그릴로 구성되었다. 팬 그릴 중앙에는 ENERMAX 로고가 멋스럽게 적용되었고 후면에는 파워서플라이의 사양 및 각종 인증마크가 기재된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외형1.jpg

팬 그릴 옆에 부착된 보증관련 스티커를 확인할 수 있다
. '제거하면 보증 무효라는 문구가 기재되어 있으며, 개봉하거나 스티커 회손시 A/S가 불가능하다.
 
 
 
 
 
 
외형2.jpg

모듈러 방식과 네이티브 방식이 혼합된 하프모듈러 커넥터 연결방식을 취하고 있다
. 사용자의 시스템에 맞춰 케이블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냉각능력을 상승, 쾌적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제품내부.jpg

내부 구성 살펴보기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T의 상판 덮개를 제거하면 파워서플라이를 구성하고 있는 PCB 기판부와 구성품을 확인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제품내부1.jpg

■ 각부의 명칭과 기능을 세세하게 알 수 있다. 
 
 
  
 
 
제품내부4.jpg

내부 구조를 보면
AC(교류) 전원 입력부(220V 전원인가)를 통해서 AC-DC(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평활시킴) 변환부를 거쳐 DC-DC 강압부에서 각 시스템 장치에 맞는 3.3V, 5.5V, 12V 등의 직류 전압으로 강압한다. 마지막으로 스위칭 레귤레이터, 2차 정률부를 거쳐 최종전압을 조정한다.
 
 
 
 
 
 
제품내부2.jpg

벌집구조의 통풍구 및 AC전원 입력부
빠른 공기순환을 위해 벌집구조의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통풍구를 확인할 수 있다.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T80 PLUS GOLD 인증으로 글로벌 사용을 위한 자동조정 및 액티브 PFC100-240VAC 입력이 가능하다. 쉽게 말하면 프리볼드 전원 입력 방식으로 100-240VAC 입력이 가능하다. 전원 On/OFF 버튼도 지원된다.
 
 
 
 
 
 
제품내부3.jpg

Twister Bearing Technology & HeartGuard
에너맥스(Enermax)의 특허 트위스터 기술, 베어링과 통합 13.9cm 팬은 효율적인 쿨링능력을 보장하고, 100,000 시간 MTBF(디지털 장비를 처음 사용할 때부터 그 수명이 다해 사용할 수 없게 될 때까지 걸리는 평균시간의 통계적인 값)를 가진 뛰어난 내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히트가드는 시스템 전원 OFF 시에 30~60초 동안 파워서플라이 팬을 작동시켜 내부의 잔열을 방출시킨다. 반투명 플라스틱 재질과 7개의 날개로 구성되어있다.
 
 
 
 
 
 
테스트-시스템.jpg
 
■ TEST System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
를 테스트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저전력 설계의 하스웰 i5-4670K22nm 케플러 아키텍처 기반의 GTX760이 적용되었으며 테스트에 사용된 도구와 방법은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를 통해 획득한 값 또한 차이기 있으니 필자의 시스템이나 유사한 환경에서 비교할 수 있지만 100% 신뢰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편이 좋겠다.
 
 
 
 
 
성능.jpg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필자의 경우 파워서플라이의 성능을 테스트할 때 기기에서 출력하는 각각의 전압변화(3.3v, 5v, 12v)를 확인하고 일반 IDLE시와 LOAD시의 전압변화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출력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물론 OCCT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제공되는 그래프나 OCCT와 연결된 프로그램(HWMoniter 등 다수)이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제로 PC 하드웨어 관련 커뮤니티에서 고가의 측정 장비를 통해 테스트를 하지 않는 이상 신뢰도가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그래프 등은 언급하지 않았고 파워서플라이에 스트레스를 주는 용도로만 사용했다.
필자의 경우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과 4K 해상도의 동영상 및 웹서핑 등 일반 사용자가 평상시에 즐겨하는 위주로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볼 수 있듯이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의 입·출력전압, 제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성능1.jpg

파워서플라이에서 출력하는
+3.3v, +5v, +12v 전압의 변동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AIDA64로 각각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보시는 것처럼 메인보드의 UEFI를 통해서 확인된 각 전압을 확인할 수 있는데 IDLE시 일정하지는 않지만 거의 직선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평균 3.403v / 12.172v / 5.159v를 유지하고 있다. 스트레스를 주기 전, 후로 나눠서 각 10분 동안 3회에 걸쳐서 진행된 값의 중간 값을 적용해 그래프로 표시했다. 그래프를 보시면 IDLE보다 Load시의 전압이 약간 하락을 했지만 출력되는 전압의 범위를 전혀 벗어나지 않고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2V의 경우 IDLE시 보다 Load시 거의 변화없는 일직선 형태를 보이고 있다.
 
 
 
 
 
 
성능2.jpg

각각의 장치에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완벽한 파워서플라이라 할 수 있으며 고효율을 통해 전기를 조금 사용해도 원하는 양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면 그것처럼 좋은 제품도 없겠다
.
 
그렇다면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에서 강조하는 80 PLUS GOLD 등급은 파워서플라이의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증 규격으로 미국 EOS(미국 에너지 효율 인증기관)에서 효율이 높은 파워서플라이에 주어지는 인증이다. 80 PLUS는 총 6단계의 인증등급이 존재하며 10% 부하부터 20% / 50% / 100% 정격 부하시 80% 이상의 효율 성능을 보여준 제품에 적합한 6단계(스탠다드,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 티타늄)의 등급이 적용된다.
 
효율은 바로 교류 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데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가? 라고 말할 수 있다. 그냥 쉽게 이해하자면 자동차 연비와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다. 1L로 몇KM를 주행할 수 있느냐와 비슷하다 할 수 있는데, 효율이 높을수록 전기를 조금 사용해도 원하는 양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쉬울 것 이다. 에너지를 절감하는 핵심기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가 익히 들어왔던 효율의 단위인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 티타늄이 효율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며 티타늄이 가장 고효율 제품이다. 물론 80 PLUS 인증을 받지 않고 최대 88%의 고효율을 자랑하는 제품도 있지만 그리 흔하지는 않다.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100% 부하시 88% 고효율을 자랑하는 80 PLUS GOLD 제품이다.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처럼 고화질 동영상, 고사양을 요구하는 FPS 게임(Crysis3) OCCT를 이용한 FULL LOAD시의 소비전력을 측정한 결과에서 PC를 켜고 약 10분 동안 아무런 작업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은 71.78W, 고화질 동영상은 109.3W, 게임의 경우는 MSAA HIGH(8X)에서 277.3W를 보였고 OCCT를 통해 최대 300.3W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기전력의 경우 사양에서 볼 수 있듯이 0.5W이하라고 기재되었는데, 사실 틀린 말이 아니다, 하지만 메인보드의 특성상 전원 Off 시에도 USB LAN포트, 온보드 스위치에 전원이 인가되기 때문에 대기전력이 1.78W로 측정되었다.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전압을 제공하고 있다.
 
 
 
 
 
 
성능3.jpg

소음측정
13.9cm의 대형 쿨링팬, 7개의 블레이드가 적용된 Twister bearing fan의 소음은 측정하는 방식과 환경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필자의 경우는 번들 CPU 쿨러, VGA의 소음을 포함시켰기 때문에 약간 높을 수 있으며 실내 소음은 32dB, IDLE42dB, Full Load51dB를 나타냈는데 여기서 집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바로 번들 CPU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상당이 커서 VGA와 파워서플라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묻혀버려서 전체적인 소음을 기준으로 측정했다는 것이다. 사실 체감하는 파워서플라이의 소음은 정말 조용하다. 하지만 트위스터 베어링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이전에 진행했던 파워서플라이의 소음보다 더 낮게 측정되었다.
 
 
 
 
 
 
총평.jpg

■ 80PLUS GOLD
등급의 고급형 파워서플라이!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
 
에너맥스의 고급형 파워서플라이 레볼루션 시리즈의 최상급 모델인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를 살펴봤다. 싱글레일 12V 가용능력 97%의 최대치 출력지원, 80PLUS GOLD 등급 인증 모델로 100% 정격부하시 88% 이상 효율 구현, 모듈러 방식과 네이트브 방식이 결합된 하프모듈러 방식으로 유연한 플랫케이블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환경에 맞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내부 공간 확보 및 공기 흐름을 개선시켜 냉각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인텔 4세대 CPU 하스웰과 4.5세대인 하스웰 리프레시를 완벽하게 지원(C6 절전 모드 및 하이브리드 절전 모드에 대응)하며, 내구성, 안정성이 보장된 고품질 일본산 캐패시터 및 검증된 부품을 사용해 1(24시간) x 1주일(7) 40의 산업환경테스트에서 안정적으로 구동되었다.
 
PC 전원 Off 시에 30~60초 동안 파워서플라이 팬을 구동시켜 내부에 남아있는 잔열을 방출시키도록 하는 HeatGuard 기능을 통해 파워서플라이 내부 구성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 또한 일반 보급형 파워서플라이에서는 경험할 수 있는 기능이다. 안정적인 전원 공급 및 정숙한 소음수치, 5AS 기간은 고급형 파워서플라이가 갖춰야 할 모든 기능을 충족시키고 있다.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 물론 80PLUS 인증을 받지 않고도 고효율을 자랑하는 제품이 분명히 있다. 하지만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현실이며 80PLUS 인증을 받았다고 하지만 실제 판매되는 제품의 경우 효율을 충족시키지 않아도 인증이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믿을 수 있는 제품을 선택 사용하는 것이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하며, Enermax RevolutionXt ERX730AW PSU가 믿을 수 있는 제품이라 하겠다.
 
 
 
 
 
 
메인사진.jpg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사용기 SAPPHIRE RX 9060 XT PULSE OC D6 8GB 사용기
사용기 이엠텍 레드빗 ICEFULL 360 ARGB (체험단 이벤트)
사용기 알파스캔 27b30 후기
사용기 EPOS 젠하이저 GSP370 무선 게이밍 헤드셋 추천 진짜 사운드의 세계로
간단 사용기 GIGABYTE 라데온 RX 7600 Gaming OC D6 8GB 간단 후기 (1)
간단 사용기 GIGABYTE B760M AORUS ELITE GEN5 (1)
사용기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NT940XHA-K51A AI 노트북 사용기 (1)
사용기 알파스캔 AOC U32N3C 4K UHD C타입 높낮이 HDR 멀티스탠드 모니터 사용기 (1)
사용기 몬스타PC 플래시 실사용기 (2)
사용기 알파스캔 24G11 사용기 (3)
간단 사용기 GIGABYTE Gaming GS27QA 후기 (3)
사용기 알파스캔 AOC 24G11 240Hz 24인치 모니터 후기 (3)
간단 사용기 [Gigabyte] B850M AORUS ELITE WIFI6E ICE 교체 후기 (3)
간단 사용기 알파스캔 신제품 3425Q - WQHD 울트라와이드 IPS 블랙 120 Hz C타입 HDR 무결점 모니터 간단 사용 후기 (3)
간단 사용기 마이크로닉스의 하이앤드 키보드! 마이크로닉스 CALUX (3)
사용기 GIGABYTE Gaming GS27QA 사용기 (3)
사용기 9060XT 사용후기입니다 (3)
간단 사용기 필립스 에브니아 27M2N5810 사용후기 (3)
간단 사용기 asrock x870e nova wifi (3)
사용기 [고객센터 연락 안됨] SASA 실버미어 K68 구매후기 (3)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