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무소음 팬리스 그래픽카드, XFX 라데온 R7 250 Core Edition D5 1GB 사용기 다나와 리포터

IP
2014.08.12. 04:48:07
조회 수
11777
4
댓글 수
1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00.jpg



한번쯤은 꿈꿔 봤을 듯한 무소음 PC 구축...

 

이번에 제가 무소음 PC를 구축해 보게 되었습니다.

 

파워 서플라이와 그래픽카드, CPU 쿨러를 모두 팬리스 제품으로 꾸며봤는데요.

 

 

그래픽카드는 XFX 라데온 R7 250 Core Edition D5 1GB 무소음 제품을 사용하였습니다.

 

이 제품은 AMD의 팬리스 그래픽카드 중, 성능이 괜찮은 제품이라고 보여집니다.

 

지금부터 저와 함께 이 제품의 성능과 특징에 대해 살펴봅시다!

 

 

1. XFX 라데온 R7 250 Core Edition D5 1GB 무소음 : 제품 개봉




1.jpg


2.jpg


3.jpg


4.jpg

 ​XFX 라데온 R7 250 Core Edition D5 1GB 무소음 제품은

1GB의 GDDDR5 메모리가 장착된 제품으로 HDMI와 DVI, D-sub 출력 단자를 지원합니다.


5.jpg


 무소음 제품답게, Silent 0dB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6.jpg


7.jpg

 박스가 상당히 작은편이에요.

 

필자의 스마트폰인 LG 옵티머스 GK와의 크기 비교...



8.jpg


9.jpg


10.jpg


11.jpg

 새제품은 밀봉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중고여부 확인이 용이합니다.


12.jpg


 그래픽카드 역시 뾱뾱이 비닐로 잘 포장되어 있네요.


13.jpg


 각종 광고지와 사용설명서, 드라이버 CD가 함께 동봉되어 있습니다.


14.jpg


 ​오늘의 주인공, XFX 라데온 R7 250 Core Edition D5 1GB 무소음 입니다.



15.jpg


16.jpg


17.jpg

 팬리스의 이 제품은 쿨링 효율을 얻기 위해 거대한 방열핀으로 둘러 싸여 있습니다.​


18.jpg


 6mm의 히트파이프가 코어 위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열을 식히는 구조입니다.


19.jpg


 히트파이프는 다시 방열핀쪽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20.jpg


21.jpg

 XFX 제품임을 나타내는 측면 디자인...



22.jpg


23.jpg

 사실 그래픽카드는 LP타입의 PCB 기판을 사용했습니다. 거대한 방열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래픽카드의 크기가 좀 더 커졌네요.


24.jpg


 메모리는 SK Hynix 제품이 사용되었습니다.


25.jpg


 출력 단자는 왼쪽부터 D-sbu, HDMI, DVI 단자로 이루어져 있네요.

 

 


2. XFX 라데온 R7 250 Core Edition D5 1GB 무소음 : 무소음 PC 본체 조립



무소음 PC 본체를 조립해 보도록 합니다.

 

우선 필자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26.png


27.jpg

 조립을 위해 대기 중인 부품들...


28.jpg


 시피유 쿨러는 팬리스의 써모랩 GOYO 제품을 사용하였습니다.


29.jpg


 파워 서플라이도 NOFAN의 무팬 제품인 P-500A을 사용....  (80 PLUS GOLD 인증)


30.jpg


 전반적인 장착샷...

 

그래도 불안한 마음에 케이스 후면 팬은 동작해야 할 것 같아서 일단 연결을 하였습니다.


31.jpg


 무소음 PC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었습니다.




3. XFX 라데온 R7 250 Core Edition D5 1GB 무소음 : 그래픽카드 성능 & 소비전력 확인




XFX R7 250의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지요.


32.png


33.png


34.png


 CPU는 최근 유행중인 하스웰 펜티엄 G3258 을 4.5GHz 로 오버클럭하였습니다.


 

 

AMD 카탈리스트 드라이버는 최신 버전인 14.7 RC 를 설치하였습니다.


35.png


 윈도우 7 체험지수는 위와 같이 시피유 7.3점, 메모리 7.9점이고 그래픽카드 점수는 7.3 점입니다.

 

먼저 GPU-Z으로 살펴보는 제품의 스펙입니다.


36.png


 AMD R7 250 은 128비트의 GDDR5 1GB 메모리를 탑재하였고, 28nm 공정에서 제작된 VGA 입니다. 


37.png


 아이들 시에는 코어 클럭 300MHz / 메모리 클럭 600MHz로 떨어지면서 소비전력을 더욱 낮추고 있습니다.

 

코어의 온도는 약 49도...  

 

쿨링팬이 없는 제품이라 그런지 아이들 온도는 조금 높은 듯 보여집니다.


38.png


 Furmark 프로그램을 이용해 VGA 에 100% 풀로드를 걸었을 때 코어의 온도는 89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역시 팬리스 제품이라 온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편 같습니다.

 

 

그래픽 카드의 전체적인 성능을 가늠해 보는 3DMark11 측정 점수 입니다. 


39.png


 AMD R7 250 의 점수는 2977점 입니다.

 

 


그럼 실제 게임 플레이 시에는 어떠한 결과를 보이는지 확인해 봅니다.

 

 

그 전에, AMD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함께 인스톨되는 AMD Gaming Evolved 를 잠깐 살펴봅니다.


40.png


 AMD의 Gaming Evolved는 보다 쾌적한 게임 환경을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 졌습니다.


41.png


 최신 드라이버 업데이트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게임의 옵션을 유저가 보유중인 AMD 그래픽카드 사양에 맞게 자동 최적화 시켜 줍니다.


또한, 최근 버전에는 본인의 게임 플레이를 녹화할 수 있는 기능까지 탑재되었는데요. 

(엔비디아의 게임화면 레코딩 소프트웨어인 쉐도우 플레이를 견재해 만든 느낌인듯 합니다.)


앞으로 AMD Gaming Evolved 소프트웨어를 주목해서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실제 게임 진행 시, 어떠한 성능을 보여줄지 테스트 해 보겠습니다.




(1) 배틀필드 3

 



42.jpg


43.jpg

▲ 옵션은 1920x1080 해상도에 영상 품질 "자동"으로 설정하였고 게임내에서 장착된 VGA에 맞게

자동으로 옵션을 결정해 줍니다. 여기에서는 중간 옵션이 자동 선택되었네요. 


44.png


45.png


▲ R7 250으로 게임 플레이 시, 평균 프레임은 약 45 fps로, 적들이 많아지면 조금 끊기는 느낌이 있는데,

이 경우, 옵션을 조금 더 낮추면 더욱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2) 스타크래프트 2    



46.jpg


47.jpg

▲ 스타2는 1920x1080 해상도, 그래픽 "중간"으로 설정 후 게임 플레이 진행해 보았습니다.


48.png


49.png


 평균 프레임 98 fps 로, FHD의 해상도, 중간 옵션에서 원활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였습니다.


 

 

(3) 크라이시스 3  



50.jpg


51.jpg


52.jpg

▲ 그래픽 옵션은 1920x1080 해상도, 화질 = LOW 로 설정하였습니다.


53.png


54.png


▲ 평균 프레임은 31 fps 로 옵션 타협 후 원활한 게임 진행이 가능했습니다.




(4) 스프린터셀 : 블랙리스트



55.jpg


56.jpg


57.jpg

▲ 그래픽 옵션은 1920x1080 해상도, 화질 = LOW, DirectX=DX11 로 설정하였습니다.


58.png


59.png


▲ 평균 프레임은 47 fps .. FHD 해상도에서 옵션만 타협하면 쾌적한 플레이 가능합니다.


 


(5) 더트3



60.jpg


61.jpg

▲ 레이싱 게임 더트3 에서 옵션은 1920x1080 해상도, 4xMSAA, 미디움 화질로 조정하였습니다.


62.png


63.png


▲ 평균 프레임 60 fps 로 후반부에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는 구간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쾌적한 진행이 가능합니다.

 

 

 

(6) 피파14



64.jpg


65.png

▲ 피파14는 풀옵을 설정하고 플레이 해보았습니다.


66.png


67.png


▲ 게임 진행 시, 60fps 로 고정이지만, 골을 넣고 리플레이 장면이 나오면, 

선수들이 Zoom-in 되면서 프레임이 30 fps 대로 드랍이 됩니다.

 

그래도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성능...

 

 

 

* 소비전력 측정



이번에는 PC의 시스템 소비전력을 측정해 보았습니다.

측정기기는 인스펙터 2 를 사용하였습니다.  


68.png


아이들 혹은 1080p 영화 감상 시, 소비전력은 58~64 watt 로 절제된 전력 소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게임 플레이 시에는 약 100~120 watt 전력 소모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이 정도면 비교적 저전력의 시스템을 구성하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4. XFX 라데온 R7 250 Core Edition D5 1GB 무소음 : 사용기를 마치며...




69.jpg

71.jpg

72.jpg

결론적으로 XFX 라데온 R7 250 D5 1GB 는 1920x1080 FHD 해상도에서 어느 정도 옵션 후, 

게임 플레이하기 적당한 제품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품의 컨셉이 쿨링팬을 전혀 장착하지 않은 팬리스라는 만큼, 평소 무소음 시스템 구축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유저들에게 추천할 만 합니다. 

 

제품의 가격은 2014년 8월 03일자, 다나와 최저가로 확인했을 때 96,400원...

 

보통 팬리스 제품이면, 일반적인 쿨러가 장착된 제품보다 조금 더 비싸기 마련인데,

XFX 라데온 R7 250은 동일 모델의 일반 제품군과 비교했을때, 가격적인 큰 차이가 없습니다.



제품의 장,단점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장점>

 

1. 24인치 FHD 해상도에서 옵션 타협 후, 원활한 게임 플레이 가능

2. 팬리스인 만큼, 소음에서 해방

3. PC 시스템에 장착 시 Min.60 watt, Max.120 watt 정도의 전력 소모를 보이는 저전력인 점

4. 디지탈그린텍의 3년 무상

 

<단점>

 

1. 풀로드 시, Core 온도 89도로 조금 높은 편...

(물론 팬리스이고, 제조사 설계 보증이 있기 때문에 그리 큰 걱정은 되지 않음)



이상으로 XFX 라데온 R7 250 D5 1GB Core Edition 무소음 그래픽카드의 사용기를 마치도록 합니다. (_ _)


 

<이 사용기는 (주)디지탈그린텍 &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다나와 리포터
본 글은 다나와 리포터 인증 게시물입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XFX 라데온 RX 9070 XT MERCURY RGB OC D6 16GB 그래픽카드 간단사용기
간단 사용기 삼성 삼탠바이미 M5 80cm 스마트TV M50D 사용기 (1)
사용기 게인워드 RTX5070 그래픽카드 며칠 사용기 (1)
사용기 MSI MAG B850M 박격포 WIFI (1)
사용기 삼성 오디세이 G5 S27DG500 사용후기 (1)
사용기 내 책상 위 작은 자연. 다크플래쉬 DS900 WOOD(우드)사용기 (1)
간단 사용기 테니스 화 (1)
사용기 고성능과의 만남, 인텔 코어 울트라 9 285K & ASUS ROG MAXIMUS Z890 HERO 필드 테스트 1차 (2)
사용기 프리플로우 조립PC 7500F / 게인워드 RTX 5070 Python III (2)
사용기 인텔 코어 울트라7 265K + 아수스 프라임 Z890-P-CSM 메인보드 리뷰 (2)
간단 사용기 ASUS TUF 5070 Ti (2)
사용기 MSI MAG A1000GL 80PLUS 사용기 (2)
사용기 B850M 박격포 사용기 (2)
사용기 인텔® 코어™ Ultra 9 프로세서 285K + ROG MAXIMUS Z890 HERO 체험단 (2)
사용기 MSI MP251PS 후기 (2)
사용기 MSI B850M 박격포 (10년만에 바꾼 컴퓨터) (2)
사용기 OVER THE SPEC - 인텔® 코어™ Ultra 5 프로세서 245K + ASUS Z890 AYW GAMING WIFI W 사용기 [1주차 미션] (2)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rtx 5070 리뷰 (2)
사용기 인텔 코어™ Ultra 5 245K 후기- 미션 1주차 (2)
간단 사용기 헤라 지일 세안비누 (2)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