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사용기] MSI B350M 박격포 사용기

IP
2017.05.27. 19:42:01
조회 수
19637
1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이번에 특가로 구매하게 된 MSI B350M 박격포입니다.



B350 보드도 좋지만, 조립 편의성 때문이라도 M-ATX 보드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특히나, 이번 B350M 박격포는 정말 예쁘게 생겼지요.



메인보드 외의 구성품은 Driver CD, SATA 케이블 2개(정방향, ㄱ 자형 한개), 설명서 등등이 있습니다.


오자마자 급하게 조립하느라 메인보드 사진은 조립완료 후 사진을 올립니다.



IO 실드는 상당히 두꺼우며, B350M 보드의 디자인 특징인 검정-빨강 디자인을 가지고 있네요.


설치완료하면 이렇습니다.



뒷면을 보면 DVI-D, HDMI, PS2 단자 및 USB, USB 3.1(저가 보드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 보드의 특징 중 칭찬할 만한 점인 광출력 단자가 보이네요.



조립을 하고 나면 이렇게 보이는데, 상단에 빨갛게 빛나는 등은 메인보드에 전원이 들어왔음을 보여줍니다. VRM 방열판은 B350 과는 달리 윗부분은 없는데, 아쉬운 점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래도 나사에는 따로 접지 실드가 되어 있는 등 보드의 레이아웃은 매우 좋습니다. 특기할 만한 것은 FAN 포트가 4개나 된다는 점이죠.



현재 아무런 문제가 없기에 들어오지는 않았지만, 오버클럭을 과하게 하거나 하면 저 EZ Debug LED 에 불이 들어오며, 불이 들어온 부분에 문제가 있다는 표시입니다. 고급 보드에서는 16진수 숫자로 에러코드를 보여주지만, 에러코드가 어떤 문제인지는 따로 표를 보고 알아야 하는 등 직관적이지 못한 부분이 있었는데, 바로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이해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고급 보드들과는 달리 LED 효과는 아래부분에 사운드카드 경계면에 있는 저 빨간 부분이 전부입니다. 보드 아래쪽에서도 동일하게 붉은 LED가 은은하게 들어옵니다. 이 LED는 "Gaming APP" 에서 조정이 가능하며, STATIC / FLASH / HEART BEAT 등의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색은 RED 단색입니다.)




Extended LED Effect 부분이 5050 LED 단자 조정부입니다. 7가지 색으로 조정 가능합니다. 위의 일반 LED Effects 부분은 색 조절은 안되지만 몇 가지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CMOS 에서 조정은 안되므로, LED 효과를 주시려면 게이밍 앱은 필수입니다. 또한, 다른 RGB LED 가 달린 장치도 조정이 가능합니다만, 충돌이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메인보드 또는 전용 앱 중 하나만 쓰세요)



조립이 완료된 모습.


하단에 5050 LED 스트랩을 연결할 수 있는 포트가 한 개 있습니다. 보통은 라이젠 기본 쿨러인 레이스 스파이어/ 레이스 맥스를 연결하면 RGB LED 를 표시할 수 있는데, 저는 수냉 쿨러를 사용중이므로 RGB 스트랩을 연결하여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수냉 쿨러를 사용하게 되면 수냉 펌프 및 쿨러 등 팬 포트가 많이 필요하게 되는데, B350M 박격포 보드에는 팬/펌프 포트를 4개(모두 PWM 이나 DC/PWM 조정 가능)나 지원해서 수냉쿨러 설치에 매우 편리했습니다.


BIOS


*MSI BIOS 는 B350 / X370 의 메뉴 자체가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다만, OC 부분의 전압 설정 부분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입니다.



저는 3.85GHz, 2933MHz XMP 램으로 현재 사용중입니다. BIOS 는 최신 업데이트인 1.4 를 적용했습니다.



한글 적용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Settings 부분은 일반적인 메인보드 세팅이어서, 사실 거의 건드릴 부분이 없습니다.



OC 모드입니다. OC 모드는 Explorer Mode 가 Normal / Expert 두가지가 있는데, Expert 를 선택하시면 DigitALL Power 부분이 활성화 됩니다.


CPU Setting 은 25 MHz 단위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RAM 은 1866 ~ 3200 까지 지원합니다. A-XMP 부분은 Profile 1,2 2개가 표시되는데, 보통 1로 안되면 2로 시도해 보시길 권합니다. A-XMP 는 커세어 메모리는 잘 되나, 그 외의 메모리는 경우에 따라 XMP 가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CPU와는 달리 램 오버클럭은 어떤 타이밍을 입력해야 할지, 초보자는 상당히 아리송한 경우가 많아 XMP 세팅을 넣어보고 안되면 포기하게 됩니다. 그러나 MSI 에서는 Memory Try It ! 이라는 사전 램 타이밍 세팅(가장 대중적인)을 제공하여, 이 중에 한 개를 선택하여 램 오버클럭을 편리하게 해 줍니다.



램 타이밍은 위와 같이 수동으로 입력도 가능합니다. 저는 14-15-15-15-34 를 입력해 줬습니다.



DigitALL Power 부분입니다.

다른 브랜드에서는 LLC(Load Line Calibration) 이라고도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Mode 1~8 까지 나와 있는데, 칼전압은 Mode 3 또는 4, 입력전압보다 높게 들어가는 모드는 1, 2 입니다. 보통 3을 추천드립니다. 그외 NB LLC 는 NBCore 전압을 넣게 되면 적용하게 됩니다만, NBCore 전압을 입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램의 일반적인 정보도 이렇게 표시해 줍니다. Memory-Z 라는 항목에서 XMP 정보까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XMP 정보가 표시됩니다. A-XMP 를 적용하면 위의 세팅이 적용되어 부팅이 되게 됩니다. 세팅값은 많으나 현재는 DRAM tCL-tRCD-tRP-tRAS 만 조정이 가능합니다.



오버클럭을 위해서는 SMT(인텔의 하이퍼 쓰레딩과 같습니다.) 외에는 모두 꺼두시는 게 좋습니다. 단, SVM Mode 는 가상머신을 사용하실 때는 켜 두시는 게 좋습니다.



그외에 오버클럭 세팅을 프로파일로 저장도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6개 저장이 가능하고, 6개가 넘어갈 경우에는 USB 등에 저장이 가능합니다. 만약 같은 B350M 보드이고 BIOS 버전이 같다면, USB 에 세팅을 저장하여 여러 PC에 세팅을 동일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게임방등에서 편리하게 쓸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모니터 화면입니다. B350M 박격포 보드는 총 4개의 팬을 조정가능하며, PWM/DC 모드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여러 세부 항목을 조정이 가능합니다.



보드 익스플로러 모드에서 보드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1.35v 로 3.85GHz 로 오버클럭을 하였습니다. 그 이상 오버클럭도 가능합니다만, 이 경우에도 리얼벤치 15분 안정화를 할 경우 VRM 은 95도를 기록하게 되어 3.85GHz 정도로 타협을 했습니다.




XMP 3000MHz 램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램타이밍을 입력하여 1.36v 14-15-15-15-34 로 세팅 후 사용중입니다.


장점


1. 저렴하면서도 있을 게 다 있는 가성비 최강의 보드

2. Memory Try It ! 등 메모리 오버클럭 및 호환성이 매우 좋다

3. 은은한 LED 효과를 제공

4. 동급에서 유일한 광출력 포트 제공

5. EZ Debug LED 로 직관적인 제품 오류 파악 가능


단점


1. VRM 방열판이 VRM 전체에 되어 있는 게 아니라 반만 되어 있어 오버클럭 잠재력을 낮췄다.

2. 아직 일부 램은 호환이 되지 않는다.(타 브랜드에서는 호환되었으나 MSI 에서만 유독 특정 브랜드와 호환이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3. BIOS Reset 시 별도의 점퍼가 없어 드라이버 등으로 쇼트해야만 리셋을 할 수 있다.


몇가지 아쉬운 점이 있지만, B350M 보드로서는 가장 좋은 구성을 갖춘 제품이며,

이번 DPG 특가에서는



이 MSB DS B1 게이밍 마우스와 함께



이 용용이까지 주었기 때문에 더욱 매력넘치는 제품이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가성비가 뛰어난 국민오버용 라이젠 보드를 찾으신다면 B350M 박격포를 추천드립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상품

1/1

관련 카테고리

1/1

walkholic 님의 다른 글 보기

1/1
해당 게시판 관련 글이 없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5080 피닉스 사용기 (1)
사용기 프리플로우 완본체 + GAINWARD 지포스 RTX 5060ti 8gb 고스트 D7 후기 (1)
간단 사용기 크로스오버 27QAW99 Fast-iPS 180 WQHD 화이트 (1)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사용후기 (2)
사용기 MSI MPG A1000G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후기 (2)
사용기 GAINWARD RTX 5070 사용기 리뷰 (2)
사용기 MANLI 지포스 RTX 5090 Stellar OC D7 32GB 인텍앤컴퍼니 (2)
사용기 MSI A850G 80PLUS GOLD ATX3.1 사용기 (2)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80 팬텀 D7 16GB 사용기(허접주의) (2)
간단 사용기 (사용기) MSI MPG A1000G PCIE5 1000W 파워 (2)
사용기 게인워드 5070ti 피닉스 리뷰 (2)
사용기 지클락커 OP200 마스터 무선마우스 사용후기 (2)
사용기 GIGABYTE X870E AORUS PRO (2)
사용기 게인워드 지포스 RTX 5080 피닉스 (2)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사용기 - 이 대단한 성능에 이 가격밖에 안된다고? (2)
사용기 휴대용 무선 블루투스 마우스 OP10 사용 후기 – 슬라임 마우스 추천 (4)
사용기 게인워드 RTX 5070TI 피닉스 리뷰 (2)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팬텀 D7 16GB 사용기 (2)
사용기 MSI MAG B850M 박격포 WIFI 미니타워 사용기 (2)
사용기 로지텍 G735 진심을 담은 후기 (2)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