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회전식과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비교를 위해 1부에서는 먼저 외형과 기능 적인 부분을 비교해 보았다. 2부 사용기에서는 제품의 <청소 효율 비교>, <장애물 극복 비교>, <배터리 효율 비교> 등 실사용에 관한 성능과 효율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회전방식의 청소기 < 휴스톰 HS-9000 >과 왕복방식의 청소기 < 오토비스 KAC-7000 > 는 과연 효율에서 어떤 차이를 보여줄지 지금부터 직접 테스트해보겠다.
▲ 마룻바닥 찌든 간장 자국 테스트
첫 번째로 청소기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마룻바닥에 간장을 일정량 동일하게 부어놓고 마를 때까지 기다린 후 동시에 전진하여 닦아보는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
각 청소기가 닦을 대상은 위와 같다.
회전식과 왕복식 두 대의 청소기를 나란히 두고 동일한 힘과 시간으로 1회 전진시켜 닦아 보았다. 왕복 테스트도 해보려고 했는데, 1회 전진만으로 두 제품 모두 찌든 간장이 대부분 잘 닦여서 1회 전진에서 테스트를 스탑했다.
▲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 잔여물
▲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 잔여물
1회 전진하여 닦았을 때, 회전 방식의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은 왕복식 오토비스 KAC-7000에 비해서 잔여물의 분포가 넓게 퍼져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게다가 잔여물이 원형을 반원 모양으로 퍼져있는 것을 미세하게 볼 수 있었다. 원형 회전판에 의해서 닦이면서 퍼져나가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오토비스 KAC-7000은 잔여물이 남아있지만 넓게 퍼지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마룻바닥 케첩 청소 테스트
두 번째는 청소기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마룻바닥에 케첩을 뿌려 놓고 두 제품을 동시에 1회 왕복하여 닦아 보았다.
회전식과 왕복식 두 대의 물걸레 청소기를 나란히 두고 동일한 힘과 시간으로 1회 왕복하여 닦아 보았다.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은 흡수되지 않은 케첩이 마지막에 ㅡ 자로 뭉쳐서 마지막에 남긴 잔여물이 많았다. 또한 지나간 자리에도 옅게 남아 있는 자국이 보였다.
회전식 청소기 휴스톰 HS-9000은 왕복식에 비해서 마지막에 남는 잔여물은 없었으나 지나간 자리에 넓게 자국을 남겼다.
▲ 마룻바닥 케첩 청소 테스트 후
▲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 잔여물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이 지나간 자리에는 마지막에 잔여물이 많이 남는 것이 주로 보인다.
▲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 잔여물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이 지나간 자리에는 원형 모양으로 넓고 옅게 퍼져나간 흔적이 주로 보인다.
▲ 마룻바닥 케첩 청소 테스트
세 번째는 청소기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놀이매트 위에 케첩을 뿌려 놓고 두 제품을 동시에 1회 왕복하여 닦아 보았다.
회전식과 왕복식 두 대의 물걸레 청소기를 나란히 두고 역시 동일한 힘과 시간으로 1회 왕복하여 닦아 보았다. 결과는 마룻바닥에서 할 때와 완전 흡사하였다.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은 흡수되지 않은 케첩이 마지막에 ㅡ 자로 뭉쳐서 마지막에 남긴 잔여물이 많았다. 또한 지나간 자리에도 옅게 남아 있는 자국이 보였다.
회전식 청소기 휴스톰 HS-9000은 왕복식에 비해서 마지막에 남는 잔여물은 없었으나 지나간 자리에 넓게 자국을 남기고 놀이매트에 케첩의 색이 착색되어 버렸다.
▲ 놀이매트 케첩 청소 테스트 후
▲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 잔여물
놀이매트에서도 역시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이 지나간 자리에는 마지막에 잔여물이 많이 남는 것이 주로 보인다.
▲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 잔여물
놀이매트에서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이 지나간 자리에는 원형 모양으로 넓고 옅게 퍼져나간 흔적이 마룻바닥에서보다 뚜렷하게 보였다. 게다가 놀이매트에 남게 되는 남은 잔여물들이 착색되어 놀이매트를 결국 폐기처분해야만 했다.
위에서 케첩으로 효율을 비교한 영상을 자세히 살펴보면, 뭔가 이상한 점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테스트 영상을 돌려 보는 중 일단 전진만 한 상태를 캡처한 사진이다. 그런데 필자는 여기서 왕복식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의 경우 이미 깨끗하게 닦여있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다. 이때까지는 오토비스 KAC-7000의 경우 놀이매트에 케첩이 착색되지 않았다.
그런데 다시 왕복해서 돌아오는 동안 케첩자국을 남기면서 놀이매트에 케첩의 빨간색이 착색되었다. 분명 아주 잘 닦였던 케첩자국이 왜 다시 생겨났을까?
※ 놀이매트에 케첩이 묻은 상태로 한 번에 잘 닦아내지 않으면 착색되는 현상이 있어서 여러번 문지르지 않고 한 번에 잘 닦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 회전식과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의 청소 직후 극세사 패드 상태
필자는 그 해답을 얻기 위해 패드부터 살펴보았다. 케첩을 닦은 직후 살펴본 패드의 오염도를 통해 가장 좋은 청소 효율에 대한 방법을 깨달았다.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 원인을 필자는 위와 같이 분석해보았다. 왕복식 물걸레는 진행방향대로 청소했을 때, 앞에 있는 패드가 주로 오염되고 뒤에 있는 패드는 옅어진 오염물질을 깨끗하게 닦아내는데 효과적이었다. 반면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같은 경우 오염물질이 주로 원 바깥 테두리 부분에 묻으면서 테두리에 묻은 오염물질이 지나간 자리에 둥글게 그림을 그리는 듯한 잔여물을 남기게 되었다.
평소 우리는 걸레질을 할 때, 스틱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닦아낸다. 그러한 습관 때문에 물걸레 청소기로 청소를 할 때도 스틱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청소할 때가 있는데,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의 경우 청소의 효율을 떨어트리게 된다.
만약 위에서 진행했던 왕복 테스트대로 한번 전진했다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후진해서 돌아오게 된다면 왕복식 물걸레의 경우에는 뒤따라 후진해 오는 더러운 패드가 잔여물을 남기면서 다시 오염시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는 후진 없이 진행방향대로만 청소를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 전진 테스트
필자는 앞선 실험을 통해 내린 결론으로 다시 한 번 효과적인 방법으로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다. 위 동영상은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을 1회 전진만하여 케첩을 닦아낸 영상이다. 지나간 자리에는 케첩이 남아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깨끗했으며, 마지막으로 작동을 멈춘 지점에 대량으로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 전진 테스트 후 잔여물
▲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 전진 테스트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도 1회 전진만하여 케첩을 닦아낸 영상을 촬영해 보았다. 필자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처럼 진행방향으로 패드를 앞뒤로 위치시켜보고자 물걸레 청소기를 옆으로 움직이면서 닦아 보았다. 확실히 진행방향 앞뒤로 패드가 위치하는 것이 많이 오염된 바닥을 닦아내기에 효율적이었다. 하지만 여전히 회전식 청소기는 지나간 자리에 원형을 따라 남게 되는 잔여물이 눈에 잘 보였다.
▲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 전진 테스트 후 잔여물
▲ 왕복식 vs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왕복 테스트 (U턴)
위에서 진행한 왕복테스트는 전진 후 그대로 후진을 하였다면 이번에는 청소기의 원리를 잘 살려서 U턴을 그리면서 왕복청소를 하는 방법으로 테스트 해보았다. 필자는 앞서 도출한 결론대로라면 스틱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닦는 것 보다 U턴을 그리면서 왕복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는 판단이다.
위 동영상을 보면 실제로 앞서 진행한 왕복 테스트보다 잔여물을 최소화한 채로 잘 닦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 왕복(U턴) 테스트 후 잔여물
▲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 왕복(U턴) 테스트 후 잔여물
이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청소를 마친 뒤 남아있는 잔여물을 휴지로 훔쳐보았다. 휴지에 묻은 잔여물이 바로 각 청소기로 닦았을 때 바닥에 남아있는 잔여물의 총량이다. 닦아내는 성능으로 보면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가 잔여물의 양을 거의 남기지 않고 닦아내었다. 하지만 청소의 효율을 보면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비록 지나간 자리 마지막에 잔여물이 많이 남지만 지나간 자리만큼은 깨끗하게 책임지고 닦아주는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는 최종적으로 남아있는 잔여물이 많지는 않지만 지나간 자리에 조금씩 흔적을 남긴 점이 아쉬웠다. 결국에는 다시 넓은 구역을 닦아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청소의 효율은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가 더 좋다고 생각된다.
물론 필자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케첩을 많이 뿌려서 테스트를 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청소효율을 테스트한 것은 아니다. 때문에 필자의 테스트 방법이 마음에 와 닿지는 않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동영상이나 사진으로 잘 보이지도 않는 일상생활 속에서 조금 오염된 바닥을 닦는 테스트를 하기에는 물걸레 청소기의 효율을 제대로 보여줄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선택한 테스트 방법이다. 오염물질의 양이 어떠하든 왕복식과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의 원리를 설명하고 싶었고, 양의 차이만 있을 뿐 물걸레 청소기의 방식에 따른 효율은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필자는 회전식과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가 각 각 장애물이 있을 시 어느 정도 잘 극복하는지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다.
▲ 회전식과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장애물 극복 테스트(수건, 선)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인 휴스톰 HS-9000은 선이나 수건 같은 장애물이 있을 시 이외로 쉽게 빨아드리지 않고 밖으로 잘 튕겨낸다. 회전의 진행방향이 헤드 전면으로는 헤드 바깥으로 움직이고 헤드의 뒷면으로는 헤드 안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전면에 있는 장애물에 대해서는 쉽게 빨아드리지 않는 것 같다. 하지만 100% 장애물을 극복할 수는 없었으며 다섯 번 중 한 번쯤은 수건이나 선이 회전판에 말려들어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였다.
반면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는 장애물이 있어도 크게 우려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
▲ 왕복식,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장애물 테스트(벽)
이번에는 회전식과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를 벽에 대고 청소를 해보았다.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인 휴스톰 HS-9000은 회전판 힘에 대한 반발력으로 벽을 만나면 좌우로 헤드가 불규칙적으로 튀는 현상을 보였다. 물론 헤드에 보이는 빨간띠(댐퍼)가 부착되어 있어 충격 흡수를 하지만 그래도 벽을 만났을 때 안정감이 떨어지는 건 사실이다. 반면에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는 벽을 만나도 평소와 크게 다른 점은 보이지 않았다.
이번 비교는 무선 청소기의 꽃, 배터리의 효율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려 한다.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와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두 제품의 대결 결과는 과연 어떠할까?
필자는 두 제품을 완전 충전 후 방전될 때까지 시간을 타임랩스 영상으로 촬영해 보았다.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은 약 1시간 16분 뒤 작동이 멈춘 뒤, 가끔 전원이 들어왔다 꺼졌다를 반복하면서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었다.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은 약 1시간 40분 뒤 처음으로 작동이 멈춘 뒤, 수시로 전원이 들어왔다 꺼졌다를 반복하면서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었다.
이번에는 반대로 두 제품을 완전 방전 후 다시 완전 충전될 때까지 시간을 타임랩스 영상으로 촬영해 보았다.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은 약 2시간 19분 뒤 완전 충전되었다는 녹색 LED가 점등되었으며,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 휴스톰 HS-9000은 약 3시간 39분 뒤 완전 충전되었다는 표시인 녹색 LED가 점등되었다.
두 번의 배터리 테스트를 통해 나온 결론은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 오토비스 KAC-7000이 더 오래가고 더 빨리 충전되었다. 결과에서는 물론 차이가 있지만 실 사용하기에는 두 제품 다 훌륭한 배터리 효율을 보여주었다. 사실 LED 라이팅 기능이 있고 헤드의 무게가 큰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의 배터리 효율을 테스트 전 부터 걱정했는데, 전혀 걱정할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왕복식과 비교해서 결과는 졌지만, 충분히 훌륭하다.
필자는 1, 2부를 통해 회전식과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를 비교하는 컨텐츠를 작성하였다. 서로 다른 제조사의 두 제품을 100% 일반화해서 회전식 물걸레 청소기다.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다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때문에 현재 각 부분 인기순위와 동일 가격대를 고려하여 최대한 일반화 할 수 있을 만한 제품을 선정하게 되었다.
여기까지 글을 읽으면서 회전식 대 왕복식 물걸레 청소기로써의 비교, 그리고 휴스톰 HS-9000과 오토비스 KAC-7000이라는 제품의 비교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글을 읽어줬다면 필자가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전달했다고 생각한다. 아무튼 필자는 테스트했던 정보들이 부족하지 않고 예비 물걸레 청소기 사용자들에게 충분히 유익한 정보로 전달되기를 바라면서 글을 마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