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elect (선택 이유)
저는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총 6번의 VGA카드 기변을 하였습니다.
1) Zotac AMP RTX2070Super
2) Evga RTX 2080Ti Black Edition
3) Sapphire 라데온 RX 5700XT NITRO+
4) Zotac Extreme Core RTX2080Ti
5) Sapphire 라데온 RX 5700XT NITRO+ (+ARGB FAN)
6) Zotac Extreme Core RTX2080Ti
기변 주요사유는 성능과 가격, PC사용량에 따라서 현타가 와서가 대부분입니다. 라고 쓰고 기변증이 있어서 라고 읽습니다...
2팬 모델은 쿨링 때문에 온도가 높거나 소음이 심하였고, 2080Ti 3팬 모델은 성능과 디자인에서는 훌륭하지만 PC사용량이 많지 않은 저에게는 넘치는 거 같고, 5700XT 니트로모델은 드라이버 오류로 인해서 다이렉트9기반 게임에서 일부 충돌이 일어나서 기변을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2080Ti 사용 중 2080Ti Super가 나온다는 말에 다시 현타가 와서 기변을 하기로 결심을 하였습니다.
현타가 온 저에게 VGA카드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성비였고 추가로 쿨링 성능이 좋은 3팬, AS평이 좋은 유통사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었습니다.
RTX2070Super와 RX 5700XT 사이에서 많은 갈등을 하였지만 가격에서 너무나 차이가 났습니다. 비슷한 성능에서 60만원후반의 2070S보다는 50만원 중후반의 5700XT가 더 매력적이었다. 최근에 즐기고 있는 보더랜드3는 다이렉트11과 12지원으로 충돌의 위험도 없는것 같고, 그동안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도 업데이트 되어 괜찮다는 평을 보았습니다.
5700XT 3팬 모델을 줄세워 보니 기존에 2번이나 사용해본 사파이어 니트로와 에이수스의 스트릭스 그리고 XFX THICC Ⅲ 중에서 THICC Ⅱ에서 FAN문제가 있었지만 50만원 초반인 THICC Ⅲ의 멋진 디자인과 해외평가가 좋아 과감하게 도전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더군다나 특별할인기간에 AMD그래픽카드 구매시 게임 2가지 쿠폰을 고려하면 실 구매가격은 40만원 중후반으로 굉장히 가성비가 좋다고 생각되었습니다.
THICC Ⅲ의 디자인은 VEGA64 니트로와 유사한 벽돌스타일로 굉장히 깔끔하고 멋지다고 생각되었고, 최근RGB가 들어가는게 유행이지만 THICC Ⅲ는 디자인 자체만으로도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AS의 경우 엑슬비젼(XFX&HIS 유통사)의 경우 후기가 많지는 않지만 제가 가입해서 정보를 얻고있는 비쉐라카페의 협력업체이며, 카페지기님이 AS후기 검색결과를 게시해 놓으셨는데 내용을 보니 좋은 편이라 판단하였습니다.
※ 사진출처 : 다나와 (19.11.27 기준)
2. Appearance (외부모습)
상자는 생각보다 크기가 작았지만 봉인씰이 착실하게 붙어있었습니다.
뒤편은 THICC Ⅲ의 특·장점들이 적혀있는데 간단히 설명을 드리면 AMD의 7nm 게이밍GPU를 사용하여 이전 14nm 프로세서에 비해 1.25배의 클럭당 성능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인텔리전트 샤프닝 기술을 통하여 성능하락 없이 선명한 시각 효과를 제공하며, FidelityFX는 고성능 후처리 효과의 컬렌션으로서 여러 효과를 소수의 셰이더 패스로 자동 축소하여 오버헤드를 줄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Freesync2 HDR의 적용으로 10비트 HDR을 통해 끊어짐과 깨임 현장 없는 게이밍 환경을 제공하며, Anti-Lag기능은 CPU작업속도를 제어하여 GPU속도보다 지나치게 빠르지 않도록 조절하여 대기중인 CPU 작업량을 감소시킨다는 내용입니다.
상자를 열면 무지박스가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었으며
구성품은 그래픽카드와 안내카드, GPU전원선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픽카드의 슬롯부위와 포트부위는 모두 캡으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 깜빡하고 개봉할 때 사진을 찍지 않아 스티커등은 이미 제거 후 사진이며, 팬 가운데 파란색 스티커가 붙어있었습니다.
포트는 3개의 DP포트(1.4HDR)와 1개의 HDMI(2.0B) 포트로 구성되어있으며 최대 60Hz 8K 또는 120Hz 5K, 240Hz QHD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제가 현재 사용중인 모니터 LG 32GK850F(QHD해상도,144Hz,HDR, Freesync지원) 의 성능은 충분히 100% 뽑을 수 있으며, 추후 모니터 변경을 하더라도 3~5년 동안은 성능하락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측면 모습을 보면 영화 트랜스포머의 옵티머스 프라임이 변신한 트럭 같은 상남자 자동차의 그릴을 모티브로 만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래서 이름을 THICC으로 네이밍 한것으로 보여집니다.
두께 또한 THICC 이라는 네임에 맞게 두툼합니다. (5.7cm)
내부는 AS 때문에 오픈해볼수 없지만 틈으로 자세히 보면 히트싱크와 구리표면의 2중 레이어로 구성된 히트파이프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있어 열전도율을 향상 시킨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8+8핀의 전원 포트를 지원하며
백플레이트는 31cm라는 긴 그래픽카드의 PCB기판보호와 휨을 방지와 발열을 빠르게 방출하기 위해 타공 디자인을 적용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원 포트 옆을 자세히 보면 검정색 버튼이 있습니다. 이것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적용 못하거나 귀찮아하는 사용자를 위해 하드웨어로 BIOS를 설정하는 버튼으로 현재 왼쪽으로 설정되어있으며 이것은 Normal 모드(성능중심)이며, 오른쪽으로 변경할 경우 Silence모드(소음중심)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외관을 살펴본 결과 최근 유행하는 RGB 부위가 1도 없습니다. RGB 컨셉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다소 아쉽겠지만 최근 너무 강화유리케이스와 RGB의 눈뽕이 유행하다보니 반대로 심플한 것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적합한 모델입니다. 특히나 블랙을 좋아하는 시크한 남성분에게 최고의 모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3. Installation (설치)
우선 그래픽 카드가 3팬 모델답게 상당히 큽니다. 거의 RTX2080Ti 3팬 모델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스펙상으로 31cm x 14cm x 5.7 cm 으로 구매하실 생각이 있는 분은 케이스와의 호환도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다행히 제가 현재 사용하는 3Rsys의 GT100 케이스에는 문제없이 설치가 됩니다. 라이저 키트로 세울 경우도 200mm 쿨러와 아슬아슬하게 간섭이 되지 않을 거 같습니다.
GPU전원선 8핀(6+2)을 2개 설치하고 전원을 켰을때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파란색 램프가 점등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제로팬을 지원하기 때문에 60도 이하에서는 팬이 돌지 않습니다.
3DMARK 파이널스트라이커 테스트나 고사양 게임등을 실행하여 높은 로드가 걸려 온도가 60도 이상으로 올라갈 때 자동적으로 팬이 돌아갑니다.
4. Performance (성능)
XFX 라데온 RX 5700XT THICC Ⅲ ULTRA의 스펙표기상으로 GPU Clock 1810MHz며, Game Clock 1935MHz, Boost Clock 2025MHz 표기되어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해봤던 사파이어사의 니트로+ 모델보다 약간 더 높은 Clock입니다.
참고로 테스트를 진행하는 PC의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ㅇCPU : Ryzen7 2700X Pinnacle Ridge [순정]
ㅇCPU 쿨러 : EVGA CLC 240 Liquid CPU Cooler
ㅇVGA : XFX 라데온 RX 5700XT THICC Ⅲ ULTRA
ㅇ메인보드 모델명: ASUS Rog Crosshair7 Hero X470
ㅇ램 용량과 개수 : DOCP G.Skill Trident z DDR4 3200MHz CL16 8G X 2개
ㅇSSD 모델명 : SAMSUNG 970 PRO 512GB
ㅇ파워 모델명 : SEASONIC FOCUS Plus Series SSR-850FX 850W Gold Full Modular
ㅇ케이스 : 3Rsys GT100
ㅇ윈도우 버전 : Win10 1909
ㅇ모니터 해상도와 hz : LG 32GK850F / QHD / 144hz
ㅇ모니터 연결 케이블 종류 : DP1.4
4-1] 3DMARK의 Firestrike Test
먼저 가장 흔한 성능 테스트인 3DMark의 파이어 스트라이크 테스트입니다.
그래픽스코어는 27,305점으로 RTX2070super보다 높은 점수를 보입니다.
2회차에서도 역시 그래픽스코어는 27,299점으로 처음 테스트와 차이 없이 높은 점수를 보입니다.
4-2] Game Bench Mark Test
다음으로는 게임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게임 자체 벤치마크가 있는 경우 벤치마크메뉴를 사용하였으며, 없는 경우는 MSI의 에프터버너를 이용하여 평균 프레임 기준을 기록하였습니다.
보더랜드3의 경우 옵션을 ‘높음’으로 설정한 후 벤치마크를 한 경우 69프레임 정도 나왔으며
‘중간’ 옵션으로 설정한 경우 97프레임이 나왔습니다.
어쌔신크리드 오디세이의 경우 벤치마크테스트시 그래픽카드 성능에 따라 자동으로 옵션을 지정하게 되는데 확인해보니 ‘높음’으로 설정되었습니다. 평균 프레임은 66프레임이 나왔습니다.
몬스터헌터월드의 옵션을 ‘최고’로 설정하였을 경우 평균 63프레임이 나왔습니다.
옵션을 ‘고’로 설정하였을 경우 평균 84프레임이 나왔습니다.
위쳐3는 옵션 ‘최고+Hairwork 끔’ 설정시에는 평균 80 프레임이 나왔으며
옵션을 ‘높음+Hairwork 끔’으로 설정시에는 평균 83프레임 으로 ‘최고’ 선택시와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위쳐3에서 가장 많은 프레임저하는 Hirwork인 듯 합니다.
PES(위닝) 2019 의 경우 옵션을 ‘High’로 설정하였으며, 동영상 재생시 프레임이 60프레임으로 고정되는 바람에 평균 프레임이 하락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129프레임을 유지하였으며.
GTA5 벤치마크시 평균 95프레임이 나왔습니다.
더크루2의 경우 최고 프레임제한이 60프레임이라 옵션을 가장높은 ‘울트라’로 설정하여 벤치마크 결과 평균 60프레임을 유지하였습니다.
콘트롤의 경우 옵션 ‘높음’에서는 평균 56프레임을 유지하였으며
옵션 ‘중간’ 에서는 평균 74프레임을 유지
옵션 ‘낮음’에서는 114프레임을 유지 하였습니다.
데빌메이크라이5의 경우 스크린샷이 지원되지 않아 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평균 138프레임이 유지 되었습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아래표와 같습니다.
게임명 |
옵션 |
평균Fps |
비고 |
보더랜드3 |
높음 |
69 |
|
보더랜드3 |
중간 |
97 |
|
어쌔신크리드:오디쎄이 |
높음 |
66 |
|
몬스터헌터월드 |
최고 |
63 |
|
몬스터헌터월드 |
고 |
84 |
|
위쳐3 |
최고 |
80 |
Hairworks 끔 |
위쳐3 |
고 |
83 |
Hairworks 끔 |
PES2019 |
High |
129 |
|
GTA5 |
- |
95 |
|
더크루2 |
ULTRA |
60 |
최대지원프레임60 |
CONTROL |
높음 |
56 |
|
CONTROL |
중간 |
74 |
|
CONTROL |
낮음 |
114 |
|
DMC5 |
- |
138 |
|
RTX2070super 리뷰들과 비교해 보면 큰 차이 없이 게임에 따라 낮거나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5700XT Nitro+를 사용했을 때 리뷰한 게임 일부와 비교하면 THICCⅢ가 살짝 높은 프레임을 보여줍니다. 5700XT 시리즈 중 순정으로 성능은 최상위라고 생각이 듭니다.
4-3] 쿨링 및 소음
다음으로는 THICCⅡ에서 가장 문제되었던 쿨링과 소음입니다.
먼저, 쿨링성능으로 벤치마크했던 게임의 평균온도와 최고온도를 확인해보았습니다.
결과는 아래표와 같으며 THICCⅡ에서 80~90℃를 드나들던 문제는 해결되었으며, NItro+보다는 살짝 높지만 비슷한 것으로 보여 집니다.
TEST명 |
옵션 |
GPU (℃) |
메모리 졍션 (℃) |
비고 |
||
평균온도 |
최고온도 |
평균온도 |
최고온도 |
|||
파이어 스트라이크 |
1회 |
47 |
61 |
51 |
64 |
|
파이어 스트라이크 |
2회 |
49 |
63 |
53 |
64 |
|
어쌔신크리드:오디쎄이 |
높음 |
60 |
67 |
64 |
70 |
|
몬스터헌터월드 |
최고 |
65 |
66 |
70 |
72 |
|
몬스터헌터월드 |
고 |
62 |
65 |
66 |
72 |
|
위쳐3 |
최고 |
60 |
66 |
65 |
72 |
|
위쳐3 |
고 |
57 |
64 |
61 |
70 |
|
PES2019 |
High |
58 |
63 |
62 |
68 |
|
GTA5 |
자동설정 |
50 |
54 |
53 |
56 |
|
더크루2 |
ULTRA |
49 |
55 |
53 |
60 |
|
CONTROL |
높음 |
53 |
64 |
58 |
70 |
|
CONTROL |
중간 |
50 |
60 |
56 |
64 |
|
CONTROL |
낮음 |
50 |
60 |
55 |
64 |
|
DMC5 |
- |
60 |
65 |
66 |
70 |
|
평균 |
- |
54.62 |
62.15 |
59.00 |
66.62 |
|
※ Hotspot의 온도는 최고온도 기준 62~104℃ 로 편차가 크며, 극히 작은 부위로 표에서는 제외하였습니다. (보더랜드의 경우 온도 스샷을 누락하여 정보가 없습니다.)
소음과 관련하여 제 PC에서는 고주파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로드시 팬소음이 크지 않았습니다. 정확한 측정장치가 없기 때문에 대신하여 FAN RPM으로 대신하고자 합니다.
결과는 아래표와 같으며 50~60도 이하에서는 0RPM 유지가 잘되었으며, 풀로드시에는 최고 2,114RPM과 평균1,443RPM을 유지하여 반 오픈케이스(3Rsys GT100)를 사용함에도 생각보다 정숙하였습니다.
TEST명 |
옵션 |
GPU FAN (RPM) |
비고 |
|
평균 |
최고 |
|||
파이어 스트라이크 |
1회 |
897 |
2,521 |
|
파이어 스트라이크 |
2회 |
1,165 |
2,696 |
|
어쌔신크리드:오디쎄이 |
높음 |
1,781 |
2,442 |
|
몬스터헌터월드 |
최고 |
2,291 |
2,420 |
|
몬스터헌터월드 |
고 |
1,851 |
2,351 |
|
위쳐3 |
최고 |
1,614 |
2,449 |
|
위쳐3 |
고 |
1,370 |
1,999 |
|
PES2019 |
High |
1,147 |
1,688 |
|
GTA5 |
자동설정 |
436 |
1,097 |
|
더크루2 |
ULTRA |
972 |
1,568 |
|
CONTROL |
높음 |
1,974 |
2,445 |
|
CONTROL |
중간 |
1,704 |
1,907 |
|
CONTROL |
낮음 |
1,560 |
1,907 |
|
DMC5 |
- |
1,389 |
2,185 |
|
평균 |
- |
1,443.23 |
2,114.62 |
|
4-4] 성능 : 아쉬운점
사파이어 니트로+의 경우 그래픽카드 지원 프로그램인 TRIXX라는 프로그램이 별도로 있으며, Zotac의 경우 Firestorm등의 자체 프로그램이 있지만 XFX는 별도 지원 프로그램이 없어 AMD의 Adrenalin에서 설정을 하거나 범용으로 사용되는 MSI의 AfterBunner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점과 GPU Hotspot온도가 작은 부위지만 높게 나온다는 것은 아쉬운 점입니다.
5. Epilogue (후기)
1. 5700XT의 첫 모델로 THICC Ⅱ의 FAN 문제로 XFX의 인식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 꺼리는 분도 있겠지만, THICC Ⅲ에서는 쿨러 깎는 장인이라 불리는 사파이어 Nitro+ 에 비길만한 쿨링 성능으로 팬 문제가 개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는 아직 확정이 되지 않았지만, 해외에서는 THICC Ⅱ모델도 FAN교체된 모델로 교체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 게임성능은 RTX2070Super와 비슷하며 일부게임에서는 조금 더 나은 성능은 보여줍니다.
5700XT 가장 큰 이슈인 그래픽드라이버 충돌 문제도 초기버전(19.8.2)에 비하면 최신버전(19.11.3)에서는 많이 고쳐 진거 같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즐기는 게임 기준이라 편차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3. RX 5700XT는 RTX 2070super와 비등한 성능이지만 가격에서 10만원 이상 저렴한 제품시리즈며 그 가성비 좋은 5700XT 3팬 모델 중에서도 THICC Ⅲ는 최고의 가성비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종합해보면 준수한 성능(퍼포먼스,쿨링), 매우 합리적인 가격, 멋진 디자인, 괜찮은 AS의 유통사로 4박자를 모두 갖춘 현시점 가장 합리적인 제품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상으로 자비로 구입하여 매우 주관적으로 작성된 XFX RX5700XT THICC Ⅲ UTRA 그래픽카드의 후기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