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롤 압박이 조금 있었던 1부, 잘 보셨나요? 외관 및 청소능력을 비교해봤는데요.
2부로는 로봇 청소기 선택에 있어 고민하는 부분은 과연 뭘까?에 대해 고민해봤습니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로봇 청소기는 이런 부분이 아쉬워었는데..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1. 추락방지 기능이 잘 작동하는지
2. 문턱을 잘 넘나들 수 있는지
3. 장애물 회피를 잘 하는지
4. 모서리 청소는 잘 하는지
5. 청소시 들리는 소음정도는?
등등! 많은 테스트로 준비한 2부도 바로 만나보실까요~?
집안에 들어왔을 때, '이게 왜? 여기에 내려와 있어~~'
하고 로봇 청소기가 현관 바닥이나 화장실 등에서 허우적거리는 모습을 볼 수가 있죠.
한두번 경험을 하면, 그냥 로봇 청소기를 끄고 살게 된다! 하겠는데요.
그래서 요즘 로봇 청소기들은 추락방지센서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로봇 청소기라해도 다 같은 로봇 청소기가 아니죠. 낙하방지센서를 내장한 에브리봇 3i는 밑으로 푹 꺼지는 높이를 발견하면 바로 우회를 통해 추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현관앞에 나가 있거나.. 계단을 구르거나.. 이제 이런 문제는 사라진다 하겠죠?
그래서 실제 어떻게 작동 되는지 테스트 해봤습니다. 오~ 에브리봇 3i는 빠른 전환이 놀랍다 할정도로 추락 방지 기능이 잘 되어있다 하겠습니다. 그럼, 치후 360 S7는 어떨까요?
치후 360 S7에도 낙하방지센서를 4곳에 내장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8cm 이상의 높이에서 추락 방지 센서가 작동, 추락을 미련에 방지하여 끊김없이 안전한 청소를 해준다 하겠습니다.
집안에 밑으로 푹 꺼지는 턱만 있는게 아니죠. 위로 쏟아 있는 문턱도 있고, 러그며 카페트며 각종 전선 케이블도 함께 공존하고 있다 하겠는데요, 과연 로봇 청소기들이 잘 넘나들까요?
그래서 0.5cm, 1cm, 1.5cm, 2cm 4가지 경우를 만들어 봤습니다.
낮은 높이는 잘 넘어다닐것 같은데... 과연, 에브리봇 3i는 잘 넘어갈까요?
0.5cm |
|
1.0cm |
|
1.5cm |
|
2.0cm |
|
각져있는 1.5cm 쫄대에서 잠깐 방황하기도 하지만 다시 넘어가며, 2cm까지는 여러번 시도하여 넘어가 틀어진 위치를 다시 잡습니다. 그리곤 이어서 청소를 실시해주네요.
치후 360 S7는 어떨까요?
0.5cm |
|
1.0cm |
|
1.5cm |
|
2.0cm |
|
각져 있던, 말던 최대 1.5cm까지는 쉽게 넘어가는 능력을 보여주네요. 2.0cm에서는 좀더 방황하는 모습이 보이지만, 앞뒤 반복으로 넘어가 위치를 다시 잡고 이어 청소를 실시해주네요.
두 로봇 청소기.. 생각보다 잘 넘어가면서 청소를 이어 해주는데요, 2cm에서는 살짝 힘듦도 보이지만 어떻게든 넘어가서, 이어 청소를 하는 스마트한 로봇 청소기다 하겠습니다.
자, 그런데
집안에 문턱만 있는 게 아니죠?
생활 환경에 따라 바닥으로 휴대폰 충전 케이블과 멀티탭이 깔려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상황에서도 걸림 없이 잘 지나다니며 청소를 하는지 비교했습니다.
|
충전 케이블 + 멀티탭 |
에브리봇 3i |
|
치후 360 S7 |
|
휴대폰 충전 케이블은.... 바닥에 깔아두면 안 될 것 같네요.
집안에 바닥 벽만 있는 게 아니죠? 각종 가구며 생활에 필요한 모든게 장애물이다 하겠는데요. 그래서 장애물 회피 능력은 어떤지도 테스트 해봤습니다. 요리조리 피하면서 청소를 잘 해주는지 말이죠. 아마도 최신 LSD 센서까지 갖춘 로봇 청소기이기에 잘 해주겠죠?
장애물을 한쪽으로 싹 밀어놓고 청소하는 능력(?)을 보여주네요.
치후 360 S7도 동일한 조건에서 장애물 회피 능력을 테스트해보았는데요.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요?
생각지도 못한 전면 회피 능력에 깜짝 놀라게 되네요.
코너, 모서리 부분은 어떻게 청소를 할까?
그래서 그 환경을 만들어 봤습니다.
전방 레이저 LDS센서를 통해 회피하면서 모서리 부분을 청소하며 지나가네요. 1세대를 로봇 청소기를 사용하는 저로썬 마냥 신기한 움직이다 하겠습니다.
치후 360 S7의 모서리 청소는 어떨까?
에브리봇 3i와 크게 달라보이는 건 없이 모서리 청소를 실시하며 지나가는듯 보이지만, 90도 꺾어지는 부분에 최대한 붙으면서 회전을 하는게 서로 다른 부분이다 하겠습니다.
모서리 부분까지 깨끗한 청소가 될 것 같은 요즘의 로봇청소기다 하겠네요.
아 바꾸고 싶어져~
로봇 청소기 작동 소리도 생각보다 조용하지 않네??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비교를 한번 해보았어요. 로봇 청소기가 조용한 편인지 아닌지 한번 봐주세요
이렇게 모드별로 비교를 해보니 흡입력을 강하게 할수록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네요. 치후 360 S7은 저소음모드는 조금 더 조용하고, MAX 모드는 더 시끄러워서 모드에 따라 소음 편차가 큰 것 같고, 에브리봇 3i는 모드에 따른 편차가 크지 않아서 일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 같네요.
먼지통 뒷정리는 어떨까요?
물걸레 청소까지 가능한 로봇 청소기다 보니, 빨려 들어온 먼지며 과자 부스러기가 약간의 물기를 먹은 듯 축축했어요. 벽면이며 필터며 전체적으로 사용한 뒤에는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겠습니다.
먼지통 뒷정리 편의성 면에서는 HEPA 필터를 제거하지 않아도 바로 먼지를 비울 수 있는 치후 360 S7가 편의성에서는 조금 더 나은 형태를 보여주네요.
물걸레 청소까지 되는 건 좋지만, 뒷정리로 물걸레를 또 빨아야하는 세척시간이 따라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귀찮음인데요. 물걸레 탈 부착은 치후 360 S7이 조금 편리하며 빠르게 탈부착이 가능하긴 하지만, 에브리봇 3i는 여유분 물걸레를 제공하기 때문에 두 장으로 번갈아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겠습니다. 그래도 물걸레 세척은 역시 귀찮아요..
맞벌이 부부, 혼족, 반려동물을 키우는 분들, 청소가 귀찮은 분들에게
삶의 질을 향상시켜준다고 말하고 싶을 정도로 로봇청소기는 편리한 물건입니다.
그러니까 '꼭 사세요!!'
끝으로 이번 시간에 비교한 두 제품을 전체적으로 비교한 표를 보면서
판단은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놓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