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용 모니터 찾다가 저렴해서 제돈 주고 산 후기 입니다.
IPS, TN, VA 커브드/ 평면 등 여러 게이밍 모니터를 사용해봤는데, 장단점이 있어서
본인에 주로 사용하는 환경에 맞게 구매하는게 제일 좋더군요.
게임과 영상 시청, 간단한 영상, 사진편집 용도 다목적 모니터로 선택했습니다.
구성품
구성품에 DP 케이블이 없는 줄 알았는데, 포함되어있습니다.
스탠드 넥, 스탠드 받침대, 모니터, 설명서
베사홀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대부분 모니터 베사홀이 100 x 100 규격이 많은데, 이건 75 x 75 규격이고 베사홀 지원은 좋습니다.
75 x 75 와 100 x 100 둘 다 지원하는 브라켓을 연결 시 브라켓의 간섭이 생겨서 사용을 못합니다.
그러니, 75 x 75 규격만 쓰거나 둘 다 지원하는 브라켓은 추가로 지지대를 써서 간섭되지 않게
조립해야합니다. 지지대 없으면 상단에 원테두리와 100 x 100 크기의 브라켓이 겹쳐서 안들어가 집니다.
디자인
1500R 커브드..
사용해본 1800R 커브드 27인치보다 확실히 굴곡이 더 있어보이며, 32인치부터 커브드가 체감이
되었는데 1500R 커브드 정도면 27인치화면도 확실히 평면과 차이가 크게 보입니다.
커브드모니터가 같은 화면 인치라도 화면이 적게 보이고, 빛샘이 좀 있는 대신에 몰입감이
나쁘지않습니다. 커브드쓰면 평면이 좋아보이고, 평면쓰면 커브드가 좋아보이는게 사람 심리더군요
아웃베젤이 거의 없고, 인너베젤이 있으며, 하단에 회색 프레임으로 처리하여 디자인이 상당히
좋았습니다. 제로베젤이라 소개하는 모니터들이 거의 다 Inner 베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Inner 베젤의 두께가 조금 두껍습니다.
스펙 상 시야각은 넓지만 실제 각도에 따른 화면 왜곡(어두워짐)이 분명히 존재하고
특히 평면보다 커브드 모니터는 시야각이 좀 좁은편이라 이해할만한 수준입니다.
상하 시야각은 TN 패널보단 넓어서 무난합니다.
Innet 베젤 차이
IPS 게이밍 모니터 비교
제조사마다 팩토리캘리브레이션 차이, 패널 차이,OSD 색감 설정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프리셋 기준
비교했습니다. VA 패널이 명암비가 높아서 색감이 짙게보입니다. (색감이 짙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 영화 시청은 색감이 짙은게 좋고 게임은 연한게 눈이 덜 피곤하더군요.
좌) 삼성 VA 패널 모니터, 우) 대기업 IPS 패널 게이밍 모니터
이번에 구매한 삼성 VA 패널 게이밍 모니터가 약간 노란색은 띄며, OSD 설정으로 충분히
커버되서 색감이 나쁘지 않습니다. 삼성 VA 패널 모니터가 적색 계열의 색감이 더 짙게 표현됩니다.
32인치 4K 삼성 모니터가 너무 저렴해서 구매했다가 색감이 너무 구려서 바로 반품했습니다.
이번 특가제품도 너무 저렴해서 좀 걱정되었습니다. 경험 상 삼성 모니터라도 너무 저렴하면 모니터
품질이 기대 이하고, 중소기업 모니터도 고가 모니터는 상당히 색감이 좋았습니다.
하지만 AS처리가 미흡한게 사실이죠.
게임 후기
디바 6인궁
어제 캡처한건데, 이런 날도 있군요.
240hz TN패널 모니터보단 화면 전환의 깔끔함이 좀 덜한 느낌인데 144hz 모니터보다 화면 전환이
부드럽습니다. 역잔상인지 체감되는지 모르겠지만, TN패널과 똑같이 놓고 비교하면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장점
특가가 아니면 이 스펙에 대기업 모니터는 거의 구매하기 불가능
240hz 초고주사율, FHD 27인치 fps 게임하기 좋은 스펙
'지싱크 호환' 공식 지원 모니터
기대 이상으로 괜찮은 디자인
호불호
커브드, VA 패널 명암비
단점
100 x 100 지원하는 브라켓과 간섭이 존재 (75x75 베사홀 지원)
조금 두꺼운 inner 베젤
스탠드 엘리베이션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 보임 (거치대써서 설치는 안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