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역대급 디자인 XFX RADEON RX 5400 XT THICC Ⅲ ULTRA

IP
2020.09.13. 22:28:02
조회 수
1784
2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시선을 사로잡은 그래픽카드 XFX 라데온 RX 5700 THICC Ⅲ ULTRA 8GB

첫 눈에 반해버린 적 있으신가요? 저도 첫눈에 반해버린 적이 있습니다. 바로 오늘 소개해드릴 #XFX 라데온 RX5700 THICC Ⅲ ULTRA 8GB입니다. 최근에 출시되는 제품군의 트렌드라고 하면 아무래도 각 장치에 LED 조명이 적용되는 것인데 이 녀석은 새롭게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트렌드를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저도 쿨러부터 케이스까지 LED 또는 RGB 조명이 적용된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도대체 왜 이 녀석에게 반해버린 걸까요? 요즘 대세가 되고 있는 AMD! 저도 AMD 마니아라면 마니아였는데 시대적은 흐름에 따라갈 수밖에 없었는데 최근에 AMD의 상승세가 어마어마한 것 같습니다. 라이젠과 함께 이번에 7nm 미세공정을 통해 출시된 NAVI 10 아키텍처 경우도 이목을 주목할 만한 이슈이긴 했습니다. 결국에는 오랜만에 마음에 드는 #그래픽카드 를 발견했는데 구입하지 않을 수 없어서 큰맘을 먹고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무광 블랙의 바디만으로는 뭔가 부족했을 법한 측면 테두리를 실버톤의 크롬도금된 라인을 따라 트리플 팬의 가장자리와 XFX 로고의 감성을 적절하게 포함시킨 디자인이 LED 조명 없이도 좀 더 순수하지만 강한 매력을 뿜어내고 있습니다. 실제로 그래픽카드를 구입하고 주변 분들이 이게 뭐냐고 하면서 참 고급 지게 생겼다고 하시는 분들이 꽤 많았던 것 같습니다. 성능은 둘째치고 디자인 만으로고 이렇게 흡족한 적은 처음인 것 같습니다.



#RX5700 에 XT가 붙은 만큼 좀 더 향상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더 높은 클럭과 3개의 팬으로 무장한 녀석입니다. 쿨링 설루션에 좀 더 무게를 두고 1935MHz의 게임 클럭과 2020MHz의 부스트 클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RTX 2070의 대항로 출시된 제품으로 실제로 테스트된 해외 포럼이나 자료 등을 봐도 2070과 비슷하거나 상향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준 하이엔드급 머신으로 가격적인 부분에서도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심사숙고해서 이 녀석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필자의 경우도 올해 중순경 NAVA 10이 출시된다는 소식과 함께 어떤 녀석을 구입할지 A/S나 성능, 디자인 다양한 부분에서 고민하면서 최종적으로 선택한 녀석입니다. GDDR6 8GB 메모리 탑재, PCIe 4.0 인터페이스 지원, 7nm 공정의 새로운 아키텍처인 RDNA로 기존 GCN 아키텍처에 비해 클럭 당 연산 능력이 1.25배 높아졌다고 합니다.


박스 전면면에 AMD 로고와 함께 RX5700의 특징인 7nm 공정부터 PCIe 4.0 등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후면에는 좀 더 구체적인 성능에 대해서 이미지와 함께 영문으로 특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아키텍처인 AMD Navi를 언급하면서 좀 더 심도 있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측면에는 최소 시스템 요구 사항과 함께 박스에 어떤 내용물로 구성되어 있는지 간략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그래픽카드가 이중으로 포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의 포장재를 사용하였습니다.



웬만한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발포 플라스틱 폼 재질의 충격 흡수 재가 적용되어 있어서 안심입니다.



최대한 환경을 생각해서 포장에 신경을 쓴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제품의 발포폼을 적용한데 반해 XFX Radeon RX 5700 XT THICC Ⅲ ULTRA의 경우는 종이 재질의 틀에 작은 사이즈의 발포폼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제품들은 정전기 방지 봉팩에 워런티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데 반해 XFX Radeon RX 5700 XT THICC Ⅲ ULTRA 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혹시나 스티커가 부착되지 않았다고 반품, 리퍼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기 때문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용물은 XFX Radeon RX 5700 XT THICC Ⅲ ULTRA 그래픽카드 본체, 사용자 설명서, 중요한 사용자 정보 리플릿, 4pin to 8pin 변환 커넥터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설치 안내서 뒷면에는 보증서와 함께 제품 모델 넘버와 시리얼이 부착된 보증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문으로 제작된 설치 안내서에는 이미지와 함께 구체적으로 장착 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www.amd.com/ko/support/graphics/amd-radeon-5700-series/amd-radeon-rx-5700-series/amd-radeon-rx-5700-xt



8핀 케이블의 부재로 연결할 수 없는 분들을 위해 8핀 변환 케이블을 기본으로 2개 제공하고 있습니다.



강력을 쿨링솔루션을 갖춘 THICC Ⅲ Ultra는 블랙과 크롬 디자인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고급스러움을 배가시키고 있습니다.


XFX 라데온 RX 5700 XT THICC Ⅲ ULTRA 8GB와 외형상 가장 큰 차이점은 쿨링팬 하나가 추가되었다는 것입니다.



단순해 보일 수 있는 블랙에 크롬라인을 적용해서 시각적 만족도를 높여주고 있고 슈라우드 사이로 히트싱크가 자리 잡고 있어 상판에 있는 쿨러를 통해 열기가 순환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픽카드를 선택하는 첫 번째 기준이 성능이라면 두 번째는 아마도 외형적인 디자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XFX 라데온 RX 5700 XT THICC Ⅲ ULTRA 8GB의 측면 디자인을 보면 고급 스포츠 세단의 전면 라디에이터 그를을 형상화한 것 같아서 개인적인 취향으로 따져본다면 현재 출시되고 있는 RX5700 모델 중 가장 시선을 사로잡는 디자인아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곡선의 미가 살아있는 디자인이라고 할까요? 크롬도금이 적용된 라인을 따라서 길게 라운딩 처리된 라인이 고급스러움을 배가시키고 있습니다. PCI 슬롯을 보시면 XFX가 멋스럽게 타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XFX 로고가 적용된 멋스러운 백플레이트에는 오염물질 및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방열을 위해서도 반드시 제거하시길 바랍니다. 사선으로 타공된 구멍을 통해 공기가 순환됩니다.




쿨링솔루션에 좀 더 신경 쓴 상급 모델로 총 3개의 팬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베어링이 위치한 중앙에는 XFX 로고가 레이저 각인된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문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는데요. 사용 시에 제거하지 않아도 되지만 민감한 공기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중앙에는 100MM 팬 1개와 양측면에 90MM 팬 2개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모두 9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B를 보면 상판 하우징에 광택 처리가 된 것처럼 보였는데 실제로는 무광 블랙으로 더욱 만족스럽습니다. 하이그로시 처리된 제품은 처음에는 보기 좋지만 지문이나 스크래치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무광 블랙이 훨씬 실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PCI EXPRESS 4.0을 지원하고 있는 그래픽카드로 일반 PCI EXPRESS 3.0 이하 번전들과도 하위 호환이 됩니다. 단자 부분에는 보호 커버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XFX THICC Ⅱ와 달리 THICC Ⅲ는 8+8 핀 전원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소비전력은 375W이며 600W 수준의 파워 서플라이에서도 원활한 구동이 가능합니다.

8+8핀 보조전원 단자 옆을 보시면 작은 홀이 마련되어 있고 스위치가 적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듀얼 바이오스로 바이오스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입니다. 현재 기본적으로 세팅되어 있는 스위치는 '성능'이고 두 번째 BIOS는 '정숙성'을 지원하는 모드입니다. 오픈타입이 아니라서 스위치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면봉이나 볼펜 등으로 전환해야 할 것 같습니다.



히트파이프와 방열판으로 구성된 쿨링솔루션을 고정하게 되는 GPU 하단의 홀 한쪽에는 XFX의 로고가 인쇄되어 있는 봉인씰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임의 분해를 할 경우 A/S 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써멀구리스를 재도포 하기 위해서 또는 리뷰를 작성하기 위해서 분해하는 것은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RMA로 보내도 이 부분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합니다.




후면 백플레이트에는 XFX 로고와 함께 KC 인증 마크, 바코드, 시리얼 넘버가 인쇄되어 있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시리얼이 부착되어 있는 스티커는 제거하면 안 되겠죠?



출력 단자는 DisplayPort 1.4 포트 3개와 HDMI 2.0b 포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DMI의 경우 동일한 2.0이라고 해도 HDMI 2.0 / 2.0a / 2.0b로 분류되는데 2.0의 경우 HDR10을 지원하지 못하고 2.0b의 경우 HLG까지 지원하는 최신 인터페이스입니다. PCI 슬롯은 2개를 차지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상단 쿨러의 높이까지 감안하면 사실상 3개의 슬롯을 차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전문 리뷰어가 아니라면 임의 분해를 통해 사후 처리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은 만들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전원부는 GPU와 메모리 전원부로 나눠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GPU 전원부는 6+1로 IR35217 컨트롤러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메모리 전원부는 2페이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NCP81002 컨트롤러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메모리 카드는 8GB GDDR6(256bit)가 적용되었습니다.



AMD의 새로운 RDNA 아키텍처가 적용된 최초의 칩으로 대만 TSMC에서 7nm 미세공정 기술로 기존 베가 기반 GPU와 비교했을 때 클럭당 25% 와트당 50%의 향상된 기능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RX 5700에 XT가 추가된 프리미엄 모델로 GPU 클럭이나 쉐이더 프로세서에서 기존 RX 5700 보다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설치는 별도의 설치 안내서가 없어서 대부분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PCI 슬롯에 장착하고 모니터와 출력 포트에 케이블을 연결하고 8핀 전원 커넥터를 연결하기만 하면 됩니다. 모든 파워서플라이에 PCI-E가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사진만 보셔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공된 리플릿에서도 안내하고 있는 것처럼 XFX 제조사 홈페이지나 AMD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XFX RADEON RX 5700 XT THICC Ⅲ ULTRA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 소음측정기, 적외선 온도계, 소비전력 측정기는 신뢰롭고 객관적인 수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개인의 시스템 및 환경마다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각 테스트는 초기에 측정되지 않고 자동차를 예열해야 정상작동하는 것처럼 약 30분 동안 시스템을 충분히 로딩시킨 후 측정하였습니다.




GPU-z를 통해서 확인된 GPU / 메모리 / 부스트 클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레퍼런스 제품보다 좀 더 향상된 부스트 클럭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측 모니터링 그래프의 경우 초기 IDLE 상태는 아니니 온도나 팬 속도에 크게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제로 팬 기술이 적용된 모델이기 때문에 팬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약 53~54 ℃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진행된 벤치마크 및 게임 테스트에서 사용된 모니터 해상도는 가장 대중적인 1920 x1080p 해상도로 커스터마이징 없이 제공된 옵션을 바탕으로 측정된 수치임을 알려드립니다. 오버클럭 없이 진행된 테스트로 추후에 오버클럭을 통한 자료도 등록하겠습니다.



개인마다 구성된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그래픽 점수만을 기준으로 판다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가. XFX 라데온 RX5700 XT THICC Ⅲ ULTRA 제품군에서도 양품이 선택된 것 같습니다. DX11, DX12 측정값도 모두 우수한 편입니다. 레퍼런스 기준의 RX5700 XT의 경우 그래픽 스코어가 24000점 정도라고 볼 때 엄청난 차이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게임별 수치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비정상적으로 수치가 낮게 측정된 게임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게임에 인 벤치마크가 적용되어 있는데요. 모두 울트라 또는 높은 수준에서 실행한 측정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간과해서 안될 부분이 100% GPU 의존도가 아닌 CPU의 영향 값도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에서 제공되는 벤치마크의 경우 프레임 저하가 심한데요. 실제 게임에서는 정말 쾌적한 환경에서 프레임 드롭 없이 진행이 가능했습니다. 최신 게임인 배틀그라운드 고스트 리콘, 툼레이더, 기어스 5 모두 최고 옵션에서 양호한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이 외에도 DX11 기반의 게임을 10가지 정도 진행해본 결과 큰 단점은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센서를 통해서 확인된 온도의 경우 제로 팬이 적용된 시점의 온도는 53도 수준에서 배틀그라운드 울트라 옵션에서 팬 스피드 59% 수준에서 약 63도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온도를 보여주고 있는 게임은 고스트 리콘 브레이크 포인트로 팬 스피드 68% 수준에서 최고 79도시까지 높은 온도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좀 과하다 싶을 정도로 온도가 급상승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그래픽카드가 아닌 게임의 문제로 판단됩니다. 이 부분은 좀 더 진행을 해보고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풀로드 상태에서는 최대 73℃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본체에 PCB 후면을 덮어서 좀 더 이해가 쉽도록 마킹을 해봤습니다. 전원부로 구성된 부분인 GPU 부분 우측의 온도가 적외선 측정기로 측정 시 46도로 가장 높았고 GPU가 위치한 중앙 부분이 42도 측면 부분이 39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후면의 백플레이트를 통해 어느 정도 방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래픽카드와 소음측정기의 거리는 약 20CM로 측정되었으면 오픈된 기준으로 제로 팬에서 기본적인 실내 소음은 32dB입니다. 배틀그라운드 기준으로 볼 때 팬 스피드 59% 수준에서 53~54dB 수준을 보여줬고 가장 높은 온도인 63도에서 팬 스피드 66%에서 57dB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매우 큰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소음원의 사례별 크기를 보시면 보통 회화 수준이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PC의 전원을 켜고 약 30분 후 측정한 IDLE 시 소비전력은 64W 수준입니다. 인터넷 서핑 및 스트리밍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을 때는 80W, 배틀그라운드 게임을 진행 중에는 321W 수준 GPU 99% 수준에서 FULL Load 시에는 363W,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통해서 GPU, CPU, 메모리 모두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 측정된 소비전력 값은 393W 수준입니다.



RX 5700 보다 뛰어난 XT 모델로 대표적인 게임을 진행하면서 관련된 문제점이나 버그 등을 찾아봤습니다. 발열이나 소음에 있어서는 생각했던 것보다 실망스럽지 않아서 호불호가 있을 거라고 판단된 부분은 저는 무난하다고 결정지어보고 싶네요. 고전적이면서 LED 없이도 외형적인 디자인만으로도 소비자의 시각적 만족도를 높이는 데는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크롬 디자인이 적용된 부분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에 크롬도금이 적용된 것이 왜 메탈이 적용되지 않았을까?라는 의구심도 가져볼 수 있지만 무게나 사이즈를 봐도 메탈 소재를 적용하는 것은 그래픽카드 지지대 및 소비자 측면에서도 크게 반가운 소식은 아닌 것 같습니다. 하우징의 경우도 무광 블랙이 적용되어 먼지나 스크래치에 강해서 좋은 것 같습니다. 그래픽카드의 사이즈가 있기 때문에 컴퓨터 케이스를 새롭게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지 내부 공간을 확인해보시고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트리플 팬으로 쿨링솔루션에 신경을 쓴 것도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냉각 판도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 재질이 적용된 것도 더욱 반가운 소식입니다. 더 넓어진 히트싱크와 열전도율이 높은 냉각판 그리고 4개의 히트파이프가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혹시 성능에 큰 무게를 두지 않으신다면 듀얼 바이오스를 이용해서 정숙성 모드로 변경하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팔자의 경우 조만간 오커클러킹을 통해서 좀 더 향상된 성능을 언급할 계획인데요. 지금까지 소음, 온도, 게임 등 다양한 부분에서 측정된 결괏값으로는 만족을 하고 있습니다. 혹시 XFX 라데온 #RX5700XT THICC Ⅲ ULTRA를 눈여겨보시는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그래픽카드추천 합니다.


이 사용기는 직접 구매해서 작성한 사용기입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삽살이 사랑 님의 다른 글 보기

1/1
해당 게시판 관련 글이 없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간단리뷰] 애즈락 9070xt 타이치 언박싱
사용기 [PBM] 9600x + 5060 msi pbm에디션 사용기 (1)
사용기 뇌에서 땀이 나는 즐거움 - 몬스타PC '도파민' 후기 (3)
간단 사용기 XFX 라데온 RX 9060 XT SWIFT DUAL WHITE OC D6 16GB 구매후기 (4)
간단 사용기 구매후기 (5)
사용기 amd 9060xt 16g 사용기 (4)
간단 사용기 과제하다가 지칠땐 넷플릭스 보기 좋은 옴니북 5 16 (4)
사용기 인텔 265K 두달 사용 후기 (7)
사용기 커버넌트58i 사용기 – 이건 그냥 ‘한 대로 끝내는’ PC입니다 (4)
사용기 ASRock 라데온 RX 9070 XT Taichi OC D6 16GB 대원씨티에스 리뷰 (4)
사용기 지클릭커 파도프로젝트 WK107 8K 매크로 제주스위치 풀윤활 무선 블루투스 기계식 키보드, 집중 리뷰! (7)
사용기 AOC 27G42 사용후기 입니다! (4)
사용기 20만원대 32인치 240Hz 게이밍 모니터! 비트엠 Newsync 324F 패스트 240 FPS (4)
사용기 ASUS TUF Gaming 지포스 RTX 5070 Ti OC D7 16GB 인텍앤컴퍼니 (4)
사용기 크로스오버 27USW9 사용후기 (4)
사용기 이건 그냥... 사냥꾼입니다. 9800X3D + RTX 5080 수랭PC 등장 (5)
사용기 가성비로 압살 ASRock 라데온 RX9060XT 스틸레전드 OC D6 8GB 벤치마크 (4)
사용기 이름처럼 강렬한 수랭PC - 몬스타PC 헬라 실사용기 (4)
사용기 XFX 9060xt SWIFT 16GB (4)
사용기 제이씨현 유디아 UDEA LOOK LK3233KC 시력보호 IPS 사무용 PC 컴퓨터 화이트 모니터 80~81cm(32인치) 내돈내산 추천 (4)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