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YSTEM SPEC
CPU :I5-10600KF
MEMORY : 삼성 8GB 19200(2400) 1EA + 대만산 컬러풀 8GB 19200(2400) 1EA = 16BG
MAINBOARD : MSI MAG B460M 박격포
GRAPHIC : 기가바이트 GTX 1080
COOLER : 잘만 CNPS10X extreme
1. 포장
2. 보드 레이아웃
좌상단 방열판과 m.2 슬롯 방열판이 눈에 들어온다.
모스펫도 촘촘히 박혀 있다.
3. 부속품
두꺼운 메뉴얼과 간단 메뉴얼을 제공한다.
그 외, SATA cable 2개, 드라이버 CD와 스티커를 제공한다.
메뉴얼은 안내가 세세하게 잘 외어 있는 편이다.
PCI 슬롯별 배속과 안내사항이 잘 되어있어, 조립시 간편 메뉴얼을 보고 조립하고 후에 메뉴얼을 정독하는 것을 추천한다.
4. 타 보드와 비교
좌 : MSI B460M 박격포, 우 : ASROCK B150M pro4/hyper
그동안 수고한 ASROCK B150M pro4/hyper보드이다.
(먼저 세대차이가 있는 보드임으로 참고만 하자)
pro4급은 애즈락 라인에서도 상위 라인이라 구성이 좋은 편이다.
하지만 방열판 구성에서 박격포가 앞서는 모습이다.
5. 방열판
보드 구성중 가장 인상 깊은 것이 큼직한 방열판이다.
보드의 평가가 방열판이 잘 되어 있다는 평이 많았지만 회색의 구조물이 플라스틱인줄 알았지 방열판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만져보니 주조된 방열판이고 좌측에 m.2 전용 방열판도 제공한다.
6. 조립
CPU는 인텔 i5 10600K 제품이다.
완성이다.
쿨러는 잘만 cnps 10x extreme
VGA는 기가바이트 GTX1080 3팬이다.
사실 사진은 잘못된 조립인데 램 한장을 슬롯 3에 끼웠는데 부팅 하자마자 부팅 화면에 슬롯 A에 끼우라는 경고가 들어왔다. (이후 정상작동)
메뉴얼을 확인하니 DIMMA2에 가장 먼저 램을 장착하라고 하여 2번 슬롯에 바꿔 장착하니 경고가 사라졌다.
경고가 없었으면 아무 슬롯에나 넣고 무심히 썼을텐데 기술이 좋구나 느꼈다.
이후 램을 추가하여 슬롯 2번-4번 듀얼채널로 구성하였다.
7. 램 오버와 램 타이밍 조이기
내용이 길어 필자가 작성한 별도의 글을 참고하자.
8. 벤치마크
1) CPU-Z
부팅 후 전력제한 해제 없이 cpu z를 돌린 결과이다.
전에 쓰던 6700k는 가뿐히 뛰어 넘는 점수이다. (6700K 4코어 8쓰레드 -> 10600K 6코어 12쓰레드)
생각보다 인상 깊었던 부분은, 인터넷 등 일반 작업에서도 체감속도 상승이 상당하였단 부분이다.
6700k 대비 10600k가 부스트 클럭 4.8기가를 뿜어내는 막강한 놈이란게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생각된다.
게임에서 프레임 상승은 당연하다.
2) AIDA64 메모리 벤치
램 타이밍을 조이기 전과 중간, 최종까지 조인 결과이다.
AMD계열과 달리 인텔의 메인 스트림인 i5 10400이나 10600은 램 클럭이 2666MHz으로 제한되기 때문
에, 필자의 램 구성인 2400Mhz짜리 8+8에 메이커도 하나는 삼성 시금치램, 하나는 대만산 램이라는 짝짝이인 최악의 구성에도, 전압 AUTO에서 램 14-15-15-32까지 안정적으로 들어가는 모습이었다.
16-16-16-34라는 중간 단계를 두었으나 결과적으론 더 쉽게 조여져서 필요 없는 단계였다.
제조사나 램 제품의 수율에 따라 다르겠지만 I5의 램 클럭 실링인 2666Mhz이 높지 않은 수치인 만큼 램 타이밍 값을 처음부터 크게 조여도 문제 없으리라 판단된다.
3) TM5 테스트
메모리 테스트 프로그램인 TM5를 5주기까지 돌려 오류가 있는지 확인했다.
램 전압은 오토로 우측 HWmonitor를 통해 1.2V에서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결론은 오류 없이 사용 가능함을 확인했다.
4) 3D mark Fire strike
Fire strike 점수는 그래픽 의존도가 높은 이유로 램 오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9. 제품의 장단점
장점
1. 구성대비 가격
2. 튼실한 방열판
3. 풍부한 자료 : B460M 보드에서 가장 추천되는 보드이다보니 유튜브나 인터넷에 램 오버클럭 같이 쉽게 따라하지 못하는 자료를 그대로 따라하기 쉬웠다.
간과하기 쉬운 부분인데 각 보드사별로 메뉴가 달라, 안내 자료가 없으면 따라하기 쉽지 않다는 것을 생각하면 의외의 장점이 될 부분이다.
제품의 주의사항
1. 대형 타워형 쿨러 사용시 램 슬롯 1번을 쓰기 어려움.
궂이 찾아본다면, 이 제품의 문제보다는 쿨러의 조합으로 인해 다른 제품들도 모두 동일한 사항이지만 적어 본다.
램을 3, 4번 아무 슬롯이나 꼽아 쓰던 사람으로써, 슬롯2에 꼽으라고 하니,
잘만 cnps 10x extreme의 덩치덕에 좀 간당하게 꼽아 넣었다.
B150과 비교한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타사 제품도 m-atx규격에 밀어 넣느라 대형 타워형 공냉쿨러를 사용하면 슬롯1을 활용하기는 어렵겠지만, 만약 램슬롯 4개를 다 쓸 요량이면 쿨러 크기를 고려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