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는 이제 컴퓨터를 구성하는 부품에서 빠질 수 없는 메인 부품 중의 하나입니다. 초기에는 비싼 가격대로 인해 일반 소비자들은 구입이 망설여지기도 했지만, 이제는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들이 출시되어 기호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프로그램들과 게임 설치에 사용되는 저장 공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게임 하나가 50GB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놀랍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러다 보니, 기존의 SSD 용량만으로는 부족함을 경함하게 되고 자연히 대용량 SSD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 분위기에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128단 NAND 적층 기술이 적용된 대용량 SSD 시리즈를 선보이며 속도와 용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은 제품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국내에서는 판매가 되지 않고 있어 해외구매를 통해서 접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국내에서도 국내 공식 대리점인 도우정보를 통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구매가 가능해졌습니다.
세계 최초로 128단 NAND 적층 기술이 적용된 SSD 제품군은 NVMe M.2 SSD 제품군과 SATA3 SSD 제품군으로 분류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NVMe M.2 SSD 라인업은 'Gold P31 SSD'라는 이름으로 500GB와 1TB의 용량의 제품이 출시되었고, SATA3 SSD 라인업은 'Gold S31 SSD'라는 이름으로 250GB와 500GB, 1TB 용량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리뷰에서는 NVMe M.2 SSD 라인업 중에서 1TB 용량을 가진 'SK하이닉스 Gold P31 M.2 NVMe (1TB)' 제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먼저 해당 제품의 상세 제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지요.
'SK hynix Gold P31'의 제조사는 SK hynix입니다. SK hynix가 반도체 산업에 뛰어든지는 이제 38년차로, 세계 2위 규모의 메모리 반도체 제조 기업으로 성장했고, 2020년 10월에 인텔의 낸드 사업부를 인수, 합병했다는 소식이 들리는 것을 보면 앞으로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해나갈 모양입니다.
'SK hynix Gold P31'의 폼팩터 규격은 M.2 2280입니다. 일반 PC뿐만 아니라 노트북 등에 장착하기에도 좋은 규격이지요. 제품 크기는 80 x 22 x 2.23mm이며, 무게는 약 7g 내외입니다. 인터페이스는 PCIe 3.0 x4 (32Gb/s), NVMe 1.3로 NAND Flash는 128단 1TB TLC 4D 낸드플래시가 사용되었습니다. 해당 제품의 컨트롤러는 SK hynix Cepheus Controller를 채택했으며, 제품의 용량은 500GB와 1TB, 두 종류로 출시되었습니다. 또한, 1GB LPDDR4-4266 캐시 메모리가 적용되어 지속적인 쓰기 상태에서 속도 저하를 방지하고 있습니다.
최대 순차 읽기 속도는 3,500 MB/s, 최대 순차 쓰기 속도는 3,200 MB/s, 최대 랜덤 읽기 속도는 570 (K IOPs), 최대 랜덤 쓰기 속도는 600 (K IOPs)이라고 합니다. 레이턴시는 읽기 90㎲, 쓰기 45㎲으로 안내되고 있으며, 신뢰도(MTBF, BER)는 150만 시간이며 TBW는 최대 750 TBW라고 합니다. 해당 제품의 A/S는 5년 제한 보증을 지원하며 사용 가능한 지원 소프트웨어로는 저장매체의 모니터링과 해당 제품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SK hynix Drive Manager와 시스템 마이그레이션을 제공하는 SK hynix SSD System Migration Utility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SK hynix Gold P31'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세계 최초로 128단 1TB TLC 4D 낸드플래시를 탑재한 제품으로 속도와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 확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품 박스의 전면에는 정품 인증 홀로그램 스티커가 제공되며 차후 A/S를 받을 일이 혹시나 발생할 때를 대비해서 홀로그램 스티커를 떼어서 'SK hynix Gold P31' 제품에 부착해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양한 환경 인증 마크가 제품 박스 뒷면 중앙의 눈에 띄는 장소에 표기되어 있는 것이 조금은 인상적이었습니다. 사회와 환경의 가치를 생각하는 SK hynix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봐야겠지요.
제품 박스는 위아래 개봉 가능한 공간이 모두 스티커로 밀봉 처리되어 소비자의 걱정을 덜어줍니다.
제품의 구성은 품질 보증과 사용 설명서, 'SK hynix Gold P31' 제품 본체를 보관한 트레이로 단출합니다.
'SK hynix Gold P31' 제품은 5년의 제한 보증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또한, 제품에 하자로 인한 제품 교환 과정에서 데이터 복구에 대한 부분은 지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앞서 제품 구성에서 단출하다는 표현을 썼지만 환경을 생각한 패키지 구성이라는 데 큰 의미를 둘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식물성 잉크를 사용해서 재활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였고, 생분해성 소재인 습식 압착 펄프 몰드 트레이와 생분해성 비닐을 사용해서 환경에 대한 영향까지 고려했으며 FSC 인증도 받았습니다. 환경에 대한 기업의 노력이 앞으로 더욱 주목받아 나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PCIe 3.0 x4(32Gb/s)를 지원하는 NVMe 1.3 인터페이스에 M.2 2280 폼팩터 규격을 사용하는 'SK hynix Gold P31'의 제품 크기 80 x 22 x 2.23 mm. 무게 7g입니다. 낸드플래시와 컨트롤러 모두 SK hynix 자사 제품이 적용되었으며 1GB LPDDR4-4266 디램 캐시가 사용된 제품입니다. NVMe 1.3 기준 최대 순차 읽기 3,500 MB/s, 최대 순차 쓰기 3,200 MB/s의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SK hynix Gold P31' 제품은 750 TBW와 150만 MTBF의 신뢰 높은 내구성을 제공합니다. TBW(Terabytes Written)는 기간 별 기록 가능한 용량을 의미하며, 750 TBW는 200GB 용량을 매일 사용한다는 가정하에, 10년 동안 사용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MTBF(Mean Time Beteen Failures)는 평균 무고장 시간을 의미하며, 150만 MTBFsms SK hynix Gold P31가 고장나는데 약 171년이 걸린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SK hynix Gold P31' 제품은 M.2 2280 폼팩터 규격을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장착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 메인보드 제조사의 제품에 따라서 M.2 2280 폼팩터에 NVMe SSD를 장착하느냐 SATA SSD를 장착하느냐에 따라서 M.2 커넥터와 SATA 커넥터 간 대역폭을 공유하는 경우가 있으니, SATA 커넥터를 많이 장착하는 분들이라면 이 부분에 대한 각 제조사의 메인보드 매뉴얼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AORUS Z490 PRO AX의 2번째 M.2 커넥터에 M.2 2280 폼팩터 규격의 'SK hynix Gold P31' 제품을 장착한 모습입니다.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따라서 지원 가능한 최대 폼팩터 규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M.2 2280 폼팩터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 메인보드는 오래된 연식의 메인보드들 외에는 없으니 편하게 장착하면 됩니다.
'SK hynix Gold P31' 제품은 128단 1TB TLC 4D 낸드플래시가 적용되어 기존의 96단 제품들에 비해서 향상된 전력 효율성과 상대적으로 낮아진 발열 온도를 제공합니다. 그래도, 속도가 우수한 제품들의 발열 온도는 어느 정도 잡아주는 것이 좋으니 방열판을 달아주면 조금 더 온도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AORUS Z490 PRO AX 메인보드는 서멀 패드가 부착된 자체 금속 방열판이 제공되니 이를 장착해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해당 리뷰에서 사용된 TEST SYSTEM은 다음과 같습니다.
CPU : Intel i7-10700K
MB : GIGABYTE Z490 AORUS PRO AX
Graphic : 이엠텍 HV 지포스 RTX 2070 BLACK MONSTER OC D6 8GB
RAM : OCPC DDR4-3200 CL22 X3TREME RGB 블랙 패키지 (8Gx2)
CPU COOLER : 써멀테이크 Water 3.0 360 ARGB Sync
SYSTEM FAN : 써멀테이크 Riing Plus 12 RGB TT 프리미엄 에디션 (3PACK)
FAN HUB : 써멀테이크 TT 프리미엄 SYNC 컨트롤러
PSU : 시소닉 CORE GOLD GX-650 Full Modular
SSD : SK하이닉스 Gold P31 (1TB) / Micron MX300 M.2 2280 (275GB) / Micron Crucial X8
HDD : WD 1TB BLUE WD10EZEX / WD 500GB BLUE WD5000AAKX
Case : 3RSYS IR4000
단축키 [window + X]를 누르면 나오는 항목에서 [디스크 관리]를 선택하면 위의 화면이 출력됩니다. 해당 화면이 출력되는 이유는 설치가 끝난 'SK hynix Gold P31' 제품의 디스크를 초기화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디스크 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제품을 사용할 수 없으니 해당 작업은 필수입니다. 여기서 디스크의 파티션 형식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전 버전의 윈도우들에서는 GPT 파티션 스타일을 인식하지 못하지만, GPT 파티션 스타일은 추가 드라이브 용량이 2TB 이상일 때, 그리고 UEFI 환경일 때 사용하게 되므로, 윈도우10 사용자라면 그냥 GPT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10 설치용으로 사용하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당연히 GPT 파티션 스타일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SK hynix Gold P31' 제품에 GPT 파티션 스타일을 적용하고 나면 앞서 나와 있던 창은 사라지고 위와 같은 화면만 남게 됩니다. 이때 'SK hynix Gold P31' 제품에는 931.50GB가 '할당되지 않음'이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이유는 파티션 스타일은 지정했지만 아직 디스크에 볼륨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SK hynix Gold P31' 제품에 마우스를 올리고 우클릭을 눌러 나타나는 창에서 [새 단순 볼륨]을 선택해서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를 실행하고 차례대로 단계를 진행하면 아래와 유사한 화면이 출력될 겁니다.
볼륨의 종류는 단순 볼륨이며 '드라이브 문자 또는 경로'는 해당 드라이브의 경로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해서 지정할 수 있고, '볼륨 레이블'은 해당 디스크가 윈도우에서 '장치 및 드라이브'로 표현될 때 사용하게 될 이름입니다. 굳이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로컬 디스크(P:)'나 '로컬 디스크(D:)'와 같이 자신이 선택한 디스크 경로의 이름이 지정됩니다. [마침] 버튼을 클릭해서 볼륨 생성까지 마무리하면 아래의 화면이 출력됩니다.
이제 'SK hynix Gold P31' 제품이 윈도우에서 정상적으로 노출되고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마무리된 것입니다.
윈도우 창을 열어서 "장치 및 드라이브"를 살펴보면 아까 본인이 작업한 레이블 이름을 기반으로 'SK hynix Gold P31' 제품이 정상적으로 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처음 설치 후 사용 가능한 공간은 931 GB로 나오는군요.
CrystalDiskInfo
CrystalDiskInfo를 통해 체크해 보니 사용시간은 1시간으로 표기되고, 사용 횟수는 2회로 체크되는군요. S.M.A.R.T., TRIM, VolatileWriteCache 등의 기능이 체크됩니다. 온도의 경우, 47도로 확인됩니다. 딱히 사용한 내용이 없어도 기본 온도가 다른 저장매체들에 비해서 높게 체크되지만 어차피 NVMe 1.3 인터페이스와 AORUS Z490 PRO AX 메인보드에 설치할 때 공간이 그래픽 카드 하단이다 보니, idle 상태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보일 수도 있겠습니다.
CrystalDiskMark
CrystalDiskMark 7.0.0에서 대용량 순차 읽기 속도가 3579.55 MB/s. 대용량의 순차 쓰기 속도가 3441.32 MB/s의 결괏값이 출력되었습니다. CrystalDiskMark 8.0.1에서 대용량 순차 읽기 속도가 3569.67 MB/s. 대용량의 순차 쓰기 속도가 3439.10 MB/s의 결괏값이 출력되었습니다. 해당 결과는 SATA3 SSD 제품군과 비교한다면 약 6배가량의 앞선 속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에 따라서 테스트 결과는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Anvil's Storage Utilities
Anvil's Storage Utilities에서는 IOPS의 값과 MB/s의 값을 동시에 체크해볼 수 있습니다. Anvil's Storage Utilities로 측정된 속도는 읽기 속도 2,790.19 MB/s, 쓰기 속도 2,844.44 MB/s입니다. CrystalDiskMark와는 결괏값이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만, 각 벤치마크 툴의 연산과정에 의한 차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AS SSD Benchmark
항상 다른 SSD 벤치마크 툴과 비교하면 점수가 적게 출력되는 것이 평균적인 AS SSD Benchmark의 해당 결괏값도 성능 자체만 놓고 보면 만족할만합니다. 읽기 속도가 2282.26 MB/s, 쓰기 속도 2857.16 MB/s로 쓰기 속도의 성능이 좋게 출력되었습니다.
ATTO Disk Benchmark
'ATTO Disk Benchmark'는 데이터의 용량에 따른 SSD의 읽기 속도와 쓰기 속도의 변화를 한눈에 쉽게 확인 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2회에 걸쳐 체크한 ATTO DISK Benchmark의 내용은 거의 동일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읽기 속도가 3552 MB/s, 쓰기 속도가 3146MB/s 정도로 체크가 되며, 제원에서 밝힌 속도와 거의 비슷합니다.
AJA System Test
AJA System Test 프로그램의 결과는 읽기 속도가 2944 MB/s, 쓰기 속도가 2246 MB/s로 결과가 나왔습니다. 쓰기 속도가 다른 툴보다는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대용량 단일 파일들의 복사 속도
이번에는 'SK hynix Gold P31' 제품의 복사 속도를 체크해봤습니다. 먼저, 대용량 단일 파일들의 복사 속도를 확인해보면... 4.08GB 용량의 파일 1개를 복사하는 과정에서 92% 진행된 시점의 속도는 1.13GB/s로 체크되었으며, 8.51GB 용량의 파일 1개를 복사를 100% 마무리하는 과정에서의 속도는 1.22GB/s로 체크되었습니다. 13.5GB 용량의 파일 1개를 복사하는 과정에서는 99% 진행과정에서 1.18GB/s의 속도가 체크되었습니다.
복수 파일 복사 속도
이번에는 복수의 파일들을 복사할 때 속도를 체크해보면... 1.54GB의 파일 64개가 들어 있는 폴더를 통째로 복사하는 과정이 100% 완료되는 시점에 속도는 861MB/s로 체크되었고, 1.36MB의 파일 4096개가 들어 있는 폴더를 통째로 복사하는 과정이 99% 진행된 상황에서의 속도는 18.4MB의 속도가 체크되었습니다.
나래온 더티 테스트
'SK hynix Gold P31' 제품의 공간을 남기지 않고 931.35GB 용량을 모두 채우는 형태로 더티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더티 테스트가 진행된 시간은 총 10분 38초며... 이때 최대 속도는 2672 MiB/s, 최소 속도는 76MiB/s로 체크되었고, 평균 속도는 1598MiB/s로 결과가 나왔으며,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이 0.8%로 상당히 양호한 결괏값을 보여줍니다. 아무래도 디램리스 제품들과는 다르게 1GB 용량의 LPDDR4 캐시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는 덕을 본 것으로 보입니다.
온도 체크
'SK hynix Gold P31' 제품의 기본 온도가 49도인 상황에서 더티 테스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최대 66도까지 온도가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리뷰에서 테스트된 'SK hynix Gold P31' 제품은 AORUS Z490 PRO AX 메인보드에 써멀패드가 적용된 방열판을 사용한 상태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방열판이 없는 상황에서는 온도가 더 상승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니, NVMe 1.3 SSD 제품인 'SK hynix Gold P31' 제품은 애초에 사용할 때 방열판을 활용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 메인보드의 M.2 슬롯 위치에 따라서 온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SK hynix Drive Manager
해당 프로그램은 'SK hynix Gold P31' 제품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와 사용자가 현재 장착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는 모니터링 목적의 유틸리티입니다. 'SK hynix Gold P31' 제품에 새로운 업데이트가 나온다면 해당 유틸리티에서 Update Firmware를 선택해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드라이브에서 SUMMARY 탭을 선택하면 현재 사용량과 드라이브의 온도 및 남은 수명에 대한 내용과 현재 상태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SMART 탭은 'SK hynix Gold P31'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 항목들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현재 상태에 대한 내용들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SETTING 탭에서는 해당 디스크의 기능에 대한 안내와 OS SETTING 항목에서 TRIM에 대한 내용을 on/off 할 수 있습니다만, 굳이 이 부분을 건드릴만한 상황은 잘 없을 것 같습니다.
DETAILS 탭에서는 CONTROLLER IDENTIFY와 NAMESPACE IDENTIFY에 대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만, 일반 사용자가 살펴볼 수 있는 내용은 아닌 것 같습니다.
SK hynix SSD System Migration Utility
새로 장만한 'SK hynix Gold P31' 제품에 기존의 SSD에 있는 윈도우와 각종 프로그램 설정 및 데이터 들을 그대로 옮겨서 사용하고 싶다면 해당 마이그레이션 유틸리티를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설정에 대한 내용을 크게 사용자가 신경 쓰지 않아도 파티션이 자동으로 축소되거나 확장되어 대상 디스크를 채우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단순히 원본 디스크와 목표 디스크를 선택한 다음에 [다음] 버튼을 계속 눌러서 마이그레이션 과정을 간편하게 진행하기만 하면 복제는 금방 완료됩니다.
제가 테스트한 시스템에서는 C 드라이브에 들어 있는 윈도우와 각종 프로그램 및 설정들이 담겨 있는 159GB의 내용을 복제 완료하는데 약 13분이 걸렸으니 시간도 크게 소요되지 않고 간편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마이그레이션이 끝난 사용자는 재부팅 과정에서 바이오스에 진입해서 'SK hynix Gold P31' 제품을 부팅 우선순위 최상위로 끌어올리고 저장하면 이후부터는 복제가 완료된 'SK hynix Gold P31' 제품으로 윈도우를 부팅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부팅속도 체크
SK hynix SSD System Migration Utility로 복제한 'SK hynix Gold P31' 제품으로 부팅 속도를 체크했으며,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에는 1개의 SSD와 2개의 HDD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행되었고... 전원 버튼을 클릭한 시점에서 15초가 경과한 후에 바탕화면의 전환이 완료되었습니다.
LOL 로딩속도 체크
마이그레이션으로 복제한 'SK hynix Gold P31' 제품에서 LOL 실행 로딩 속도를 체크해봤습니다. 먼저, LOL은 자동 로그인을 선택해 둔 상태에서... LOL 아이콘을 실행하고 15초 경과 후에 런처가 실행 완료됩니다. 이후 연습모드 진행을 위해서 챔피언을 선택한 다음 연습모드를 실행했을 때, 연습모드 실행 20초가 경과된 시점에 로딩 화면으로 진입을 하며, 다시 로딩 화면에서 5초가 경과한 후에 연습모드 화면으로 전환되면 연습모드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오버워치 로딩속도 & Play
마이그레이션으로 복제한 'SK hynix Gold P31' 제품에서 오버워치의 로딩 속도와 게임 플레이를 진행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오버워치 아이콘 실행 후 로그인 창 호출까지는 4초가 소요되었고, 플레이 버튼 실행 후 경고 문구가 끝나고 메인화면으로 완전히 전환되기까지는 12초가 소요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세계 최초로 128단 1TB TLC 4D 낸드플래시가 적용된 SK하이닉스 Gold P31 M.2 NVMe (1TB)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1GB 용량의 LPDDR4 캐시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어 지속적이고 일정한 속도를 제공한다는 장점과 향상된 속도에 대한 만족감을 누리기에 분명 매력적인 PCIe 3.0 x4를 지원하는 NVMe M.2 SSD이며, 무엇보다 그동안 아쉬웠던 SSD 용량에 대한 갈증을 해결하기에 가성비 측면에서도 호감 가는 제품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