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급좌석입니다!
인테리어나 집꾸미기에 관심이 많은 분이 가장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조명입니다! 조명 하나로 집안 전체적인 분위기를 바꿀수도 있으며, 영화를 감상할 때, 데이트를 할 때, 공부를 위해 집중을 필요로 할때 등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TV나 PC와 연동하여 게이밍 환경을 더욱 몰입도 있게 만들어주는 조명들도 많이 출시를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조명하면 양대산맥으로 떠오르는 브랜드가 바로 원조격인 필립스(Philips)와 가성비로 유명한 샤오미(Xiaomi) 입니다! 오늘은 두 양대산맥의 테이블 조명인 '필립스 휴 플레이 라이트바'와 '샤오미 미지아 LED 2세대 스마트 무드등'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필립스 라이팅 LED 휴플레이 라이트바 더블팩을 살펴보았습니다!
스마트 조명의 원조답게 1680만 가지 RGB 색상 변경이나 밝기 조절 기능은 물론 PC나 주변 상황에 맞는 연출이 가능한 조명이랍니다!
색온도는 2000-6500k까지 조절이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전구색부터 주광색까지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색상으로 색상을 조절하여 2개 이상의 휴플레이를 사용한다면 다채로운 방안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패키지박스를 개봉해보았습니다! 깔끔하게 패키징되어 있는 필립스 라이팅 LED 휴플레이 라이트바 더블팩이 들어있습니다!
구성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필립스 라이팅 LED 휴플레이 라이트바 2개와 스탠드형 거치대, TV 부착형 거치대, 조립을 위한 나사 및 양면 테이프와 전원 어뎁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필립스 라이팅 LED 휴플레이 라이트바 는 상황에 따라서 이렇게 세로로 거치를 하거나, 가로로 거치를 할 수도 있으며, TV뒤에 부착하여 TV조명 및 엠비언트라이트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저는 데스크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이렇게 스탠드형으로 조립을 하였습니다!
전원 어뎁터는 최대 3개의 휴 플레이 라이트바를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렇게 더블팩을 구매하고 추가로 싱글팩을 구매하여 최대 3개의 구성이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전원 어뎁터를 콘센트어 꽂으면 즉각적으로 전원이 켜지게 됩니다!
다음으로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 2세대를 살펴보았습니다. 침실이나 거실에 가볍게 올려두고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되어있으며 무엇보다 훌륭한 가성비로 많은 인기가 있는 제품입니다!
구성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 2세대 본체와 전원 어뎁터 그리고 사용 설명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 2세대는 국내 출시가 되어있지 않고 해외 구매가 가능한 제품으로 이렇게 220볼트 전환 돼지코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전원 케이블을 연결해주면 사용 준비가 완료됩니다!
전원을 연결하고 상단에 전원 버튼을 눌러보았습니다. 전원을 눌러주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없이도 바로 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하단에 모드 버튼을 눌러주면 천천히 색상이 바뀌는 모드로 변경이 됩니다. 필립스 휴 플레이는 조명 외부에 별도의 전원 버튼이나 모드 변경 버튼이 없기 때문에 이런 점은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이 편의성 측면에서 좋아보였습니다.
먼저 TV선반 위에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 2세대를 설치해 보았습니다. 이렇게 조명 하나만 두고 TV를 시청해도 따뜻한 느낌으로 집안의 전체적인 분위기 자체가 달라 보였습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 2세대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Yeelight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주고 기기 추가를 누른 다음 샤오미 미지아 무드등을 선택해주면 어려움 없이 조명과 연동이 완료됩니다.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조명의 전원을 켜고 끄거나 밝기를 조절하는 간단한 조작도 가능했습니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전구색과 주광색까지 집중을 위한 상태 또는 독서를 위한 상태 등 조명의 필요 목적에 따라서 눈이 편안한 색상으로 자유롭게 색 온도 조절이 가능했습니다.
그밖에 1600만 가지 색상으로 자유롭게 LED색상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화를 감상하거나 독서를 하거나 게임 플레이를 하거나 할 때 원하는 분위기로 집안 전체적인 느낌을 쉽게 바꿀 수 있었습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에서 미리 설정되어있는 프리셋을 통해 영화 감상 모드나 데이트 모드, 파티 모드 등 상황에 맞는 자연스러운 연출을 원클릭으로 변환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성까지 보여주었습니다.
이렇게 상황에 맞게 멜로영화를 볼 때는 따뜻한 색상으로, 공포 영화를 볼 때는 차가운 푸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더욱 몰입감 있는 연출이 쉽게 가능했습니다.
다음으로 필립스 휴 플레이 라이트바를 설치해 보았습니다. 필립스 휴플레이 제품은 자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조작이 불가능하며, 별도로 휴 브릿지 장비가 필요합니다. 저는 휴 브릿지 장비가 없기 때문에 아쉽게도 다양한 색상 변경이나 싱크 기능 AI스피커 연동 기능을 사용하지 못했지만, 이렇게 2개의 조명을 사용하여 더욱 넓은 범위로 조명 사용이 가능하며 각각 조명별로 색상을 조절하거나 TV 또는 PC영상과 SYNC를 통해서 엠비언트 라이트 기능까지 사용이 가능하여 더욱 확장된 활용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조명의 밝기도 샤오미 제품에 비해서 더 밝았습니다. 직접 조명이 아닌 벽으로 간접조명으로 사용해도 확실히 체감될 정도로 훨씬 더 밝았으며, 광원 범위도 훨씬 넓었습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이 말 그대로 분위기를 바뀌주는 조명이었다면, 필립스 휴 플레이 라이트바는 엑티브한 조명으로 좀 더 눈이 즐거운 상황을 만들어주었습니다.
스탠드 방식으로 TV 양 옆으로 휴 플레이 라이트바를 설치하였는데, 손쉽게 각도 조절을 하여 넓은 범위의 조명으로 사용도 가능했으며, 특히 PC로 게임을 플레이할 때 PC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게임 영상에 맞는 자연스러운 조명 색상으로 변경된다면 마치 게임 속에 있는 것처럼 실감나는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을듯 했습니다.
두 제품의 소비전력을 측정해 보았습니다. 필립스 휴 플레이는 2개의 조명 기준으로 약 14W 전력량을 보여주었으며(1개 조명당 약7W) 샤오미 스마트 무드등 2세대 제품은 6W로 측정이 되었습니다. 조명의 밝기를 생각하면 휴플레이가 조금 더 전성비는 좋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지금까지 필립스 휴 플레이 라이트바와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 2세대를 설치해보고 사용해 보았습니다.
필립스 휴 플레이 라이트바는 명실상부 스마트 조명의 원조이자 아직까지 넘볼 수 없는 프리미엄 조명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초기 구축 비용이 상당한 단점이 있지만, 한번 구축을 해 두면 다양한 필립스 조명들과의 확장성은 물론 TV나 PC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의 자연스러운 싱크 기능 그리고 현존하는 대부분의 AI스피커와 연동이 가능한 음성 제어 기능까지 IoT 시대에 걸맞은 최고의 조명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으며,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 2세대는 배송비 포함 5만 원대의 저렴한 비용으로 색상제어와 같은 기본적인 조명으로 간단히 집안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가성비가 아주 훌륭한 제품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최고의 환경과 최고의 경험을 원하는 분이라면 필립스 휴 플레이 라이트바를, 가격 대비 최고의 효율이 좋은 조명 인테리어를 원하신다면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무드등을 추천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