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초음파 VS 초음파+훈증기] 누리베르 홈리드 VS 큐백 해충퇴치기 BLP-200 *1편* 다나와 리포터

IP
2021.07.01. 07:18:01
조회 수
2795
7
댓글 수
8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해충퇴치기 큐레이션 글 12
테마글 안내

여름만 되면 열대야만큼 우리의 생활에 방해를 주는 대표적인 것이 바로 모기, 날파리, 나방, 바퀴벌레 등등 이름을 알 수 없는 각종 해충들입니다. 정말 지긋지긋하죠.

그래서 각 가정마다 해충 제거를 위한 스프레이와 훈증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을 하지만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의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느끼는 불안감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 많이 출시되는 제품들이 화학 성분을 사용하는 스프레이나 훈증식 대신 벌레를 내쫓거나 유도하는 각종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술집이나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자주 봤던 태워 죽이는 감전식, 해충이 좋아하는 빛으로 유도하여 가두는 포획식, 그리고 가청 주파수를 이용하여 쫓는 초음파식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저는 이번에 초음파식 2종을 테스트할 예정인데요. 

두 제품 간 콘셉트은 확실히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한 모델은 전자 장파와 광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해충을 쫓는 제품인 반면, 다른 한 모델은 초음파와 훈증기를 함께 활용하는 모델입니다.


모델명

HL302

BLP200

사이즈

5.8x11.5x5.3mm

69x90x125mm

입력 전원

220V/60Hz

220V/60Hz

출력

4W

5W

특징

광대역 주파수

초음파+훈증기

가격

(2021.06.30 다나와 기준)

21,810

29,790


광대역 주파수, 전자기장을 이용한 누리베르 홈리드 듀얼 초음파 퇴치기 HL302


누리베르 홈리드 듀얼 초음파 퇴치기 HL302(이후: HL302)의 경우 처음 보았을 때 느낀 제품 외관은 마치 PC 스피커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의 제품이었습니다. 제품 중앙에 있는 전원 스위치 역시 PC 쪽의 전원 스위치와 그 형태가 많이 흡사하고요.

 출처: 누리베르 홈리드


이 제품은 2개의 출력단에서 발생되는 듀얼 초음파 퇴치기로 24KHz~120KHz(70KHz까지의 제품들이 일반적입니다.)의 광대역 주파수로 해충을 쫓아내는 방식의 제품입니다. 초음파와 전자장파를 24시간 연속 발생시켜 해충이 살 수 없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단순한 패턴이 아닌 다양한 4가지 패턴의 특수 초음파를 발생시켜 확실한 퇴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출처: 누리베르 홈리드

특히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주파수 대역폭이나 출력이 다른 제품들에 비해 상당히 넓은 편이라는 겁니다. 그래서인지 바퀴 벌레나 모기 이외에도, 100KHz까지 들을 수 있는 쥐나 나방 같은 해충까지 퇴치시킬 수 제품입니다. 여기에 타사 제품 대비 압도적으로 높은 9V의 출력으로 해충들에게는 비행기 폭음 이상의 소음을 듣는 효과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HL302의 경우 특이한 기능이 한 가지 더 있는데요. 강력한 특수 전자기장과 주파수가 다르게 변화를 일으켜서 반경 8~90cm 범위에 자계를 형성하여 해충의 중추 신경계를 혼란시키는 기능도 있습니다. 즉 천장이나 벽안에 숨어 있는 벌레들이 스트레스로 서식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외부로 나오게끔 유도하는 것입니다.


훈증기와 초음파가 합쳐진 하이브리드형 해충 퇴치기 큐백 BLP-200


초음파가 지상의 해충 퇴치에 효과는 있지만, 공중을 날아다니는 해충까지 처리하는 것은 어렵다고 보고 출시가 된 제품입니다. 지상 해충 퇴치만 위한 초음파를 보완하기 위해 공중의 대표 해충인 모기 박멸을 위해 모기 훈증 매트를 접목시킨 제품이 큐백 BLP-200(이후 BLP-200)입니다.



큐백 제품의 경우 일반형(BLP-100)과 고급형(BLP-200) 두 가지 모델이 있는데요. 

고급형의 경우 훈증 매트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형은 해당 기능만 제거한 제품입니다.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폭은 22~65KHz로 앞서 모델에 비하면 대역폭은 좁지만, 훈증 매트를 사용하면서 좀 더 다양한 해충에 직접적으로 퇴치를 할 수 있도록 보완한 제품입니다. 즉 지상의 해충은 초음파, 공중의 해충은 훈증 매트로 해결을 하고자 하는 말 그대로 하이브리드방식입니다. 물론 이 제품 역시 초음파와 함께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품입니다. 



디자인만 보자면 해당 모델의 경우 HL302 모델에 비해 디자인이 다소 투박하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색상이나 디자인에서 그렇게 인상적이 더라는 느낌을 받을 수 없었고요. (물론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입니다.)


조작 방법, 편의성, 주의점 

두 제품 모두 전원 연결 후 동작 버튼만 누르면 되는 방식입니다. 버튼도 1개만 있고, 조작 방법이 그렇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HL302 제품의 경우 전원 소켓에 플러그를 꽂으면 순서대로 LED 불빛이 켜지면서 자체적으로 초음파 검사를 합니다. 자체 검사가 문제없을 경우 그린 LED로 변경되고, 초음파 발생이 활성화됩니다. 즉, 녹색 LED가 점등되면 정상적으로 전원이 켜지고 활성화된 것으로 보면 됩니다. 단,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붉은색의 LED가 동작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BLP-200 제품의 경우 붉은 LED가 점등되면 초음파 기능만 활성화되고, 푸른 LED로 점등시에는 훈증 매트와 초음파 기능이 같이 활성화되는 제품입니다. 아무래도 훈증 매트는 열을 가해야 하는 제품인 만큼 전기 사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HL302

BLP-200



두 제품 모두 플러그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이런 경우 깔끔한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외로 전원 소켓과의 간섭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곤 합니다. 그러한 경우를 대비해서 두 제품 모두 전원 플러그 방향을 자유롭게 회전, 조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 다른 주의점으로는 초음파 퇴치기의 경우 벽면이나 가구 등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방마다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즉 차단 혹은 구분된 공간의 경우 해당 공간마다 설치를 해야 효과적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초음파 퇴치기를 구입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이 한 가지 있습니다. 

초음파 퇴치기의 경우 설치하고 바로 효과를 볼 수 있는 제품이 절대 아닙니다. 이번에 비교 리뷰를 하는 두 회사 모두 최소 4주 이상 사용을 해야 제대로 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제가 테스트하는 지금도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한 포인트이니 참고하시고 진행할 테스트를 봐 주셔야 합니다.)


 출처: 누리베르 홈리드

1주(잠복기): 초음파를 발생하여 해중에게 잠복시켜 줍니다.

2주(진행기): 해충이 초음파를 계속 듣게 되어 짜증나게 됩니다.

3주(실행기): 해충에게 초음파로 내성을 이기지 못하는 한계에 도달합니다.

4주(퇴치기): 고통스러운 소음을 견디지 못해 집 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테스트 환경

저희 집의 경우 낮에 최대한 환기를 시키고 저녁 이후에는 가능하면 모든 창문을 닫은 대신, 공기 청정기를 각 방마다 두고 사용하는 형식의 일반 가정입니다. 그래서인지 2층임에도 불구하고 방에는 벌레가 많지 않은 편입니다. 

다만 아침에 출근하기 전에 욕실에 가면 나방파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아무래도 배수구를 타고 저희 집 욕실로 유입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욕실에 자주 출몰하는 나방파리의 경우 씻을 때나 볼일을 볼 때마다 은근히 신경이 많이 쓰이거든요. 


테스트 환경1) 제방


제품 테스트를 위해 제방 창문을 밤에도 열어 두고 현재 2주째 지속적으로 테스트 중입니다. 그냥 평범한 방이며, 문 2개 중 하나는 열어 두었습니다. 


테스트 환경2) 욕실


욕실의 경우 해충 퇴치기를 연결해 두기만 하고 별다른 것 없이 그대로 사용을 했습니다. 테스트하는 제 방과의 차이점은 아무래도 욕실의 특성상 항상 습기가 많은 곳이라는 점 이외에는 특별할 것은 없어 보입니다.



현재 2주째 테스트 중이며 제방에는 BLP-200을 사용중이며, 욕실에는 HL302를 사용중입니다. 제조사에서 이야기한 4주에 비해서 아직 짧은 기간이지만 현재까지의 테스트 결과라도 보여드려야 할 것 같아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서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제방 테스트 결과:

훈증 매트와 초음파를 동시에 사용했을 때 벌레들이 첫째 날에 비해 둘째 날에 줄어든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다만 이게 훈증 매트의 역할이 커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어서 3일째 되는 날부터는 초음파 모드만을 사용했는데요. 아직까지 제 방에서 벌레가 줄어드는 것은 체감하기 어려웠습니다.


제방 창문을 열어둔 첫날 결과 눈에 보이는 모기만 6~7 마리와 파리 2~3마리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름을 알 수 없는 날아다니는 벌레가 두어 마리 있었고요. 첫날에 비해 둘째 날에는 모기 빈도는 확 줄어든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둘째 날까지는 훈증 매트를 같이 사용했을 때 결과치였기에 초음파 퇴치기로서의 역할이 제대로 되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3일째 되는 날부터는 훈증 매트를 사용하지 않고 초음파 기능만을 활성화하여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해당 기간 이후로는 창문을 열어 놔서 그런지 제 방이 매일 모기 지옥었는데요. 4일째 되는 날부터는 모기 때문에 제가 방에서 잠을 못 자고 거실에서 자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해당 기간부터 2주가 된 현재까지 대략적으로 제 방에서 확인되는 모기는 10마리 전후, 그리고 이름 모를 벌레들이 다양하게 확인이 되더라고요. 제가 현재 하는 테스트 방법이 잘못된 것인지 모르겠지만, 현재로서는 모기의 개수가 줄었다기 보다는 꾸준히 발견된다고 정리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HL302

 BLP200

 혹시나 죽은 벌레인가 했는데 멀쩡히 살아 있었습니다. ㅠㅠ

욕실의 경우 제품 스펙이나 특징상 HL302를 지속적으로 사용해 주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 예상되어 해당 제품을 2주째 장착하여 사용 중입니다. 

다만 욕실에 종종 나타나는 나방파리나 모기의 개수가 줄어든 체감은 아직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해당 테스트를 위해 지금 저희 집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 파리채를 금지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아직까지는 큰 효과는 없어 보입니다.) 


나방파리는 2주가 지난 지금까지 꾸준히 4, 5마리가 발견되고 있으며, 모기의 개수도 3, 4마리씩 지속적으로 발견이 되고 있습니다. 많을 때는 7마리 가깝게 보였는데요.  욕실 벌레들의 경우 결국 참지 못하고 모기를 잡았는데요. 그래도 다음날 모기와 나방파리가 또 발견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소음, 온도, 소비 전력을 비교해보자


수면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초음파 퇴치기들의 소음도는 아주 중요한 체크 포인트입니다. 

다만 두 제품 사람의 귀에 들리는 가청 주파수를 벗어난 초음파를 사용하는 방식의 제품이다 보니 실제 소음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한 제품들이고요. 그래도 혹시 소음 측정기 앱에서 어떻게 측정을 하는지 궁금해서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HL302


▲ BLP200

앱로 테스트 한 결과로도 소음은 측정되지 않았습니다. 제대로 된 측정장비(오실로스코프 같은 류의 장비가 필요해 보입니다.)가 아닌 앱으로는 해당 소음 측정은 불가하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두 번째로 사용 시간에 따른 두 제품의 온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전원 소켓에 고정시키고 장시간 사용을 하는 제품이다 보니 제품 발열에 대한 부분이 상당히 중요한 체크 포인트입니다. 특히 주로 사용하는 여름의 경우 실내 온도가 유난히 높기 때문에 발열량을 체크해 보았습니다.

모델명

전원 연결 직후

1시간 뒤

HL302

29.3

27.8

BLP-200(초음파 모드)

27.2

26.7

BLP-200(초음파+훈증)

27.4

27.0


특이한 것은 두 제품 모두 장시간 사용 시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는데요. 아무래도 시간이 지나면서 제 방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초음파 퇴치기의 온도도 같이 하락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 드리자면 두 제품 모두 발열량에 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될 수준의 제품들입니다. 제품 발열보다는 주변 온도에 따른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보이네요.


마지막으로 소비 전력에 관한 사항입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장시간 사용해야 하는 제품인 만큼 전기 요금에 관한 사항을 체크해 보았습니다. HL302의 경우 일반적인 제품 대비 2배 이상의 초음파 출력 제품이고, BLP-200의 경우 훈증 매트를 사용하는 제품이다 보니 해당 제품들의 소비 전력이 궁금해졌습니다.


모델명

소비 전력

HL302

0.6W

BLP-200(초음파 모드)

1.2W

BLP-200(초음파+훈증)

7.8W


전기 요금 계산기를 통해 하루 8시간 사용시 발생하는 한달 전기료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두 제품 모두 소비 전력이 높은 제품들이 아닌 만큼 제품 사용으로 인하 전기 요금은 크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 수준입니다. 

두 제품 모두 한달 내내 24시간을 사용해도 기본 요금에도 미치치 않는 수준의 전기료 요금의 수준입니다.


결론

이제까지 초음파 해충 퇴치기 2종을 가지고 테스트를 했던 것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현재 2주 정도 사용하면서 솔직히 초음파 퇴치기의 효과에 대한 의문은 아직 있습니다. 아직까지 크게 효과가 있다고 글을 적기에는 크게 체감하기 힘든 결과를 보여주고 있거든요. 물론 지금 이 글을 적는 순간에도 저는 초음파 퇴치기를 사용 중이며, 업체에서 말하는 4주의 시간 동안 계속 사용하여 지켜볼 예정입니다. 


모델명

HL302

BLP-200

디자인

조작 난이도

소음

기능

보류

보류

소비전력

가격

총점

한줄평

광대역 초음파, 깔끔한 디자인 

훈증 매트와 초음파 두 가지 모두 사용 가능


해충 박멸에 효과를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결과가 나와서 제가 테스트를 하는 환경이나 방법이 잘못되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말 그대로 현재 4주까지 지켜보고 테스트를 하는 시간을 가져 보고자 합니다.


* 이 사용 후기는 다나와로부터 원고료를 제공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다나와 리포터
본 글은 다나와 리포터 인증 게시물입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60 TI 고스트 D7 8GB
간단 사용기 삼성 스마트모니터 M5
사용기 GAINWARD RTX 5070 Ti PHOENIX 사용 후기
간단 사용기 GS27QA 기가바이트 QHD 모니터 사용기 (1)
간단 사용기 32gs75q후기 (1)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RTX5070TI 간단 사용기입니다. (1)
사용기 후기남깁니다. (1)
간단 사용기 영웅A/S 상담사 고객 응대 불만 제보합니다
간단 사용기 Gainward rtx 5070 ti 팬텀 d7 16gb (1)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안정적인 쿨링과 뛰어난 가성비 (1)
사용기 아이폰16 프로 화이트 티타늄 (2)
사용기 아이폰16 프로 데저트 티타늄 (2)
사용기 아이폰16 프로 신지모루 프라이버시 강화유리 (2)
사용기 아이폰16프로 신지모루 카메라 메탈링 (2)
사용기 시디즈 T50 (HLDA) (3)
사용기 기아 모닝 신형 휠캡 설치 (3)
사용기 반다이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HG 조립 사용기 (3)
사용기 닥터닷 아누카사과 프리미엄 90정 (6)
간단 사용기 UGREEN USB2.0 Type C 케이블 (3)
사용기 스마텍 보조배터리 STPB-GB1 10000mAh (6)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