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나온 PCIe 4.0 SSD, Seagate FireCuda 530
최근 SSD 시장의 중요한 변화 중의 하나는 기존의 SATA 인터페이스가 점차 PCIe 인터페이스로 대체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SATA 인터페이스의 속도가 한계에 직면하면서 SATA 인터페이스 대비 최소 6배 이상의 속도를 내는 PCIe 인터페이스가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 PCIe 인터페이스도 최근에는 3.0에서 4.0으로 향상되어 이를 지원하는 제품들이 경쟁적으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씨게이트의 파이어쿠다 520은 출시 초기 경쟁사보다 다소 낮은 스펙으로 그리 큰 반응을 얻지 못했지만, 이를 만회하듯 최근에 출시한 후속 제품인 파이어쿠다 530에서는 업계 최고 수준의 스펙으로 상당히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PCIe 4.0 SSD 중 최고의 사양을 지닌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을 통해 기존의 PCIe 3.0 SSD 대비 얼마만큼의 성능 향상을 느낄 수 있는지 지금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는 작년에 출시되었던 파이어쿠다 520의 후속 제품으로 새로운 파이슨 컨트롤러와 함께 속도 및 내구성이 대폭 개선된 점이 특징입니다. 이전 제품이 PCIe 4.0의 대역폭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경쟁사보다 속도가 다소 낮았던 단점을 개선하여 파이어쿠다 530에서는 4TB 기준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7,300MB/6,900MB의 읽기/쓰기 속도를 지원합니다.
제품을 개봉하면 SSD와 다국어를 지원하는 보증서, 레스큐 데이터 복구 플랜 서비스에 관련된 안내문과 스티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레스큐 데이터 복구 플랜 서비스는 제품에 문제가 생겼을 때 3년간 1회에 한해 자료를 복구해주는 서비스로 단순히 제품만 교환해주는 다른 제조사와 달리 씨게이트만의 차별화 된 정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500GB 모델의 경우 읽기/쓰기 속도가 7,000MB/3,000MB로 고용량 모델에 비해 쓰기 속도가 절반 정도라는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파이어쿠다 530의 속도를 제대로 느껴보고 싶다면 1TB 이상의 모델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모리 칩은 한쪽 면에만 부착되어 있으며, 성능이 상당히 향상됐고 고성능을 표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발열 또한 어느정도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그냥 사용하는 것보다 메인보드에 기본으로 포함된 방열판을 사용하던지, 별도의 방열판을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좋습니다.
설치 및 성능 살펴보기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PCIe 4.0을 지원하는 M.2 슬롯이 필요합니다. AMD의 경우 PCIe 4.0은 B550과 X570 칩셋에서만 지원하기 때문에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를 AMD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들 칩셋과 라이젠 3000 이상 프로세서의 조합이어야 합니다.
SSD 관리 프로그램인 SeaTools SSD로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의 각종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당히 세련되고 직관적이면서 알기 쉽게 구성되어 있지만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점은 아쉽습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나 데이터의 삭제, 부팅 가능한 디스크 만들기, SSD의 로그 기록 확인, 랜덤 쓰기 성능 향상을 위해 용량 재할당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지원합니다. WD나 삼성의 관리 프로그램 못지 않게 상당히 신경 쓴 모습입니다.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의 읽기/쓰기 속도는 표기된 스펙보다 좀 더 높게 측정되었는데, 특히 쓰기 속도의 경우 3,000MB/s를 25% 이상 상회하는 3,767MB/s가 나와 상당히 인상적입니다.
AS SSD 벤치에서는 위에서 측정한 크리스탈디스크마크보다 읽기/쓰기 속도가 살짝 낮게 나왔지만 마찬가지로 쓰기 속도는 3,000MB/s보다 훨씬 높은 3,572MB/s가 나와 이쯤되면 쓰기 속도는 3,000MB/s가 아니라 최소 3,500MB/s 이상이 아닌가 하는 합리적인 의심도 듭니다.
총점의 경우 WD Black SN700 500GB는 4,204점,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는 5,964점이 나와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가 40% 정도 앞서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파일 압축 시간 비교
파일 압축 테스트는 1.56GB 용량의 avi 파일을 Winrar를 사용하여 최대 압축율로 압축을 완료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파일 압축 테스트에서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는 54초, WD Black SN700 500GB는 58초가 걸려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가 4초 빠른 결과를 보여 주었습니다. 사용된 CPU는 PBO 기능이 켜진 라이젠 5600X로 4초의 차이로 볼 때 저장장치에 의해서도 꽤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게임 설치 시간 비교
게임 설치 테스트는 Microsoft Windows 10 Pro x64 21H1에 기본 탑재된 가상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7.67GB 용량의 iso 확장자의 크라이시스2 게임 파일을 경로 지정 이후부터 시작하여 드라이브에 설치를 완료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테스트 결과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는 15초만에 파일 복사를 끝내 33초가 걸린 WD Black SN700 500GB보다 18초 빨리 설치를 끝마쳤습니다. 무려 60%의 시간이 단축되어 둘 사이의 성능 차이를 상당히 크게 느낀 테스트였습니다.
코딩 시간 비교
코딩 테스트는 1.43GB 용량의 avi 파일을 팟인코더를 사용하여 471MB 용량으로 코딩을 완료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테스트 결과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는 4분 5초만에 코딩을 끝내 4분 20초가 걸린 WD Black SN700 500GB보다 15초 빨리 끝마쳤습니다. 앞선 압축 테스트와 유사하게 저장장치에 의해서도 어느정도 성능 차이가 난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확실한 성능을 원한다면 Seagate FireCuda 530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M.2 NVMe 500GB는 비록 쓰기 성능이 1TB 이상의 절반 이하인 3,000MB/s에 불과하지만 전세대의 PCIe 3.0 SSD와 비교해서 상당히 괄목할만한 성능이 인상적입니다. WD Black SN700에서 펌웨어 최적화가 이루어진 제품이 현재 가장 인기있는 제품 중의 하나인 WD Black SN750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WD Black SN700 역시 PCIe 3.0 SSD 중에서는 비교적 상위권에 속하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 두 제품은 상당한 체감이 느껴질 정도로 다른 제품이었습니다.
현재 PCIe 3.0 SSD를 사용하고 있다면 압축, 코딩, 프로그램 설치 등 다양한 작업에서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으로 충분히 넘어갈 가치가 있습니다. 특히 빠른 읽기/쓰기 속도로 프로그램의 설치 및 로딩 속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게이밍 컴퓨터를 만들고 싶다면 게이밍 SSD로 파이어쿠다 530은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500GB 모델의 경우 표기된 스펙보다 쓰기 속도가 좀 더 잘나오는 점은 고무적이지만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은 1TB 이상부터 제 성능이 나오기 때문에 구입을 고려한다면 500GB보다는 1TB 이상을 구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