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게이트 SSD 2종 구입해서 시스템 한번 갈아엎어 보았습니다. 게이밍 컴퓨터 조립할 때 많이 사용하는 것이 고성능 ssd입니다. 기본적으로 게임 용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이유라서 그래픽카드 다음으로 이제는 로딩 속도에 초점을 맞추는 것 같습니다. 고성능의 SSD가 PS5까지 들어가는 것을 생각한다면 오늘 소개할 제품이 눈여겨볼만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씨게이트에서 출시한 게이밍 SSD 파이어쿠다 530 SSD와 보조 스토리지로 적합한 바라쿠다 Q5입니다.
바라쿠다 Q5 같은 경우는 보조 스토리지 개념으로 구입한 것이라서 과연 두 제품 간의 성능 차이가 얼마나 있는가 궁금하기도 해서 겸사 겸사 몇 줄 적어 봅니다.
보급형 SSD와 고성능 SSD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유통사는 동일한 곳에서 구입했습니다.
QLC 타입이라서 고성능보다는 메인 SSD를 보조하는 역할로 사용하고자 구입했습니다. 1TB부터가 제대로 된 속도를 보여주기는 하지만, 보조 스토리지이기 때문에 저렴하게 500GB 제품으로 참고로 레스큐데이터복구플랜은 1년 제공입니다.
그에 반해 고성능 제품인 파이어쿠다 530 시리즈 제품은 PCI4.0 지원으로 최대 7000 / 6900MB/s에 이르는 읽기 쓰기를 보여주는 제품입니다.
물론 1TB 이후의 용량부터가 제대로 된 읽기 쓰기를 보여주기는 하지만 쓰기보다는 데이터를 읽어오고 게임을 로딩하거나 프로그램 로딩 시에 시간을 줄여주는데 목적이 있는 만큼 500GB로 거짓말이고 ㅎㅎ
너무 고가라서 ㅠ.ㅠ....하~~~~아 카드값~~~~~~~~ㅠ.ㅠ 바라쿠다 Q5를 보조 스토리지로 구입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ㅜ.ㅜ.......
가지고 있는 스토리지가 적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사진에 없는 SSD도 3개 정도가 더 되지만 용량이 500GB 미만 제품도 많은 데다가 결정적으로 PCI4.0 속도를 사용해 보기 위해서 파이어쿠다 530을 선택한 것이 큰 이유이기도 합니다
고급형 제품은 파이어쿠다 530은 바라쿠다 Q5의 간소한 패키지에 비해서 정전기 방지 포장으로 밀봉 처리되어 있고 게이밍 SSD에 걸맞게 스티커도 함께 제공합니다. PC나 노트북에 부착하면 뭐 나름 괜찮아 보이기도 하겠네요
참고로 파이어 쿠다 530은 레스큐 데이터 복구 플랜 3년을 제공합니다. 저는 NAS 하드디스크 사용할 때 레스큐 데이터 복구 플랜 서비스를 받아본 경험도 있고 해서.... 데이터 복구 비용 몇십만 원 나가는 것보다는 나은 선택이 아닐까 합니다.
Nvme SSD입니다. 전작에 비해서 개선된 속도가 특징이기도 하지만 발열 자체가 높다고 해서 방열판 제품도 별도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알리발 방열판을 주문해서 부착해 주는 것으로 하고...
테스트할 시스템은 라이젠 5950X 시스템과 X570 보드를 이용해서 듀얼로 구성했습니다.
2개의 SSD가 정상적으로 모두 인식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부팅 완료
seatools ssd라는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현재 PC에 설치된 씨게이트 SSD에 대한 관리와 펌웨어 업데이트까지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SSD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테마는 바라쿠다 테마와 파이어쿠다 테마 2가지를 제공합니다.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SSD의 히트씽크 사용 유무에 따른 온도 차이입니다. 부하 최대 온도와 히트씽크 사용 후의 온도 차이가 꽤나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게이밍 SSD의 히트씽크 버전은 일반 버전과 몇만원 가격 차이가 있습니다. 일체감을 원한다면 히트씽크 버전 구입을 추천하고 저처럼 무식한 방열판 달아 보고 싶다면 일반 버전 구입 후에 장착해 보세요 권장합니다.
파이어쿠다 530와 바라쿠다 Q5의 slc 캐싱 용량 차이는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속도 차이도 존재합니다.
----> 파이어쿠다 530 SSD SLC 캐싱 영역: 53GB
----> 바라쿠다 Q5 SSD SLC 캐싱 영역: 126GB
Q5 SLC 캐싱 영역이 더 크기 때문에 쓰기 속도 유지 면에서 장점을 보이지만 이후에는 50MB/s 이하로 쓰기 속도가 하락합니다. 그에 반해 파이어쿠다 530은 캐싱 이후에 1000MB/s 수준의 쓰기 속도를 보여주다가 85% 이후부터는 400-500MB/s의 속도로 마감했습니다.
<파이어쿠다 530 SSD의 경우 운영체제가 설치된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이 되었습니다. >
파이어쿠다 530이나 바라쿠다 Q5 모두 1TB 이후의 용량부터 제대로 된 쓰기 속도를 보여주지만, 500GB 용량만 하더라도 PCI4.0 지원에 따른 성능 상승 폭이 7000/3700까지 읽기/쓰기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바라쿠다 Q5의 경우에 QLC의 특성이 벤치에서도 반영이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보조 스토리지로서 사용하고 캐싱 작업을 위한 보조 스토리지로 활용해야 할듯합니다. 물론 메인으로 사용하다고 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는 수준입니다.
저는 SSD의 성능 판가름으로 쓰기 속도에서 온다고 생각합니다. 용량에 따른 읽기 성능에는 별 차이가 없지만 쓰기 성능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도 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파이어쿠다 같은 경우 내부 복사 성능에서 약 2GB/s 수준의 속도 바라쿠다 Q5의 경우 650MB/s 수준의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읽기 쓰기 성능을 합하게 되면 SSD의 쓰기 최대 대역폭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프리미어에서 파이어 쿠다의 쓰기 성능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미디어 캐시를 바라쿠다 Q5로 지정했습니다. 오직 프로그램 로딩과 플러그인 로딩 그리고 일부 영상 소스와 보조 소스를 분산하고 저장하고 미디어 캐시를 바라쿠다 Q5로 몰아서 임시 데이터 관리를 하기로 했습니다.
미디어 캐시로 인해 용량이 차오르면서 오는 메인 SSD의 용량 부담을 줄이기 위한 목적입니다.
정상적으로 바라쿠다 Q5의 임시 저장 파일을 만들기 위한 공간이 되었습니다.
포토샵의 경우에는 스크래치 디스크의 우선순위를 바라쿠다 Q5로 돌려주게 되면서 쓰기 부담을 줄였습니다.
파이어쿠다 530 게이밍 SSD와 보급형 SSD 바라쿠다 Q5 SSD를 간단히 비교하고 활용해 보았습니다.
파이어쿠다 530의 경우에는 게이밍 SSD라고 불릴 만큼 프로그램 로딩 속도 측면과 쓰기 측면에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백 기가의 대용량 게임을 로딩하고 쓰는 데 있어서 빠르게 반응해야 하는데 파이어쿠다 530은 그에 걸맞은 성능을 보여 주는듯합니다. 플스 5에서도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수요도 분명하죠!!
저 같은 영상 처리라든지 디자인 업무 프로그램 로딩에 있어서도 성능에 준하는 만족감을 보여준데다가 5년의 보증과 씨게이트만의 장점인 데이터 레스큐 플랜 3년을 제공합니다.
------------------------------------------------------------------------------------------------------------------------------
그에 반해 보급형 라인업인 바라쿠다 Q5의 경우에는 QLC 제품인 만큼 파이어쿠다와의 성능 차별점을 두었습니다만 보조 스토리지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는 큰 불만은 없었습니다.
전반적인 속도가 느린 대신에 SLC 캐싱의 용량을 500GB 기준으로 1/4수준이 약 130GB까지 설정을 하면서 실 체감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없애 놓았습니다. 그리고 데이터레스큐플랜은 1년을 제공합니다.
결론 옥션 스마일데이/11절과 맞물려서 저렴하게 구입했습니다. ㅎㅎ~~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