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Oy - DDR4 - 4000 CL14 BLADE RGB AL 패키지 8GB X 2 입니다.
현재 다나와 최저가 : 36만9천원
삼성 : B-DIE 메모리
LAYER : 8층 PCB / WHITE 색상 PCB
방열판 : ALUMINIUM
MAINBOARD SYNC 지원
램타이밍 : CL14 15 15 15 35
전압 : 1.55V
수입유통회사 : 조텍코리아
워런티 기한 : 제품단종될때까지
https://blog.naver.com/rpm8300/222643994141
|
박스안에는 원래 조텍 코리아 정품 스티커가 2개가 있어야 하는데 출고당시 누락되었는지
들어있지를 않습니다.
구입회사 피씨 블로그에 이야기하고 조텍코리아에서 받기로 하였습니다. 우편으로
위에 제품이 CL14 3200 메모리입니다 1.35V
현재 Z390 PHATNTOM ITX 보드에서 CL17 17 17 34 320T 1.480V 로 사용중입니다.
정품 스티커 보이시죠?
미세미세하게 방열판과 아주 살짝 넣으실때에 부딪힐수가 있습니다.
다만 슬롯 DIMM 1,2 에 꼽고나면 실제로는 붙어있지는 않습니다.
저의 보드는 1,2 두개슬롯밖에없어서 거진뭐 붙어있다고보시면되겟습니다.
컴퓨터 전원을 켜고 바이오스 들어가서 DRAM 정보를 읽어옵니다 XMP를 하기위한 정보
사진과같이 4000클럭 1.55V 에 기본 XMMP적용 램타이밍이 보입니다.
여기서 세부적으로 14 15 15 35 350 TFAW 16으로 낮추어도 부팅은 됩니다.
레이터넌시는 미세하게 줄어들음
좌측이 CPU & RAM 순정상태일때의 AIDA64 값입니다.
우측이 CPU 논오버 RAM XMP 적용값입니다.
레이터넌시가 61.7 > 39.7로 엄청난 향상이 있습니다.
기존의 CL17값을 그대로 불러와서
CL 16 스트레이트 값으로 주고 1,2,3차 세부램타이밍 그대로 유지하대
TRFC 값을 320에서 280으로 낮추어봤습니다.
인가전압은 기존 CL14 3200램과 동일한 클럭대라서 이미 안정화를 보았던 1.480V 그대로 적용했습니다.
해당 램타이밍 값은 이후에 전압다이어트 1.470V 로 TM5 추가 6회정도 테스트하다가 종료시켰습니다.
레이터넌시는 34.2까지 측정해보았습니다.
RTL ( CHA ) RTL (CHB) 62 63으로 1수치의 편차가 발생됩니다.
다행히 전압을 조정하여 IOL ( CHA ), IOL (CHB ) 램수율은 양호하다고 표기하는 동일값 7,7로 유지해주었네요
AUTO값으로 설정한 값인데 부팅후에 적용되어진 값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이값이 동일하지 않게 차이가 발생되면 램오버 클럭 수치를 100단위씩 빼주셔야합니다. 그만큼 램수율지 좋지못하는
건강 헬스 검진결과라고 보시면되겠습니다.
돌리기전에 전압은 1.480V 에서 1.500V로 0.02V를 더주었습니다.
안정적으로 잔차없이 GFLOPS 값 기존 424 > 428, 10회테스트 23분 17초에서 23분 13초로 4초가 단축되었습니다.
기존데이타를 근거로 항상 비교 분석하기때문에 차이점을 정확히 구분해보았습니다.
CPU온도는 최대 95도, 전원부는 48도, DRAM 온도는 38도였던것으로 기억됩니다.
모를까 해서 tm5 10주기 테스트
마지막 그럼 재미난 테스트도 한번 해보겠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I7 8086K@52배수/47 1.400V 통구리 뚜따- MADE BY 오버홀릭
ASROCK Z390 PHANTOM ITX / 겔리드 써멀패드 3mm 전원부, 칩셋, ssd에 붙였습니다.
별도의 전원부 쿨러로는 40mm 녹투아 팬을 달아주었고
램스파클링에는 ALSEYE 쿨러킷트에 녹투아 60mm팬 2개로 교체하여 pwm 적용하였습니다.
금일 마지막 테스트로 기존 cl14 3200 메모리로 교체해보고 bios값 그대로 적용해서
이값이 적용되는지도 한번 체크해보려고합니다.
본램으로 교체하게되어 얻게된 이득은
레이터넌시 기존 34.9 > 33.9 요거하나네요 ^^
37만원 = cl17 > cl16변경값, 레이터넌시 1ns 단축됨
궁굼하신점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성심성의껏 알고있는 지식선에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영재컴퓨터에서 본 램을 소개한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본영상 7분50초에 CL14 4000 XMP VS CL17 4800 클럭 배틀그라운드 프레임 차이를 보시면
4~10프레임정도 성능차이밖에 안나네요
추가 업데이트 사항 2022-02-11일
위테스트값에 타이밍값중 trfc값이 280,300셋팅값에서
tm5 10주기 링스10주기상 아무문제가 없었는데요
어제 배틀그라운드 게임에서 두세번정도 팅김이 아닌 그냥 컴퓨터 강제종료
리부팅이 되는 실사용이 불가한 셋팅임을 파악하고
야간에 tm5보다 정확한 메모리 테스트가 가능한 HCI라는것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했습니다. 1.07이 최신버젼인데
자료실에서 모르고 1.03 구형버젼을 다운로드 실행했습니다.
위와 같이 테스트 하는건데요
위와같이 5분도 못되어서 1개의 오류가 발생되어서 문제점을 파악하였습니다.
이후에 TRFC값 300 > 350 에놓고 전압을 1.55V 로 많이 올려주었습니다.
내용중에 1주기 ( 100% ) 기본 4회 (400%)를 실행하고
완벽히 안전화 테스트를 거치려면 10회 (1000%)를 실행하라고 가운데 사진 하단에 써있습니다.
그리고 메모리테스트 량을 95%에 인접하게 설정값을 정해줘야하는데
1.03 구형버젼이라서 12개 테스트당 1106 씩 잡고 넣었는데 2개인가가 실행이 안되서
메모리할당량이 84.8%만 테스트하였습니다.
이부분은 1.06이후부터 수정이된거 같아요
어제 일단 새벽에 컴 켜놓고 2시반쯤에 자고 일어나니 1500% 동안 에러없이 통과하였습니다.
기능도 좋고 신버젼 1.07은 실행전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종료후 실행기능
원하는시간대로 스크린샷 자동촬영등 여러가지 기능이 추가되었네요
아침에 출근전에 TFRC값 350 > 320으로 낮춰보고 전압값도 1.55 > 1.52로 낮춰서
실행하고 출근했는데 곧 1000% 통과하면 집사람에게 컴퓨터 종료시켜달라고 해야겠어요
위해당값으로 와이프한테 스샷찍어달라고 했더니 500%까지만 테스트가 되었고요
집에와서 제가 다시 hci프로그램 1.07 간편 테스트버젼으로 측정해보니
정상테스트 되었습니다. 1.520v
이후에 1.500v도 통과 하였고요
3dmark테스트도 cpu 8086k@51배수는 5600x p.bo 값보다 높게 나온거 같고요
그래픽코어점수셋팅도 잘나왔습니다.
최종적으로 배틀그라운드를 실행하면서 실사용 값은 위와 동일하고요
최종 전압은 1.500v 이고 1.520v도 정상 잘 작동됩니다.
사실 위값으로 배틀그라운드를 처음 실행하다가 시스템 강제 종료가 되었었는데
램오버값 안정화값 확보에도 실사용이 안되는지 알았는데
이게 논오버값으로 게임을 해도 시스템 다운현상이 발생되더라고요
3dmark도 잘되고 linx도 잘되고 hci memtest tm5도 잘되는데 왜 유독
배틀그라운드만 하다가 시스템 강제종료가 될까 해서
스팀에 콜오브듀티를 실행해보니 게임중에 동일하게 시스템 다운현상이 되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윈도우도 재설치, 그래픽드라이버 471.96 471.11 511 드라이버도 여러가지
바꿔가면서 테스트했었는데
그 문제는 바로..........
요녀석이였습니다.
제가 보드를 rgb가 안꺼지는 현상과 후면 c-type 단자가 고장난것을
asrock 애즈윈에서 보드 리퍼받고나서
재조립과정에서 그래픽카드를 잘 끼웠는데......이게 파워랑 직결하는 케이블이 아니라
보드의 전원선 8핀을 연장해서 끼우는 선인데 그래픽카드쪽과 연결하는부분은
100% 정확하게 두번 탈부착 테스트함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상이없었다고 판단했는데
내부쪽 파워와 연결되는 케이스 밑에 구겨넣을당시에 문제가 있었나봅니다.
케이블을 제거하고 정확히 연결하니 게임에서 시스템종료가 되지 않는것을 확인
이후에 게임에서 문제가없음을 확인하고
다시 바이오스 들어가서 오버값으로 게임에 들어가니 문제가 전혀없는것으로 해결되었습니다.
아 정말 일주일동안 고생좀 했네요
이상 oloy cl14 4000메모리 오버클럭테스트를 종료해봅니다
z390 apex 보드 9900k ~ z490 apex 10900k에서는 본램이 4800 cl17까지 오버되는것을 확인하였으며, z690 msi 토마호크에서 1:1 기어로 4000 스트레이트가 된다는 후기도 보았습니다.
참고해서 구입해보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