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FRACTAL DESIGN 7XL DARK 강화유리 케이스 장착후기

IP
2022.03.26. 15:34:35
조회 수
2921
13
댓글 수
38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https://blog.naver.com/rpm8300/222683511059 


먼저 상단의 링크를 참조해주십시요









사진이 70장이 넘고 이곳과 블로그에 기록목적으로 작성을하다보니


약2시간동안 블로그 포스팅을 하여 복사를 해온것인데


이미지링크가 연동이 안되어 이미지가 안보이네요

문문빠른시일내에 사진을 맞추어 수정을 하도록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이거작성하는데  2시간 걸렸어요 ㅠㅠ





장문의 글이라서 개인블로그 글을 참고바랍니다.


사진업로딩시 사진이 깨지거나, 너무 장문의 글이라서 재포스팅할 자신이없네요




다나와에서 FRACTAL DESIGN 케이스중에서 제일 가격이 비싼녀석으로 검색하면


두가지모델이 나오는데  위모델이 가장 싸이즈가 가장 커서 구입하게되었습니다.


메쉬파이 모델과 비교하다가 전면이 매끈하게 메탈소재로 되어있는 이녀석을 구입했습니다.



다나와 최저가격 34만6천원 ㄷㄷㄷ


여기에 추가적인 옵션 팬과 수직 라이져킷까지 포함하면 50만원은 훌쩍 뛰어넘을꺼 같습니다.







먼저 이 포스팅은 일기장형식과 저의 저장일기 공간으로 포스팅을 하기위한

내돈주고 내가산 사용후기 이며, 약 10일간의 장기간 셋팅을 하면서 그동안 겪어온  불편함과

사용상 주의해야할점 그리고 개선되었으면 좋겠다는 내용도 포함이 되어있는  개인적인 의견이 많이 반영된

후기오니,  실무적으로 아주 필요한 정보가 아닌 광고용의 목적이 아님을 밝혀둡니다.


FRACTAL DESIGN 관계자님은 다음 차기 모델을 개발 제작할때에 이부분을 반영해주시면 아주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박스만으로 봐선 크기를 가늠할수 없겟죠  하지만, 이녀석의 크기는 아래 사진으로 내려가면 내려갈수록

그 크기를 인지하실수가 있습니다.





박스 상단을 개봉하니  위와같이 잘 포장담겨져있습니다.







악세사리 파츠 박스와 함께 본체를 꺼내봅니다.






우측이 사용하고있었던 다크플래쉬   DXL21 국민 케이스와 비교해봅니다.








바닥에내려서 한번 그 크기를 비교해봅니다.








어느정도 크기가 비교되십니까?

604 X 240 X 566 , 무게 16.53KG입니다.
거대한 녀석이죠





악세사리 파츠입니다.

볼트킷과  상단 통풍형 케이스 입니다.

그외에는 쓸게 그닥없습니다.





외관 디자인입니다.

전면 도어를 우측으로 살짝 잡아당기시면 열리고요,  닫아놓고 사용해도
측면으로 공기가 잘 들어옵니다. 소음관련 민감하신분들은 닫고 사용하세요

저는 순정 GP-14B팬을 사용하지 않아서 닫고 사용합니다.






다크 강화유리색상입니다.

추후 사용하다보니 클리어 모델도 있더라고요, 별도로 판매중입니다.

참고로 모니터 옆에 세워서 사용하다보니  모니터화면이 강화유리에 비춰서

듀얼모니터가 되서 조금은 불편합니다.

측면 개방은 원터치로 후면쪽상단의 버튼을 잡아당기면 쉽게 개방이되며

탈거또한 매우 간편합니다. 유리무게가 상당하니 조심하십시요




하단부는 총 4개의 고무쿠션 발이 부착되어져있습니다.




기본 상단케이스는 막혀있으며, 측면역시 모두다 막혀있습니다.


내부안쪽에는 방음 패드가 두껍게 부착되어있습니다.




후면에는 기본 FRACTAL DESIGN GP14B( 3핀 1000RPM 제품이 장착되어져있습니다. )
GP14라고 표기를 하엿으나 GP14는 4PIN PWM 을 제공하지만, 이제품은 그냥 3핀제품입니다.

실제로 풍량 풍압에 매우 취약하나, 저소음  db을 자랑합니다.

있으나 없으나 하는 존재감이 없는 쿨링 팬이라고 생각되어 모두 탈거한 상태입니다.

바로 박스안으로 담겨져서 지금은 사용하고있지 않고 저자리에 

써멀테이크 터프팬 140의 강력한 팬을 장착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맘에 드는거 일반적으로 팬을 구입하거나, 케이스에 장착된 팬들의 볼트형식입니다.
좌측이 일반 케이스 볼트 또는 팬에 동봉된 볼트입니다.

우측은 프렉탈 케이스에 포함되어있는 볼트인데요 저는 이볼트가  조금한 부분이지만 맘에듭니다.

머리부분이 보시다싶이 넓어서 팬조립시에 여러번 탈부착을 하게되면 가이드부분이 찢어지거나

너무쌔게조이면 볼트가 가이드 안쪽으로 들어가버리곤 합니다.

보다 세심하게 팬들을 고정해줄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상단 뚜껑은 밀폐형이여서  수냉 라지에이터를 장착하기에

 바로 탈거후 박스로 이동하였습니다 쓸일이 없으니깐요....

잘보관해놓아야죠







상단의 먼지필터는 뒤로 살짝 밀어주시면되고  상단케이스는 살짝만 잡아당겨주시면 쉽게 분리가됩니다.





전면 상단에는 3.5mm 마이크,헤드폰단자 usb3.0 3.1 type c를 지원합니다.

버튼이 저쪽에 있어서 가끔 가운데 전원버튼을 눌러 전원이 꺼지는 해프닝이 조금은 발생됩니다.







하단에 최대 480mm 까지 라지에이터를 장착이 가능합니다.

이케이스의 특징은 전면, 상단에  둘중 한곳에  480mm 한개를 장착할 공간이 나옵니다.

어느 한쪽이든 480mm를 장착하면 나머지 한쪽은 420까지만 장착이 가능해집니다.

저는 상다네 아틱 420mm 를 장착할 예정이며, 두께를 측정해보니 메인보드 램까지와의 간섭은 없으며

추후 약 50mm 두께의 라지에이터와 + 30t 두께의 팬까지 장착해도 램슬롯에 간섭이 없는것을

측정하여, 추후 램스파쿨링 제품과 간섭이 없게끔 생각하고 구입하엿습니다.




양쪽 측면 케이스와 유리는 뒤쪽상단에 위치한 버튼을 잡아당기면쉽게 분리가되며

도어와 유리는 투터치 체결로 잠금이 됩니다. 살짝 문에 닫혀지고 그뒤에 한번더 푸쉬를 해주시면 체결되어 닫히는 형식입니다.







이날을 위해서  유투브 플레이신 님 영상에 자주 등장하는

전동 드라이버도 하나 구입했습니다.

비록 첫날 공구 사용이후에 잘 작동되던 이녀석은 하루뒤에 사망하여

업체로 a/s로 보내져서 다시 신품으로 교체받았습니다.




제가 가장 싫어하는 5핀 마이크로 단자로 충전이됩니다.




충전후에  조립하는데 유용하게 쓰였습니다.  어두운곳에서는

전면, 후면 작동시 자동으로 불이 늘 켜지니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고요
별도로 속도 조절이나, 토크조절은 안되는데

아주 느리게 딱 케이스 조립하기에 안성맞춤입니다.


해당제품은 1일 사용후에 다음날 운명하셔서 A/S업체로 보내져서 다시 신품을 3일뒤에 받았습니다.

순수 국산제작 제품입니다.

별도로 앞 드라이버5개 셋트도 보너스로 받고 25,000원에 잘쓰고있습니다.






이제품의  케이스내 라지에이터와 팬의 장착 할수 있는 제원입니다.

이중  좌측 상단위를 잘보셔야합니다.

480을 장착시에는 전면에 쿨러를 한정적으로 수정해서 장착해야하며

첫번째 사진과 가운데 사진을 보시면  가운데 판넬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라서

가운데 판넬 받침대를 사용하시려면 전면에 140mm x 3개도 장착이 안되어서 가공을 해줘야 겨우겨우 

전면에 140mm x 3개를 장착할수가 있습니다.

이부분은 하단에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아틱 420 라지에이터를 사용하게 될것이고  전면또는 측면에  그래픽카드 수냉라지에이터 240mm를

장착하려고합니다.





요렇게 ^^




일체형 짭수 ARCTIC FREEZER II 420입니다 

일체형 짭수중에 현재는 1위자리를 내주었지만, X73보다 성능이 우수하다고 구입했는데...

실제론 성능이 리안리 갤러헤드 360보다 온도가 6~8도 정도 높게 나옵니다.







상단레 장착하고도 좌우로 여유공간이 많이 남습니다.

추후에 이제품은 상단에 터프팬 140MM X 3개를 장착하였습니다.

순정 P14 팬은 모두 전면쪽으로 옮겼습니다.




상단에 라지에이터를 달고나서 추후에  라지에이터를 최대한 뒤로 옮겼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cpu쿨러로부터 >  선이 짧아서 가질 않더라고요 ㅋㅋㅋㅋ






파워도 하나 여분으로 추후 다음세대 cpu와 메인보드로 가기위해서 넉넉하게

시소닉 프라임 GX-1300제품을 장착해줍니다.

가격이 딱 케이스 가격인 34만원이였습니다.

아마도 제생애 가장 비산 케이스와, 가장비싼 파워를 써보는거 같습니다.

현재 쓰고있는 시스템이 9900K + Z390 = 45만원밖에 안하는 사양이라고 

볼때에 참  사치스러운 제품이죠




이녀석은 보증기한 무상교환으로 12년제품이며  11년 쓰다가 고장나면 새것으로 동급제품으로 

교환을 받을수 있습니다. 수리가 아닌 무상 교환

제나이... 그러니깐  환갑이 될 60세까지 보증이 된다는 말이죠




기존GM850W 제품과 달리 이녀석은 보들보들한 천가방으로 감싸줘있습니다.

그거이외에 나머지는 다 비슷비슷함....

15만 > 20만원이 더비싼 제품이니... 이녀석이 20만원짜리 보들보들 천인가봅니다.





파워를 장착해봅니다.




파워는 쉽게 뒷후면 파워케이스 두개의 나사를 풀어서  파워에 연결후  볼트 4개를 끼워주고

다시 케이스내로 집어넣어주어 두개의 볼트를 손나사로 돌려주면 아주 쉽게 장착이 가능합니다.

케이스가 큼지큼지막해서 장착이 아주 용이합니다.





빅타워에 장착할 저의 ASROCK Z390 PHANTOM ITX 메인보드입니다.

규격이 ITX라서 아주아주 귀엽네요














상단의 쿨러를 모두 장착하였으니 이젠  같은제조회사 B-20 수직라이더킷을 구입한것을 장착해봅니다.


(메인보드 체결과정은 추후 ARCTIC FREEZER II 420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사진이 너무 많아서...)






위 제품을 사용한 이유는 간단 명료합니다.

측면 또는 전면에 수냉그래픽 카드를 보드에 직결하면 호스가 짧을것을 생각하여  구입하였습니다.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니 호스 440MM가 짧아서 연결이 안됩니다............

참 계획을 잘 짠거 같아요






요렇게 체결이 완료되었습니다.












후면에 있던 순정 리어팬 GP14B를  (  GP14는 PWM4핀임 ) 
그리고 팬속도 다름 여기에 장착된 팬은 GP14가 아니라 GP-14B단종제품이고
전면에 스티커도 안붙어있음 

최대 1000RPM 제품인데 보드와 직결시 SATA와 직결시 최대 1000RPM가동되며

본체케이스내 허브 3핀 또는 4핀에 연결시 400RPM 대로 낮게 설정됨  허브가 이상해서 추후에 A/S보냈습니다.

내용은 아래에 다시 다루겠습니다.




위에 게시글에 언급한 케이스 내용 2부입니다.

이렇게 상판 받침대가 끼워진상태에서는 140MM X 3개가 장착이 안되고

턱에 걸립니다. 걸리는 깊이는 약 15mm 정도입니다. 아마 기존에 쓰시던분들은

이부분 이해하실꺼에요  최대로 팬을 위에 올리더라도  가이드라인 한계로 팬이 체결이 안됩니다.







그래서 저는  전면에 있는 이 가이드부분을 위로 좀더 가공을 해보고자 합니다.







약 15mm를 가공하였습니다.  이후 체결을 해보니 그래도 약 2mm가 부족해서

어거지로 볼트를 조금 기울여서 체결하였습니다.
















다음은  측면 막혀있던 판넬을  240라지에이터를 장착하기위한 가공을 해봅니다.





밀링기에 바이스에 물리지 않아서  수동으로 핸드그라인더로  

레이져측정눈으로  대충 잘라봅니다.




그래도 허용오차 0.002이내 들어온듯 합니다  넝담이고요...







전면 케이스 상단 판넬과, 측면판넬의 가공된 모습입니다.





다칠수가 있어서 다이아몬드 절상 공구로  면취를 해주었습니다. 모따기 C1 아니겠습니까

우리공학도 기계공돌이 들은 누구나 쉽게 가공이 가능합니다.





요렇게 해서  측면에 라지에이터를 장착해봅니다.   전면에는 정상적으로

140MM 터프팬이 장착된것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추후에 위와 같이 수냉 그래픽카드 라지에이터 상단이 위로 가면 안된다고하여

아래와 같이 내려서 수정하였습니다.






이유인즉  위로 올릴경우 상단 입출수구관 탱크위에 


공기가 차는 현상이 발생되




버블소리가 나고 펌프가 쉽게 사망한다고합니다.

유투브 사진 참고바랍니다.

혹시 이의를 제기하실분 계시면 말씀해주세요

제가 준비해놓은 수많은 자료와 벤치 테스트자료를 준비해놔서

반문할  사항1, 사항2, 사항3까지 모두 준비해놓았습니다. ^^









자이제 어느정도 90%까지 조립이 완료되었고, 선정리또한 대충대충 정리해서 완성되었습니다.


자아~ 이렇게 놓고 이제 측면 케이스를 닫고 게임이든, 벤치마크테스트를 좀 테스트해보앗습니다.

테스트 기간은 약 6일정도이고 1일 6시간으로 간략하게 새벽에 해보았습니다.


1. ARCTIC 420 VS 리안리 갤러해드 AIO 360 테스트
2. 곰써멀 익스트림 써멀 VS 킹핀 테스트
3. 실내부 온도 테스트
4. 라지에이터 실외 장착시 내부온도변화, 3DMARK TIME SPY  그래픽카드 오버클럭킹 효율
점수테스트 
5. 씨네마벤치 R23 테스트
6. 링스 0911 , 0912 테스트

간략하게 위의 테스트를 사항1,사항2, 사항3 에 대하여 테스트하였습니다.

추후에 올릴 데이타에 대하여 반문한 사항1,2,3까지 의견을 수렴하기위한 데이타를 모두 작성해보았습니다.

천천히 저의 실사용기를 올려볼까합니다.













판넬이  아쉽다.....아쉬워

통풍 구멍만 좀 뚫려있었으면 좋았을텐데....




그래서 약 9.7KM 떨어진곳에 방문하여 사장님께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결론은  케이스 테두리 외부가 굴곡져있어서 타공이 불가하다고 하시네요





그래서  회사근처 지인분 회사에 방문하여

직접 가공하려고 합니다.

먼저 케이스 외부에 타공할 위치를 선정합니다.






400개정도의 펀치 위치를 선정하고

가볍게 1시간동안 펀치를 해주었습니다. 아주 가볍게 말이죠...




자이제 가벼운 마음으로 긍정적으로  400개의 홀을 가공합니다.


참고로 이홀의 크기는 팬 테두리 볼트를 채울수 있는 규격으로 약 5.2파이정도로 뚫어주었습니다.

추후에 이곳에 팬을 장착하여 샌드위치 적용도 가능하게 하기위해서 ^^







아직 한홀 남았다~~~~~~~  들이대라 들이대~~~





X빠지게  두시간조금 넘어서  악착같이 뚫어줬더니 작업이 아주 쉽게?  끝났습니다.

돈 10만원주고 그냥 쉽게 누가대신좀 뚫어줬으면 좋겟네요

퀄리티 살려주실분 계시면 10만원 드릴테니  하나더 뚫어주시겠습니까?

rpm8300@naver.com 또는 쪽지, 댓글 남겨주세요

저 케이스  하나더 여분으로 33,000원에   서린씨엔아이에서 구입해놓아서 여분있습니다.









내부에는 어제작업하기전 미리 주문해놓은  다크플래쉬 상단 먼지 필터가 도착해서

딱 알맞게  부착해주었습니다.


참고로  저안쪽에 순정 방음패드 겁나 두꺼운거  쉽게 탈착했습니다......30분동안 아주 쉽게 말이죠




캬아 멋지게 기스가 있는상태에서  장착해보니  따뜻한 바람이 솔솔 불어나옵니다.



drill burr 로 인하여 면취상태가 깨끗하지 않아서 손바닥으로 만져보면 거칠거칠해서

다시 2차 가공을 해봅니다.





내부 안쪽에는 다크플래쉬 상단 먼지필터로 붙여주었습니다.






어떤가요 이제야 비로소 깨끗하게 가공되어지고

도장까지 다시 깨끗하게 해놓으니 만족하네요


마지막으로 포스팅 자료가 한개 더 있어서 올려봅니다.

케이스내부에 장착된  3핀 6개, 4핀pwm 3개가 있습니다.

이제품 허브 불량 같습니다.

초기 작동이 이상하게 되어 서린씨엔아이에 카카오톡 상담후에

제가 잘못알았나 해서  다시 집에가서 테스트를 2회차 해보았습니다.


1. sata 케이블로 한개만 연결시  모든 팬들은 풀로 가동한다 >>>  440~550rpm대로 느리게 작동함

2. pwm으로 장착시 4핀포트 3개만 작동한다 >>> 작동하지않음 녹투아 5000rpm 40mm팬이 동작하지않고 조절시에 5000까지
올라가지않고  앞전면 팬과 후면팬을 각각 4핀에 연결시에 동작알피엠이 감지가 안되는데
순서를 정해서 꼽으면 동작이 됩니다. 이대에 알피엠은 440~550미만으로 작동하며 pwm팬콘트롤을 통하여
조절시에 약 1000rpm까지만 작동이됩니다. 번들팬이 1000RPM까지만 작동하고, 바람쐬기는 약하고
소음은 거진 없습니다, 케이스용으로 사용하되 매우 소음에 민감하신부분들만 쓰시고

강력한 쿨링을 원하시는분은 과감하게 쓰레기통으로 버리십시요~
바람이 부는건지 도통 쓸모가 없어보입니다.


3. 기타 다른 터프팬 140 후면팬 장착시 역시 2000rpm까지올라가질 않음 핀중에 어느 특정부분에 연결시에만

동작을 하게됩니다. 현재는 전면에 아틱 P14 3개를 연결, 리어 터프팬140 1개, 전면 램스파쿨용을 PWM 샤시팬 1A (12W)로
연결해서 허브를 사용하고있습니다.

다시말하면 전면은 약 500RPM미만으로 동작하고 PWM조절시에 후면팬 터프팬과 램스파쿨용 터프팬은 최대 1700대까지 동작을 함

전면에 있는 아틱제품은 조절이안되는 버그가 있습니다.



불량이라 판단하여 다음날 택배보낼준비로 서린씨엔아이측과 카카오톡 상담함,  그냥 버려주시고 새것 보내주시겠다고

받은 제품이 아래제품입니다.









장착후 테스트 이거 원래 이런듯합니다. 기존과 동일합니다.

gp14 팬이 별도의 아래제품으로 연결시에 1000rpm까지 나오는데

gp14b이제품 위에 허브에 연결하면 1000rpm까지조절이 안됩니다. 400~450rpm으로 가동합니다.






그래서 전날 의심했었던 허브불량을 대체할 녀석을 주문했더니  이날 딱맞춰서 도착해주었습니다.

집에가서 새로받은 허브 불량이라 또는 결함?  기타 이유로  아무튼 장착후에 정상 동작하지않아서

사제 팬허브기를 sata에 연결하여 후면 케이스에 장착해주었습니다.

녹투아 전원팬은 5000rpm짜리이니  팬허브 조절기로 약 4800rpm 에 고정해주었습니다.





램스팟 터프팬 140mm역시  고정으로 게임시에 안정적인 램스팟쿨링 효과로 맞추어서
(풀가동시 소리가 너무큼)  작동하게끔 조절해주었습니다.





이제품의 가장 큰 단점 한곳 이야기 드립니다.

전면하단에 위치한 먼지필터가 있어요~~~

케이스 앞뒤 손넣고 잡을때에  이 먼지필터가 손에 잡혀서 

 먼지필터가 빠져버립니다.





케이스 떨어트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가장 큰 불만임.....이제 책상위에 올려놓았으니 

들을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좀 생각좀 하고 만듭시다~~~










ps: 전문 리뷰어들이 돈받고 리뷰하는 모든글을 믿지맙시다  도움은 되지만
과장된 내용과 단점들이 기재되지 않는 글을 보면 속상합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삼성 스마트모니터 M5
사용기 GAINWARD RTX 5070 Ti PHOENIX 사용 후기
간단 사용기 GS27QA 기가바이트 QHD 모니터 사용기 (1)
간단 사용기 32gs75q후기 (1)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RTX5070TI 간단 사용기입니다. (1)
사용기 후기남깁니다. (1)
간단 사용기 영웅A/S 상담사 고객 응대 불만 제보합니다
간단 사용기 Gainward rtx 5070 ti 팬텀 d7 16gb (1)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안정적인 쿨링과 뛰어난 가성비 (1)
사용기 아이폰16 프로 화이트 티타늄 (2)
사용기 아이폰16 프로 데저트 티타늄 (2)
사용기 아이폰16 프로 신지모루 프라이버시 강화유리 (2)
사용기 아이폰16프로 신지모루 카메라 메탈링 (2)
사용기 시디즈 T50 (HLDA) (3)
사용기 기아 모닝 신형 휠캡 설치 (3)
사용기 반다이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HG 조립 사용기 (3)
사용기 닥터닷 아누카사과 프리미엄 90정 (6)
간단 사용기 UGREEN USB2.0 Type C 케이블 (3)
사용기 스마텍 보조배터리 STPB-GB1 10000mAh (6)
사용기 TOYE TY2213-1C1A 65W 고속충전기 (4)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