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PALIT 지포스 RTX 3080 GAMINGPRO D6X 12GB LHR

IP
2022.04.25. 15:35:37
조회 수
5365
5
댓글 수
6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시작에 앞서


2022년 3월쯤부터 그래픽 카드의 가격이 내려가면서 4월 들어 관망하다가 마침내 구매결정했습니다. 기존 제품은 3년된 inno3d gtx1060 6gb 제품으로 주기적 청소로 관리해주고 게임을 거의 안해서인지 사실 여전히 잘 작동하는 제품이나 Real-Time Ray Tracing 과 같은 기술도 사용해보고 취미로 해본 블렌더 렌더링 시간도 좀 더 빨리 단축해보고픈 욕심이 RTX 40 시리즈에 대한 기다림보다 더 컸네요. 이 비싼 카드로 게임말고 다른 것을 좀 해보고 싶다? 그럼 무료 프로그램 블렌더 슬그머니 추천해봅니다. 아뭏튼 이로써 RTX40 시리즈는 건너뜁니다.


PALIT 지포스 RTX 3080 GAMINGPRO 모델 제품들은 우리나라의 세 회사에서 다른 이름으로 파는 것을 알았고, 그중 오리지널 제조사 제품을 구입했습니다. 아마도 techpowerup 의 벤치마크에서 본 제품이라 일종의 광고 효과로 인해 더 끌렸던 것 같습니다. 저 곳에 정확히 이 제품의 리뷰는 없지만, 21년 6월쯤 작성된 Palit GeForce RTX 3080 Ti GamingPro 리뷰는 같은 12gb 이기도 해서 핵심 구성 요소 몇몇 빼고는 거의 비슷할거라 봤습니다.


제품 구성 및 기본 사양


[사진 1. 그래픽 카드 박스 외관]


- Palit RTX 3080 12gb LHR 은 (주)에스티컴퓨터에서 3년 AS를 제공한다는 딱지가 박스에 큼지막히 붙어있습니다.

- 그래픽 카드 지지대가 동봉돼 있어 다음에 소개될 사진처럼 요긴하게 쓰입니다.

- 케이스 공간이 협소해 카드 측면에 나사 고정이 불가능. 그냥 꽉 끼게끔 지지대 높이만 조절해 카드를 떠받들게 해놨습니다. 다음에 컴을 새로 짤 때는 빅케이스로 할 참입니다.


[사진 2. 케이스 내부 모습]


[그래픽 카드 크기] 1060 6gb vs 3080 12gb


- CPU : Amd Ryzen 7 3700x 순정(No over)

- Motherboard : MSI B450M Mortar Max

- Memory : samsung ddr4-2666(3200 over) 16gb x 2

- PSU : SuperFlower SF-650F14HG LEADEX III GOLD

- Case: Fractal mini define C

- Monitor : QHD 75hz(8bit), 60hz(10bit)

- GPU : Palit Gforce RTX 3080 12gb LHR


그래픽 카드는 기존 시스템과 맞는가


: 이미 구형이 된 시스템에 그래픽 카드만 구입하는터라 고려할 점이 있었습니다.


1. 케이스

- 작은 케이스여서 294mm의 이 Palit 카드는 선택할 수 있는 최적의 제품군중 하나. 본인의 케이스가 작다면 카드 길이는 구매결정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 물론 앞면의 쿨러 위치를 밑으로 내리거나 떼면, 아마도 기가바이트 320mm 제품까지 장착가능할 것으로 기억하고, 아뭏튼 자신의 케이스가 작으면 항상 구입전에 면밀히 재보고 사야합니다.


2. 파워

- 사용 2년이 좀 넘은 이 파워가 650w 라는 점.

- 카드 구매 전에 OuterVision Power Supply Calculator 에서 용량이 충분한지 확인해봤고, 어느 브랜드이건 650w 파워 골드 이상급이면 reddit 이나 해외의 하드웨어 포럼에서도 별 문제없이 사용한다는 이도 있습니다. 

- 실제 한 주간 사용해보니 이상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분명 고사양 게임을 아주 장시간 하거나 특히 전력 피크시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봅니다. 

- 앞으로 내용에서 나오겠지만, 경우에 맞게 전력 제한을 걸어서 사용할 예정입니다. 이상한 징후가 보이면 그 때 교체해도 늦진 않을 것 같습니다.

- 지금 파워도 나름 골드 등급이니만큼  갑자기 가더라도 혼자 죽지 다른 부품까지 안고 가진 않으리라 믿어봅니다..

- 그래픽 카드는 8핀 두 개를 요구하고, 이 파워에서도 8핀 두 개를 지원해줘서 서로 1:1로 연결이 딱 맞아 떨어집니다. 

- 혹시 모르는 유저를 위한 팁으로 파워와 그래픽 카드 8핀의 이와 같은 1:1 연결은 퀘이사존같은 하드웨어 사이트에서 적극 권장하고 있습니다.


3. 모니터

- QHD 모니터 75hz 가 이미 말해주듯 그래픽 카드는 이 시스템에서 사실 오버 사양입니다.

- 그러나 작업용이 우선이라는 점, 훗날 교체할 모니터도 생각하고 있고, 현재로선 그저 울트라 설정에서 60hz(60프레임)에 만족하므로 개의치 않습니다.


4. 기타 사항

- LED 감성 좋지요. 그러나 애초 선택한 케이스가 클래식한 두꺼운 철판 덮개이므로 ThunderMaster 유틸을 통해 모두 Off 시켰습니다.

- 썬더마스터 유틸리티는 전력제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데 유용한 유틸입니다. 나중에 따로 살펴보기로 합니다.


: 이런 식으로 부품을 살 때 이모저모 잘 고려해서 낭패는 보는 일이 없도록 살펴봤으면 합니다. 특히 그래픽 카드 길이나 파워 용량같은 경우가 중요합니다.


타임 스파이


- 데이터 참조/비교 용도로 쓰시라고 다른 유저분들처럼 타임 스파이를 올립니다.

[사진 3. 타임 스파이 벤치마크] 그래픽 카드와 cpu 는 모두 기본설정, ram만 3200 오버


- 다음의 표는 Palit GamingPro 제품계열로 다른 유저분들의 데이터만 비교 목적으로 끌어왔습니다. 이 유저분들의 글과 데이터는 고맙게도 제 카드 선택에 있어 도움이 되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글의 권리를 위해 직접 가서 보시라고 링크했습니다)


유저 - 시스템

종합 점수

그래픽 점수

[친절한시즈씨]님의 게인워드 RTX 3080 Ti + Ryzen5 5600x(2022.03.23)

15,758

18,908

[아왜로그인]님의 게인워드 피닉스 3080 Ti + 5600x(2022.04.12)

15,639

18,809

[엠스토리]님의 이엠텍 3080 블랙에디션 10gb Non LHR + Ryzen7 3700x(2022.02.15)

15,412

17,324


: 모두 같은 Palit 제조사 제품계열이고, 등급은 다릅니다. 위에 적힌 종합 점수말고 그래픽 점수를 보면 이 제품들의 등급에 따른 성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및 테스트 준비


: 성능 테스트는 이미 인터넷과 유튜브에 많이 있습니다. 3080 이상이면 QHD까지는 거의 모든설정을 울트라로 놓고, 평균 60프레임은 넉넉히 방어하지 않나 그렇게 압니다.

TechPowerUp에서도 V-Sync 60hz 측정을 따로 해주는데 그만큼 전력소모가 적은 수치를 측정하고 있죠. 이를 따라해봤습니다.


- 여기서는 대상을 QHD 75hz(8bit) 한계인 모니터로 특정하고, 전력제한을 살펴볼까 합니다.

- 더 자세히 말해 75hz 가 아닌 60hz 입니다. 현재 모니터에서 다채로운 색상과 색의 부드러운 그라데이션을 위해선 10bit 사용을 해야하므로 60hz 로 맞춰져 있습니다.

- 고사양 모니터를 사용하더라도 전력제한 목적으로 한다면 참고가 될 수 있겠습니다.

- 성능 테스트는 하는 게임이 Red Dead Redemption 2 뿐이라 이를 선정.

- 먼저 ThunderMaster 로 각종 설정을 하고, Msi Afterburner 는 인게임 화면에서 fps 와 온도 정보를 보는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 애프터버너로는 전력이나 온도 한계 설정같은 핵심 기능은 사용하지 않고, 오직 인게임 화면에서 정보 출력을 보기위한 설정만 만집니다.

- 이 제품의 led 설정이나 led를 끄기 위해서는 당연하게도 ThunderMaster 유틸이 반드시 필요하니 주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는 편이 낫다고 봅니다.

- 썬더마스터에서 하는 전력 한계 설정만으로도 충분한 것 같습니다.

- 타임스파이를 마친 후, Nvidia Control Panel 에서 Vertical sync 를 Adaptive 또는 On으로 설정해줬습니다. 왜냐면 당연하게도 모니터가 60hz 인데다 저전력을 위해서 입니다.


썬더 마스터 설정


: 설정에 앞서 미리 짚고 갑니다. 여기서는 다른 GPU Voltage Offset 과 같은 옵션들은 건드리지 않습니다. 이런 다른 설정들을 만져보고 싶으면 용어와 함께 미리 오버클럭이나 언더볼팅에 대해 선행학습이 있어야겠죠. 시스템이 구형이라 위험할 듯 해서 전 안해봤습니다.

[사진 4. ThunderMaster Default Setting]


- ThunderMaster 의 기본 설정 화면 

- 우 상단에 Profile 1~6 까지 6개를 내 취향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전력 제한 설정: 다른 것은 건드리지 않고 오직 Power Target 다룹니다.

- Power Target = Power Limit 같은 뜻이라고 합니다.

- 프로파일 1은 파워 타겟 60%, 2는 80%, 3은 기본 설정.

- 기본 설정은 개인적으로 렌더링 작업시 쓰고, 나머지는 게임 프로파일입니다.

- 각자 원하는 목적대로 다른 수치를 넣어 시험해보고 사용하면 됩니다.

- 그렇다해도 전력 설정은 최소한 60% 그 이상으로 설정해야 카드에 무리가 없다하니 참고했으면 합니다.

- 밑에 GPU Temp Target(온도 한계)도 만져봤는데 온도는 결국 파워 타겟 수치에 비례해서 증가함을 확인했고, 사실상 파워 타겟만 만져주면 됩니다.


[사진 5. Power Target 60%]


: 위처럼 설정하면 끝입니다. 정말 너무 허무하게 간단하죠.


[사진 6. Led Off 일때 화면]


- Led 는 설정 메뉴에서 원하는대로 설정가능하고 이처럼 완전히 끌 수도 있습니다.


레드 데드 리뎀션 2

: 옵션은 거의 다 울트라로 설정(No MSAA, TAA만 사용)

[사진 7. No Limit] 전력제한 기본설정

[사진 8. Power Target 80] 전력제한 80%


[사진 9. Power Target 60] 전력제한 60%


[사진 10. Power Target 60] 전력제한 60% Rdr2 screenshot 1


[사진 11. Power Target 60] 전력제한 60% Rdr2 screenshot 2


: 스크린샷 두장은 화질 유지를 위해 애프터버너로 찍은 원본이어서 용량이 좀 큽니다. 

각 전력제한 설정에 따라 온도와 최대 프레임 수치가 차이납니다. 모두 평균 프레임 60 유지.

다만, 전력 제한 설정 60%일때의 최대 프레임이 왜 80%보다 높은지는 모르겠네요.

다음으로는 이를 HWiNFO64를 통해 차이를 더 자세히 확인해 봅니다.


전력제한 설정에 따른 차이


[사진 12. RDR2 각각의 벤치마크 직후 - Default | PowerLimit80 | PowerLimit60]


- RDR2 벤치마크를 돌린 후 HWiNFO64 로 확인한 데이터를 노랑색 테두리로 강조해놨습니다.

- 기본 설정(gpu전력 100%), 파워 타겟 80%, 60%

- 기본 설정일 때, gpu온도 83도를 넘어가면 자동적으로 제한이 걸리는 것으로 압니다.

- gpu온도, 메모리 정션 온도, 핫스팟 / 팬 속도 / 먹는 전력량


: 파워 타겟 60%일때 저발열 저소음 저전력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주사율 60hz 목적이라면 밥(전력)을 적게 줘도 충분하고, 괜히 카드에 전력만 더 줘가며 일을 시킬 이유가 없습니다.

- 여름에 발열 소음 전력 모든 면을 고려할 때, 60% 설정으로 사용할 것 입니다. 사실 이미 사용중입니다.

- 이 점을 고려해서 각자의 시스템에서 알맞게 수정해서 쓰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어디까지나 QHD 60hz(60프레임 목표)로 사용할 때로 한정 짓습니다.

- 배그같은 온라인 게임은 fps가 중요하고 144hz 같은 주사율을 쓴다면 다른 얘기겠지요.


온도와 소음 그리고 전력


: [사진 12] 를 참조


- 온도

- Idle : 그래픽 카드의 평균 온도 48~49 도

- 이 케이스가 작고 쿨링이 최소 조건만 충족한 정도인 점도 있겠습니다.

- techpowerup 리뷰에서 3080Ti 가 51도, 등급에 따라 온도 차이가 있네요.

- 게임 후 : 각 전력제한에 따라 온도차가 확연해집니다.

- 소음

- Idle : 당연히 조용합니다. 온도가 60도 넘어야 비로소 팬이 돌기 시작합니다. 

- 개인 취향에 따라 ThunderMaster에서 더 낮은 온도에서 팬이 돌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게임 후 : 어떤 카드건 2000 rpm 을 넘기 시작하면 소음 들립니다.

- 파워제한 60에서는 확실히 소음을 덜 의식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 전력

- Idle : 단일모니터 연결로 이처럼 30w 입니다.

- 멀티모니터를 사용하면 평균 38w 를 먹습니다.

- 참고로 gtx1060이 idle 5w, 멀티모니터 9~10w

- techpowerup에서도 다른 12gb 등급 이상 리뷰한 브랜드 카드들이 비슷하다고 이 점을 지적하네요. 고사양 카드의 어쩔 수 없는 숙명.

- 게임 후

- 최대 333w에서 최소 211w로 낮아짐에서 알듯이 파워제한 60에서 가장 적은 전력을 먹습니다.


맺음글


RDR2 를 가지고 이전에 사용한 1060의 FHD 낮은 옵션 설정 30프레임과 비교할 때, 3080에서 전력을 제한하고서도 QHD 울트라 옵션으로 평균 프레임 60 으로 부드럽게 돌아감을 보며 격세지감은 아니더라도 확실히 기술 발전이란걸 느꼈네요.

시간을 들여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따라 하기 쉬운 저전력 설정과 합리적 구매 결정에 있어 참고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MSI MPG 321URXDN QD-OLED 240 4K UHD (1)
사용기 삼성전자 그랑데 통버블 (1)
사용기 Arturia Minilab mk3 (2)
사용기 SooPii 썬더볼트4 40Gbps PD PPS 240W Type C to C 마그네틱 케이블 S50 (1.5m) (1)
사용기 오리온 초코파이 하우스 딸기앤크림 (2)
사용기 몬스타 가츠 X225 모델0 블랙 PC 케이스 (2)
사용기 주연테크 v27q100 무결점 소비자사용기 (3)
사용기 삼성전자 PD 15W 1포트 충전기 EP-T1510 (케이블포함, 정품) (8)
사용기 RTX 5090 아스트랄 사용 후기입니다! (4)
사용기 삼탠바이미 후기 (3)
간단 사용기 MSI RTX 5070 GAMING TRI WHITE 사용기 (4)
사용기 GIGABYTE Z690 AORUS ELITE (4)
사용기 Asus Tuf gaming B850-plus wifi stcom 사용기 (3)
사용기 AMD 라이젠 5 7500F RTX5060Ti 32GB+1TB 슈컴 조립PC 게이밍 데스크탑 조립컴퓨터 한성컴퓨터 구매후기 (4)
간단 사용기 삼탠바이미 [S32DM501] 간단 사용기 (4)
사용기 Gainward rtx 5070 피닉스 d7 12gb (4)
사용기 코코이치방야 카레우동 (4)
사용기 IPLAY 60 MINI PRO 사용기 (4)
사용기 블랙야크 야크체인젠A 4BYIRX4901RE 아이젠 (2)
간단 사용기 몬스타가츠 x225 케이스 사용기 (4)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