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PCIe 4.0 M.2 SSD Nvme 삼성전자 PM9A1 (병행수입) 리뷰

IP
2022.05.09. 14:08:52
조회 수
9758
9
댓글 수
7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PCIe 4.0 M.2 SSD Nvme


삼성전자 PM9A1 (병행수입) 리뷰



원래 1테라짜리를 사려고 했었는데, 도대체 가격이 떨어질 기미가 안보여서 그냥 512g짜리를 샀다.


이왕이면 1tb짜리 M.2 SSD Nvme 사는게 낫지 않을까 싶었는데, 삼성전자 PM9A1 가격이 더이상 안떨어지니 "그래 그냥 512기가 짜리 사서 쓰다가 1테라 짜리 가격 떨어지면 또 사서 뭐~" 내지는 "512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하며 정신승리를 시전하게 되더라.


뭐 어쨌거나~! 더이상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계속 오르기만 하는 1테라 짜리 PCIE4.0 M.2 SSD Nvme 삼성전자 PM9A1에서는 시선을 거두고 구매한 512짜리 SSD!!! 간단 리뷰를 해볼까 한다.



구매한 이유는~!


내가 구매한 삼성전자 PM9A1 (병행수입) PCIE4.0 M.2 SSD Nvme는 이미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리뷰를 했다. 그리고 호평일색이다.


왜냐하면, 이 제품은 삼성전자 Nvme SSD 980 PRO의 OEM으로 제품 자체의 성능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간단히 스펙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성능 자체는 완전히 동일하다. 가성비를 내세우는 다른 저가형 제품들의 경우, 디램리스가 대부분인데 비해 이 제품은 디램까지 있다. 삼성전자 980 PRO와의 가장 큰 차이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점과 A/S기간이 삼성 정품은 5년인데 비해 병행수입 OEM제품인 PM9A1는 2년으로 짧다는 것.



헌데, 초기불량이 아닌 이상 NVME SSD A/S 기간은 사실 그닥 큰 차이점이라 할 수가 없다. SSD가 A/S를 받아야할 정도로 사용중에 문제가 생기는 일이 그리 잦은 것도 아니니까~



그래서 이 제품을 선택했다!!


SSD는 소모품이다. 많이 저장하고 지우고 또 저장하면, 즉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어째도 그 수명은 줄어들게 마련. 초기 불량이 아니라면 사용하는데에 큰 문제란게 그닥 없고, 오래 그리고 과하게 많이 사용해서 수명이 다해가면? 바꿔야하는게 NVMe SSD다. 그러니, 성능이 동일하다면 굳이 비싼걸 구매할 이유가 없으므로 병행수입 OEM인 PM9A1 512기가를 구매한 것이다.



그러니 이글을 읽는 분들도, 초기불량인지 아닌지~ 쓰기/읽기 속도가 제대로 나오는지 아닌지 정도만 체크할 수 있다면 삼성전자 980 Pro의 OEM 제품을 구매해도 되지 않을까 싶다.




병행수입이 뭐예요?



내가 길게 주절주절 쓰는것 보다는 상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참고하시는게 나을 것 같아서 캡쳐해서 담아왔다.


내가 구매한 PM9A1 512G의 수입 유통사는 파인인포메이션으로 A/S기간이 2년이다.



언박싱 및 장착!!!


작디 작은 본품 크기. NVMe 2280 SSD를 클 것이라 생각하지 마시길~(2280=> 세로 22mm, 가로 80mm)

22년 2월 제조된 제품으로 배송되어 왔다. 21년 9월 이전 제품(?정확하진 않다)에는 속도저하 이슈가 있어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직접해주거나 업체에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한 제품을 발송했는지 아닌지를 체크했어야 하는데, 현재까진 아무런 이슈가 없는 22년 2월 제품이니 그저 땡큐!!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


내가 산 제품은 은박지에 제품이 싸여서 왔는데, 유통 및 판매처에 따라 포장 상태가 다양한 것 같더라. 어떤 업체는 SSD를 플라스틱 케이스에 넣어서 주는 곳도 있는 것 같던데~ 이렇게 배송되어 와도 장착해서 테스트해봐서 문제가 없다면 OK!!!

M.2 NVMe SSD 는 장착하면 뒷면 볼 일은 전혀 없긴하지만~ 제품 뒷면에 찍힌 SAMSUNG SSD 로고와 유통사의 종이 스티커가 반대로 붙어있다. 병행수입 OEM이니 분명 한글을 모르는 외국인이 붙여서 보낸 것이리라 생각는다. ㅎ




그래픽카드를 탈거하고 장착하려고 보니 CPU 쿨러 땜에 장착하는 곳이 잘 안보인다 ㅠㅠ.

요 쪼매난 녀석을 달기 위해서 쿨러까지 분해하려니 귀차니즘 발동!


그냥 바로 장착하기 시전~!! (예의상 이런 부분의 사진까지 다 찍어줘야만 할 것 같은 필드테스트에 비해, 내돈내산 리뷰는 이런 점이 좋다~ㅎㅎ)


초기불량 테스트 및 방열판 없을 때의 온도 테스트

일단은 방열판을 달지 않고 장착하여 초기불량 및 방열판을 장착하지 않았을 때의 온도를 테스트 해봤다.


초기불량 여부 체크를 가장 간단하게 해볼 수 있는 방법은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로 확인해보는 것.

위 이미지에서 보시는 것처럼 문제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펌웨어도 GXA7601Q로 되어 있다. 지난해에 이 제품의 속도 저하 이슈가 있을 때 그것을 보완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있었는데, 그 펌웨어 버전이 GXA7401Q였다. 그리고 12월 경에 또 한번의 삼성전자 980 PRO 펌웨어 업데이트가 있었다고 알고 있는데, 아마 이게 그 최신버전의 펌웨어가 아닐까 싶다.

(정확하진 않기에 옮겨적기 조심스럽긴 한데, 당시 삼성전자 980 PRO의 펌웨어 업데이트는 플스5 등에서 나타나는 속도 저하 문제를 개선한 업데이트였다고 한다)


뭐 어쨌거나 정상적으로 하드를 인식하고, 초기불량도 없으며, 펌웨어 또한 최신 버전으로 깔려있는 제품이니 걱정할 것이 없는 상태! 바로 테스트를 해 보았다.


방열판 없는 상태에서의 최고 온도 58도.
스펙에 표기된 읽기/쓰기 속도와 거의 비슷!!


일단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를 돌려보니, 테스트 사이즈를 4g용량일 때, 읽기/쓰기 속도는 표기상 스펙에 거의 준하는 값을 보여준다. 한번만 돌려보기 뭣해서 두어번 더 돌려봤는데...


속도는 표기된 스펙에 거의 근접하는 상태이고 최고온도가 58도 수준이었다.

이 온도는 만약 연속쓰기 테스트를 계속 하거나 테스트파일 사이즈를 보다 큰 용량으로 하면 더 상승할 것인데 굳이 방열판도 안 달아준 상태에서 내 SSD를 혹사시킬 필요가 없으니 수치만 확인해보고 바로 방열판을 달아줬다.



메인보드 B550M 박격포에 있던 방열판!

현재 윈도우가 깔려있는 NVMe SSD에는 알루미늄 방열판이 달려있어서 메인보드에 달려 있던 이 녀석은 따로 떼서 보관중이었는데, 이 녀석을 새로 산 SSD PM9A1 위에 얹었다.

이번에도 역시 CPU쿨러를 탈거하지 않고 결합 ... ㅠㅠ 쿨러 사이즈가 크다보니 SSD에 방열판을 결합하기가 쉽지않았지만~ 뭐~~ 어떻게든 방열판도 장착 완료!


AJA System Test로 벤치마크 진행
4K인 3840*2160 (UltraHD) 해상도에 비디오코덱 16Bit RGB 로 테스트 진행

이제 방열판도 장착했으니 조금 무리해서 테스트해봐도 무방하지 싶어서 AJA 시스템 테스트로 벤치를 돌려봤다. 파일 사이즈는 1기가/4기가/16기가로 해보았고, 대상 파일은 4K 해상도인 3840*2160 (UltraHD)에 16Bit RGB로 비디오 코덱을 가정하고 테스트를 진행했다.

각 옵션별 테스트는 연속해서 진행하지 않고, 벤치프로그램인 Hwmonitor프로그램 상 온도가 40도까지 떨어진 상태에서 다음 테스트를 진행했다.



온도는 방열판이 없을 때에 비해 확실히 많이 줄어들었지만, 파일 용량이 커질수록 온도가 높아졌다. 그래도 46도 정도면...고만고만 준수하다 싶다. (덩달아 B550m 박격포에 있는 M.2 방열판도 테스트하게 됐다 ^^)


테스트 파일을 4K 해상도로 설정했을 경우, 읽기/쓰기 속도는 조금 저하!


앞서 방열판을 달지 않은 상태로 CristalDiskMark 프로그램을 돌렸을 때는(테스트 파일 크기 4g) 스펙에 표기된 최대 읽기/쓰기 속도에 거의 준하는 값을 보여줬는데 비해, 테스트 파일을 4K 해상도에 16Bit RGB로 설정하고 돌려보니 속도가 조금 저하된 결과를 보여줬다.


결과를 보고, 다른분들이 하는 것처럼 10bit RGB로 해볼까 싶었는데 그냥 이 정도면 충분하다 싶어서 테스트는 요기까지만 했다.



이 SSD를 구매한 이유 중 하나가 4K 해상도 영상을 렌더링할 때, 다른 시스템이 받쳐준다는 가정 하에 조금 더 빠른 속도로 마무리하려고 한 것인지라 테스트도 4K 해상도로 설정한 것이고, 이 결과만으로도 읽기/쓰기 속도가 상당히 빠른 편임을 확인했으니 이걸로 족하다 싶다.



결론!

성능은 이 정도면 내게 차고 넘치기에~ 저렴하게 잘 샀다 !!! ^^



일상적인 사용 환경 속에서 SSD의 체감 속도야 PCIe 3.0이나 4.0 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는게 정설이다. 허나 다루는 데이터의 용량이 커지면 그 차이는 느껴지게 마련일 터인데, 이는 큰 용량의 4K 영상 편집을 할 때면 체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저 지금으로선 벤치테스트를 통한 수치적인 결과만으로 이야기하는 것에 지나지 않지만, 싸게 잘 샀다 싶다.

앞으로 영상 자료들이나 여타의 데이터들을 쓰고 지우고 무한 반복할 터인데 SSD를 엄청나게 혹사 시킨다고 할지라도 앞으로 최하 4년 이상은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지금 윈도우를 깔아놓은 SSD도 만 4년 넘게 쓴 것인데, 아직 수명이 85%나 남았다. -_-;; )


PCIe 4.0 인터페이스의 NVMe m.2 SSD 가격도 머지않아 하락할 터인데, 내 입장에선 지금 구매한 가격도 충분히 저렴한 가격이라 생각하고, 사용하는 데에 있어 성능 또한 차고 넘치는 수준이니 그저 완.전.만.족!!!이라 말할 수 밖에 없지 않겠는가! ^^


삼성전자 980 PRO의 OEM인 PM9A1 병행수입이 삼성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점과 A/S기간이 2년 밖에 안된다는 점이 단점이라면 단점인데, SSD를 구매했을 때, SSD 초기불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분들이라면 구매해도 후회하지는 않을 제품이라 생각는다.


오늘의 간단 사용기는 요기까지!!

즐거운 하루 되시길...이만 총총.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꿈도리_ 님의 다른 글 보기

1/8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사용기 몬스타가츠 X225 케이스 사용기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Ti 피닉스 D7 16GB 구매후기
간단 사용기 GAINWARD 5070 파이썬 후기
간단 사용기 gainward rtx 5070 ti 피닉스 간단사용기
사용기 프리플로우 라이젠5 7500F RTX5070 게이밍 컴퓨터 사용기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5080 팬텀 사용기 (1)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RTX5080 팬텀 기변후기 (1)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사용기 입니다 ^^ (2)
간단 사용기 GS27QA 간단 사용기 (2)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5080 팬텀 사용기 (1)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5080 팬텀 사용 (2)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사용기 (2)
사용기 지클리커 슈퍼히어로 OP200 르캄프 MASTER 초경량 8K 무선 게이밍 마우스 (3)
간단 사용기 GAINWARD RTX 5070 Ti PHOENIX 사용 후기 (3)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구입기 (3)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4)
사용기 Gainward RTX 5070 Ti Phoenix 사용 후기 (3)
사용기 RTX5070+7500F 게이밍PC 구매후기 (3)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80 팬텀 D7 16GB 장착기 (3)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