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플리어 원 엣지 프로, 무선으로 더욱 간편해진 FLIR 휴대용 열화상카메라 다나와 리포터

IP
2023.04.04. 22:35:35
조회 수
8795
5
댓글 수
6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플리어 시스템즈는 전 세계 최고의 열화상카메라 판매 점유율을 가진 기업으로 2021년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에 인수되면서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라는 사명으로 새롭게 출발했습니다.


▲ 전기차 배터리 모듈 안정성 테스트 (사진 출처 flirkorea.com)


텔레다인 플리어는 열화상 기술, 실화상 기술, 영상 분석 기술, 측정 및 진단 기술, 첨단 위협 감시 시스템 등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정부 및 국방, 산업, 공공 안전, 지능형 교통 시스템, 보안, 연구개발 및 과학, 해상 등의 많은 전문적인 분야에 필요한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인천공항 코로나19 대응 FLIR 열화상 카메라 채택 (사진 출처 flir.com)


코로나19로 인하여 공항 등의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서는 ‘이상 체온’을 선별하기 위해 도입된 열화상 카메라를 흔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런 장소는 유동 인구가 많은 만큼 신속성이 매우 중요한데, 단 몇 초 만에 지나가는 사람의 얼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플리어 회사의 제품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플리어에서 출시한 열화상 카메라 중에는 스마트폰의 액세서리 형태로 나오는 플리어 원(FLIR ONE®) 시리즈도 있습니다. 플리어 원 시리즈는 간단하게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제품입니다. 사용기로 가져온 제품은 플리어 원 엣지 프로(FLIR ONE Edge Pro)라는 휴대용 열화상 카메라입니다. (현재 최저가 841,810)



플리어 원 엣지 프로는 부피가 작아 휴대에 매우 용이하며, 무선으로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또한 엣지 프로(Edge Pro)는 플리어 원 시리즈에서는 고급 사양에 속하는 제품으로 공공 기관, 산업 현장 등의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사용하기에도 충분히 좋은 열화상 카메라입니다.




적외선 온도계와 열화상 카메라의 차이점


▲ FLIR 적외선 온도계 (사진 출처 flirkorea.com)


적외선 온도계와 열화상 카메라는 비접촉 상태에서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공통적인 목표가 존재합니다. 사용자는 물체에 접촉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접촉식 온도계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온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노트북


열화상 카메라는 카메라 화각에 들어온 모든 대상의 온도 값을 열화상 이미지로 한꺼번에 보여주므로, 사용자는 더 넓은 공간의 온도를 훨씬 빠르게 스캔할 수 있고 나아가 열의 움직임까지 감시할 수 있습니다. 적외선 온도계는 스팟 온도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지만 전체 온도를 스캔할 수 없기 때문에 온도 측정에 있어서 중대한 정보를 놓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수십 개의 배관 중에서 어느 배관이 막혀서 문제가 생겼거나, 전자기기에 부착된 수많은 콘덴서 중에서 특정 콘덴서 하나가 문제 생겼다는 상황을 가정해 보면 문제 현상을 발견하기까지 두 제품의 효율 차이는 극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열화상 카메라는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사물의 윤곽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를 파악할 때도 매우 용이합니다.



열화상 카메라는 산업이나 군사 목적 등 특수 전문분야에서만 사용하는 걸로 인식되고 있지만 일상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실외기, 히터, 냉장고, 조리기구,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형광등, 보일러, 전열기구 등. 다양한 제품의 고장 확인이나 안전 체크 용도로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부분에서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플리어 원 엣지 프로의 스펙을 위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스펙을 정리하면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을 빨간 색상으로 표시했습니다.



플리어 원 엣지 프로의 경우 온도 범위는 두 가지로 설정할 수 있는데, 보통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온도 측정은 -20℃ ~ 120℃, 조리기구·산업용 기계·자동차·전열기구 등은 0℃ ~ 400℃로 설정하여 촬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열화상 이미지 안에서 정확한 온도를 알고 싶은 픽셀이 있다면 스팟 미터를 활용하면 됩니다. 0.1℃ 단위까지 세분화되어 매우 정확하게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지정 3개 스팟, 최고점 스팟, 최저점 스팟 등 한 장의 열화상 이미지에서 최대 5개의 스팟 측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사용기를 진행하면서 소개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플리어의 특허 기술인 열화상의 선명도를 높여주는 MSX® 기술이 탑재되었습니다. MSX 기술은 실화상 정보(DC)에 열화상(IR)을 겹쳐서 열화상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여주는 기술로 플리어 열화상 카메라의 가장 큰 이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개봉기




플리어 원 엣지 프로의 구성품은 열화상 카메라 본체, USB 타입 C 충전 케이블, 사용자 설명서로 구성되었습니다.




플리어 원 엣지 프로의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두꺼운 러버 소재로 코팅되었습니다. 낮은 열전도, 내열성, 방진, 방수에서 우수하고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기 때문에 러버를 사용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품 설명에 따르면 2미터의 낙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합니다.



카메라는 열화상 카메라와 실화상 카메라로 2개의 렌즈로 구성되었습니다. 기본 화면 출력은 실화상에 열화상 이미지를 입힌 사진(MSX)이지만, 앱 설정을 통해 열화상(IR)만 표시하거나 실화상(DC)만 표시하도록 바꿀 수도 있습니다.


인디케이터는 제품의 작동 여부를 알 수 있고, 세 칸의 LED 램프를 통해 잔여 배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스펙상 배터리 충전시간은 40분, 사용시간은 1시간 30분 전후입니다.



USB 충전 속도를 측정해 보았는데, 최대 5V/1A 5W 충전으로 확인되었습니다. 5V를 지원하는 USB-PD 충전기를 사용하거나, 옛날 USB 타입 A 포트가 달린 저속 충전기나 PC의 USB 타입 A 포트에 연결하여 충전하는 게 안전합니다. 5V를 초과하는 충전기로 충전하지 않을 것을 당부 드립니다.



전원 버튼도 마찬가지로 고무로 코팅되어 있고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유격(틈)이 없습니다. 이물질이나 액체가 침투되지 않도록 설계한 점이 만족스럽습니다.



제품의 사이즈는 높이 37.5mm, 폭 35mm, 길이 149mm입니다. 무게는 153g으로 스마트폰 무게의 60~70% 정도 밖에 나가지 않아 매우 가볍습니다. 휴대용으로 최적의 콤팩트함을 보여 준다고 생각합니다.



늘어나는 클립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클립의 길이는 최대 6.5cm까지 늘어납니다. 부착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는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13cm 이상이고 19.5cm 이하면 됩니다. 최대 7인치의 태블릿에서 세로로 부착할 수 있고, 가로 기준으로는 13인치 태블릿에도 부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지녔습니다.



갤럭시 S21 울트라에 연결해 보았는데, 슬림 하고 단단하게 고정되어 그립감이 나쁘지 않았습니다. 한 손으로 무난하게 스마트폰 화면을 컨트롤 할 수 있을 정도의 그립 후 조작감을 제공합니다.




고정 클립은 알루미늄 소재로 만들어져 굉장히 단단하고 오래 사용했을 때 변형이나 파손 등이 없을 것 같습니다. 또한 클립 안쪽은 고무 패드로 되어 있어 기기가 미끄러지지 않게 잘 고정시켜 주고 스크래치가 생길 염려도 없었습니다.




플리어 원 엣지 프로 사용 가이드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앱 스토어에서 ‘FLIR ONE'을 검색해서 설치해야 합니다. Wi-Fi를 켠 상태에서 앱을 실행하고 장치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장치를 인식하여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었습니다.



플리어 원 엣지 프로의 좋은 점은 무선 Wi-Fi로 연결되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분리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대 약 5m의 거리에서 원격 컨트롤이 가능하기 때문에 손이 잘 닿지 않는 곳이나 가까이 다가가기 어려운 장소에서는 적절하게 분리해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열화상 카메라를 연동했다면 스마트폰에서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을 이미지 위에 직접 표기해 보았습니다.



촬영 방법은 스마트폰 기본 카메라 앱과 다를 바 없습니다. 사진과 동영상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흰색 버튼은 사진 촬영, 빨간색 버튼은 비디오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녹화를 할 경우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해 주변 소리까지 동시에 녹음됩니다.



플리어 원의 스팟 미터 설정은 열화상 이미지에서 좀 더 정확히 알고 싶은 스팟을 지정하여 0.1℃ 단위까지 측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스팟(1), (2), (3)이라는 사용자 스팟을 최대 3개까지 등록할 수 있고, 열화상 중 가장 온도가 높은 픽셀의 값을 표시하는 핫 스팟과 가장 온도가 낮은 픽셀의 값을 표시하는 콜드 스팟이 있습니다.


그 밖에 우측에 온도 범위를 표시하는 스케일 바를 켜거나 끄는 버튼과 열화상 이미지에 오차가 생겼을 때 다시 카메라를 리셋 시켜주는 보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 스팟(1), (2), (3)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측정을 원하는 위치에 드래그 해서 온도를 볼 수 있고, 핫 스팟과 콜드 스팟은 자동으로 표시 됩니다. 자세한 건 제가 직접 촬영한 위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측 하단의 + 버튼을 선택하면 오른쪽 이미지와 같이 열화상 보조 메뉴가 표시됩니다.



플리어 원 엣지 프로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로 160x120 해상도의 열화상 이미지(IR)와 640x480 크기의 실화상 이미지(DC)를 촬영합니다. 그리고 플리어의 MSX 기술은 이 두 화상을 결합하여 훨씬 선명하게 보이는 열화상 이미지를 제공해 줍니다.


높은 해상도의 사진에 열화상 이미지를 업 스케일링하여 입힘으로써 뚜렷한 열화상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화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이기 때문에 실제 어떤 부분의 온도인지 훨씬 빠르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MSX 열화상 이미지는 온도 차이가 없는 대상의 윤곽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점이 좋습니다.



열화상 이미지를 사용자 마음에 드는 컬러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열화상 표시 방식은 위 사진과 같이 총 9가지의 컬러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사진에 해당하는 아이언 컬러와 세 번째 사진의 레인보우 컬러가 가시성이 좋습니다. 또한 최저온이나 최고온을 빠르게 파악하고 싶을 때는 8번째, 9번째 사진에 해당하는 최저온, 최고온 색상 팔레트를 사용하면 됩니다.



MSX로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의 경우 실화상과 열화상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카메라 정렬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보기(저장소)에서는 이전에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다시 볼 수 있습니다. 파일을 열면 열화상 이미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데, 아래에 DC 버튼을 누르면 촬영 당시의 실화상 이미지로만 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상세보기를 통해 방사율과 사진을 촬영한 위치 등 좀 더 자세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사용 후기



열화상 카메라로 핸드드립 커피를 찍으면 온도의 변화, 열이 움직이는 모습이 잘 보일 것 같아서 촬영해 보았습니다.




드립포트의 뜨거울 물줄기가 원두가 담긴 드리퍼에 천천히 흐르는 모습이 육안으로 관찰되었고요. 드리퍼에 물이 가득 차오르면서 드리퍼의 상단까지 열화상 이미지에서 밝아지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원두를 통과해 서버로 떨어지는 물까지 뜨거움이 관찰되었고, 서버로 내려간 물은 다시 얼음에 식어 파랗게 변했습니다.




조리를 할 때 온도 변화를 관찰하거나, 프라이팬의 온도를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운행 직후의 자동차 상태를 보면 다른 차와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보닛은 전면에서 바라볼 때 냉각수가 위치한 왼쪽이 훨씬 뜨거워진 걸 볼 수 있었고, 바퀴는 안쪽 브레이크 패드가 가장 뜨거워진 상태였습니다.




보닛을 열어 확인해 보았는데, 역시 냉각수 통의 온도가 가장 뜨거웠습니다. 엔진의 뒤쪽 부분에서도 뜨거운 열이 올라와 보닛 덮개까지 열이 제법 전달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사실 이 차는 몇 주 전에 엔진 냉각수 관련 부품인 워터펌프가 고장 나서 냉각수 온도가 120℃까지 올라가는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습니다. 전자식 워터펌프의 고장 빈도가 높다고는 들었지만 실제로 제게 이런 일이 일어났다는 게 많이 당황스러웠고, 심지어 고속도로에서 엔진 과열 경고가 떠서 갓길에 정차하는 비상상황까지 갔었는데요. 이제부터는 나름 수시로 체크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상은 서비스센터에 문의할 목적으로 비교적 안전한 상황에서 촬영한 겁니다.



이 차량 같은 경우는 엔진룸 왼쪽 냉각수 탱크 부분이 너무 뜨거워서 그을음이 생긴다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이 사실을 차량 구매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알게 되어서 다행히도 바로 엔진룸 커버를 구매하여 장착해서 그을음이 그렇게 많이 번지진 않았습니다. 자동차 회사 본사에서 엔진 커버를 정품으로 판매하는 것을 보니 회사에서도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었고 빠르게 대응해 주었습니다.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게 된 겸 엔진룸 커버를 잠시 떼어내고 확인해 보니 왼쪽에 상당한 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잠시 시동을 걸었을 뿐인데, 온도가 상당히 올라갔습니다. 냉각수, 엔진과 관련된 많은 배관들이 왼쪽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시 엔진룸 덮개를 끼운 다음 모습입니다. 커버로 인해 열이 많이 차단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냉각수는 안쪽의 라디에이터에서 식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커버를 씌운다고 해서 냉각 성능이 떨어지거나 안전상으로 크게 영향이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을음이 생긴 원인은 단순히 뜨거운 파이프가 보닛과 가깝게 아무런 커버도 없이 대치하고 있었기 때문인데 왜 처음부터 커버를 제공해 주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커버를 씌우기 전에는 보닛에 손을 대면 화상을 입을 것 같을 정도로 뜨거웠는데, 지금은 많이 좋아졌습니다.




맺음말



이런 예시를 보여드린 이유는 아무튼 열화상 카메라를 일상생활에서도 활용할 용도가 많고, 특히 자동차 점검을 하는 데는 전문가나 일반인을 가리지 않고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 보여 드리고 싶었습니다. 차량의 기술이 고도화되고 전자화 될수록 자동차 부품 관련 고장 빈도가 더욱 많아지고 있는 만큼 이런 장비 하나가 집에 있으면 든든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전문 분야에서 발열이 많은 장비를 점검할 필요성이 있다면 열화상 카메라는 해결법을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컴퓨터 관련 부품 리뷰를 진행하면서 발열 측정을 많이 하기 때문에 이런 장비가 항상 탐났긴 합니다.



어떤 분야든 필요성이 느껴지는 분이라면 텔레다인 플리어 사의 플리어 원 엣지 프로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가벼운 휴대성에 무선으로 스마트폰과 연결해서 누구나 사용하기 편리하고, 정확하고 빠른 측정 성능을 제공해 주는 점은 역시나 플리어다웠습니다. 무엇보다도 플리어만의 독자적인 MSX 열화상 기술은 가정용이라고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정말 만족할 만한 열화상 품질을 제공해 준다고 생각됩니다.


여기까지 플리어 원 엣지 프로(FLIR ONE Edge Pro의 사용기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나와리포터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다나와 리포터
본 글은 다나와 리포터 인증 게시물입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G5 S27DG500 삼성 모니터 후기
사용기 삼성 오디세이 G5 S27DG500 사용기
사용기 GIGABYTE B850M AORUS ELITE WIFI6E ICE 제이씨현 (1)
사용기 삼성 오디세이 S32DG700 사용기 (1)
사용기 알파스캔 AOC 27G4XE 모니터 구매 후기 (2)
사용기 삼성 스마트 모니터M7 43인치 사용기 (2)
사용기 G7 s32dg700 사용 만족 (3)
간단 사용기 램포트까지 흰색인 B850M AORUS ELITE WIFI6E ICE 실물 영접 (4)
간단 사용기 s32dg500 리뷰 (3)
사용기 게임할 때 렉 걸리면 나가라~ 삼성 G5 오졌다! (3)
간단 사용기 M7 모니터 사용 후기입니다 (4)
사용기 m5쓰다 m7 사용하니 신세계입니다. (4)
사용기 개인 및 소호 사무실을 위한 파일관리 솔루션 추천 아이피타임 NAS200 (3)
사용기 Asrock Z890 Live mixer + 265K 출장조립기~ (5)
사용기 크로스오버 279QA9 Fast-iPS 사용후기 적습니다 (5)
사용기 삼성전자 오디세이 G7 S32DG700 IPS 4K UHD 144Hz 게이밍 모니터 구입 후기 (6)
사용기 s27dg500 사용기 (8)
간단 사용기 삼성스마트 모니터 S32dm701 후기입니다 (5)
사용기 S32DG700 4K IPS 144 Hz (5)
사용기 스마트모니터 M7 S32DM701 평소 메인 모니터를 뭐로 살까 고민하다가 (7)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