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라이저는 감성의 영역이었고, 현재까지도 진행형입니다.
하지만 수냉쿨러 + VGA 라이저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문제는 타워형 공랭 + VGA 라이저 라면 조건이 무척 까다롭습니다.
무지막지한 타워형 쿨러의 방열판 크기 때문이죠.
하지만 우리는 방열판 면적이 넓을수록 CPU 쿨링에 좋다는걸 압니다.
그래서 저소음 + 방열 면적이 검증된 녹투아를 포기할 수 없죠.
예전에는 GIGABYTE 3090 AORUS EXTREME 라이저를 성공했지만,
이번엔 글카를 4080 으로 바꾸고 도전했습니다.
(어차피 4090이랑 크기가 같은 경우가 꽤 있더랍니다. 팬을 같은 걸 써서 그런 것 같습니다.)
가로 길이만 342mm / 두께 75mm / 높이는 150mm 에 달합니다.
(34.2cm / 7.5cm / 15cm)
사용중인 PC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CPU : 인텔 i5-13600K
RAM : 삼성전자 DDR5 5600Mhz 16GB x 2EA
메인보드 : ASUS ROG STRIX Z690-F GAMING WIFI 인텍앤컴퍼니
CPU 쿨러 : NOCTUA NH-D15S 크로맥스 블랙 에스티스토어
시스템 쿨러: NOCTUA NF-A14 크로맥스 블랙 에스티스토어 (7EA)
그래픽카드 : GIGABYTE 지포스 RTX 4080 EAGLE D6X 16GB 피씨디렉트
VGA 라이저 킷 : AONE PCI-E 4.0 16X 300mm 라이저케이블
12VHPWR 케이블 : 이엠텍 레드빗 12VHPWR 변환 케이블 (0.3M)
케이스 : ASUS STRIX HELIOS BLACK 대원CTS
파워 서플라이 : ASUS THOR 1000P2 대원CTS
VGA 지지대 : 시스기어 ROG Vertical Riser KIT
사진에 쓰인 제품은 이엠텍 레드빗 12VHPWR 변환 케이블 입니다.
우선, 12vhpwr 케이블이 가장 큰 관건이자 난관이었습니다.
그래픽카드 라이저를 하려면 이 부분이 반드시 해결되어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알리에서 구매할 수 있는 ㄱ 자나 ㄷ 자 커넥터는 그래픽카드의 휨 방지를 위한 메탈 백플레이트에 걸려서 호환이 안된다는 점도 봤었고 해서...
이번에는 아예 8핀 3개 로 애드온 할 수 있는 12vhpwr 케이블을 구매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 VGA용 PCI-E 용 8핀 3개 연결 후 →
8핀 3개를 12vhpwr 에다가 연결 → 12vhpwr 은 VGA에 장착)
라이저를 시도하는 구조 특성상 유연하게 휘어져야만 했고,
1. 90도 가까이 배선을 시간을 들여서 충분히 사람손으로 유연하게 길들일 것
2. 12vhpwr 핀 내부를 확인해 최종 틀어짐이 없는지 반드시 확인한 후 장착을 진행했습니다.
다행히 제가 구매한 12vhpwr 제품은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제품이어서
큰 수고 없이, 아주 편하게 케이블을 길들일 수 있었습니다.
부품 장착 사이의 간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녹투아 급의 대장 쿨러를 장착하더라도
1. CPU 쿨러를 가로로 장착해서 튜닝램을 위해 설계된 스페이스를 12vhpwr 에게 줘야합니다.
(CPU 열 배기가 상단으로 향해야 합니다.)
2. 이럴 경우, 매우 높은 확률로 튜닝램 방열판이 걸립니다. 시금치나 흑금치 써야합니다.
3. CPU 쿨러를 90도로 돌려서 장착한 만큼 → 메모리를 위해 공간 확보해 놓은 방열판 구조가 → 12vhpwr 를 장착 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결정적인 역할 을 합니다.
VGA 하단부는 1.2CM 이 남고 상단부는 0.3CM 이 남습니다.
라이저 슬롯을 장착할 때의 공간까지 계산하게 된다면 상당히 빡빡한 작업입니다.
라이저 슬롯 고정하는 육각 스페이서는 아예 못쓴다고 봐야 합니다.
쓰다가 라이저 슬롯 부러 뜨러 먹을 만큼 공간이 절대 안 나옵니다.
애초에 VGA 전용라이저 2슬롯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오로지 PCI 8슬롯 장착 기준입니다.
여차할때는 제조사와 호환되는 유니버셜 라이저 키트를 써야 할 수준입니다.
정리하자면, 공간 총 합 : 1.2cm + 0.3cm = 1.5CM
그러므로 PCI 슬롯이 7 슬롯의 케이스라면 PCI 슬롯의 세로 길이가 일반적으로 2.1CM 이므로,
1슬롯의 높이만큼 부족해 장착이 불가능하니 이 점을 꼭 사전에 체크해야만 합니다.
마지막으로 3dmark 2560 x 1440 해상도 테스트 결과입니다.
파스는 45,527 / 타스는 25,399 로 확인되었고 큰 이상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물론 주로 하는 게임과 4k 영상 돌려보니 팬이 돌다 말다~ 할 정도로 발열과 전성비가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아무튼, 저처럼 공랭 라이저 관련 정보 찾으시는 분들을 위해 리포트 겸 기록으로 남깁니다.
결론 : 부품 궁합 맞으면 4080 라이저는 공랭으로도 됩니다. 12vhpwr 연결은 조심 또 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