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RTX 3080을 사용하다가 본가 컴퓨터 그래픽카드로 부모님 쓰라고 넘겨주고, 제건 RTX 4090으로 교체하자라는 뿜이 일어나서 급구매하게 된 RTX 4090입니다.
구매한지 하루만에 바로 배송이 되어서 바로 만져볼 수 있게 되었네요.
3080 쓰다가 4090으로 업그레이드하는지라 엄청난 향상폭을 기대하면서 개봉했습니다..ㅋㅋ
박스입니다~ GS 버전이라 그런지 박스에 GS 마크가 달려있습니다. GS 버전이 수율이 선별된 칩셋이 달린 버전이라서 오버클럭이나 언더볼팅에 좀 더 기대할 수는 있곘지만, 전원부 강화는 하지 않았을 거라고 보기에 크게 기대하지는 않았어요~
뭔가 구성품이 심플하군요. 그래픽카드 지지대와 12핀 커넥터가 보이는군요! 현재 사용 중인 파워는 ATX 3.0 규격 파워가 아니라서 반드시 써야 하는 케이블입니다.
전면부. 깔끔하네요.
사용자가 가장 많이 볼 측면부입니다. GEFORCE RTX PHANTOM 이라고 깔끔하게 불빛이 들어와서 생각보다 괜찮아요. 라이팅은 익스퍼툴이라는 걸로 변경해줄 수 있습니다.
12VHPWR 커넥터가 꽂을 자리도 보이네요.
후면부는 발열 해소를 위해 백플레이트에 공기순환 라인들이 타공되어있네요.
듀얼 바이오스가 적용되어 있으며, P모드(1번)일 경우 성능 모드, S모드(2번)일 경우 저소음 모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테스트 환경
옛날에 맞춘 시스템이라 전반적으로 구닥다리 환경입니다. 기존 본체에 그래픽카드만 변경했습니다. 구세대 라이젠 시스템 환경이라 인텔 최신형 CPU (13900K)에서 진행하는 시스템에 비해 전반적으로 점수가 많이 떨어질 거라고 예상됩니다.
모니터 - LG 38GN950 (38인치 21:9 울트라와이드)
테스트 해상도 - 3840 X 1600 (WQHD+)
CPU - 라이젠 R9 5900X
CPU 쿨러 - MSI 코어리퀴드 K360
메인보드 - MSI B550 유니파이 X
RAM - 32GB 3800 CL16 (XMP)
GPU - GAINWARD 지포스 RTX 4090 팬텀 GS D6X 24GB
SSD, HDD - 삼성 980 PRO 2TB, 삼성 850 EVO 1TB, 시게이트 HDD 12TB
파워 - 시소닉 프라임 1300W
케이스 - 다크플래쉬 DXR21
OS - Windows 10 Home 22H2 (19045.3086)
Resizable BAR - 활성화
Driver - GeForce Game Ready 드라이버 64비트 (536.40)
----------------------------------------
제품사양
전반적인 제품 사양은 상품 설명 페이지 참고바랍니다~
GPU-Z으로도 확인해보겠습니다. TSMC 5nm 공정으로 AD102 아키텍처가 사용된 GPU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메모리는 마이크론의 GDDR6X가 탑재되어있네요.
제로팬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래픽카드 오버클럭 및 언더볼팅
그래픽카드의 오버클럭과 언더볼팅은 적정한 값을 찾아낸 뒤에 3DMARK의 포트로얄 스트레스 테스트 20회 통과 기준이라 다른 사람들보다 적용된 수치들은 떨어지지만, 그래도 유의미한 차이는 보여주기에 같이 벤치마크에 포함시켰습니다.
---------------------------------
그래픽카드 고주파?
보통 고성능 그래픽카드는 고성능일수록 고주파가 심하다는 편견이 있지만, 이전에 3080 쓸 때도 그랬지만, 그래픽카드에서 고주파를 못느낀지는 오래되었네요.
테스트해보는 4090 팬텀 GS도 고주파가 전혀 없는건 아니지만, 마이크를 가까이 가져다 대서 크게 들어야 인식 가능한 수준이라 실제로 들을 때는 거의 못느낀다고 보면 됩니다.
------------------------------
3DMARK 타임스파이 벤치마크
옛날 같으면 파이어스트라이크로 벤치마크를 먼저 돌렸을 텐데, 시대가 시대인 만큼 파스는 더이상 그래픽카드의 본연의 성능을 다 뽑아낼 수 없다고 생각하기에 파스는 패스하고 바로 타스로 시작했습니다. 참고로 전반적인 시스템이 옛날 구닥다리 시스템(라이젠 5900X)이라 RTX 4090의 성능을 100% 다 뽑아낼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참고할 정도는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그래도 3080을 쓰다가 4090으로 넘어간 입장에서는 그저 신세계입니다...
RTX 3080 순정 - 17392점
RTX 4090 팬텀 GS 순정 - 36829점 (3080 대비 약 112% 증가)
RTX 4090 팬텀 GS 오버 - 37849점 (4090 순정 대비 약 3% 증가)
RTX 4090 팬텀 GS 언더 - 36069점 (4090 순정 대비 약 2% 감소)
RTX 4090 팬텀 GS 순정 - 64.76도, 443.6W
RTX 4090 팬텀 GS 오버 - 64.73도, 476.8W
RTX 4090 팬텀 GS 언더 - 58.84도, 380.2W
최대 성능을 보기 위해선 오버클럭을 해야하는 건 변함없는 사실이지만, 효율로만 따지면 언더볼팅의 효율이 순정 대비 상당히 좋습니다. 웃긴 건 순정 상태와 오버클럭 상태에서 온도 차이가 거의 안납니다. 오히려 오버클럭한 상태에서의 온도가 더 낮게 나오네요. 그런데 전력 먹는 건 오버클럭한 상태가 30W 이상 더 먹네요.
언더볼팅했을 때에는 순정과 성능 차이가 거의 나지 않으면서 최대 온도와 전력 소모가 눈에 띄게 감소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DMARK 타임스파이 익스트림
RTX 3080 순정 - 8678점
RTX 4090 팬텀 GS 순정 - 19280점 (3080 대비 약 122% 증가)
RTX 4090 팬텀 GS 오버 - 20192점 (4090 순정 대비 약 4.7% 증가)
RTX 4090 팬텀 GS 언더 - 19202점 (4090 순정 대비 약 0.4% 감소)
4K 테스트 환경이라 그런지 3080 대비 성능 격차가 더 벌어지네요.
-------------------------
3DMARK 포트로얄 벤치마크
레이 트레이싱 성능 테스트를 위한 그래픽 카드 벤치마크이며, 안정화 작업할 때도 매번 사용되는 벤치마크입니다. 이걸 스트레스테스트 20회 통과했다면 그 어떤 게임에서도 튕기지 않는다는 소리가 있을 정도니깐요.
RTX 3080 순정 - 11407점
RTX 4090 팬텀 GS 순정 - 25456점 (3080 대비 약 123% 증가)
RTX 4090 팬텀 GS 오버 - 26818점 (4090 순정 대비 약 5.4% 증가)
RTX 4090 팬텀 GS 언더 - 25439점 (4090 순정 대비 약 0.07% 감소)
타스보다 3080 대비 성능 향상폭이 더 큽니다. 3세대 RT 코어 영향도 있는거 같네요.
---------------------------------
게임 벤치마크 목록
토탈워 워해머 3
토탈워 삼국
사이버펑크 2077
요새 주로 하는 게임은 토탈워 시리즈와 디아블로4, 그리고 플라이트시뮬레이터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만, 디아블로4와 플라이트시뮬레이터는 별도의 벤치마킹툴이 탑재되어 있지 않아서 제외했고, 사이버펑크는 DLSS 3.0 벤치마크해볼려고 설치해봤구요. 시간 관계상 많은 게임을 테스트해볼 수는 없어서 제가 주로 하는 게임 위주로만 테스트해보는 점 양해바랍니다...
모든 게임 테스트의 해상도 기준은 3840 X 1600 21:9 비율의 울트라 와이드 기준입니다. 변태적인 해상도이긴 하지만, 그래픽카드 부하는 2K와 4K 사이에 있는 정도라고 보심 될 거에요.
플라이트시뮬레이터는 제가 볼 땐 4090까지 아니더라도 RTX 4천번대는 필수입니다. DLSS 3.0 적용한 것과 안한 것의 프레임 차이가 너무 심하게 차이나요...ㅠ
디아블로4는 DLSS 3.0 사용하지 않는게 좋은거 같아요! 전 프레임 제한 120 프레임으로 제한한 다음 지싱크 호환을 사용하는데... 4090 성능이 워낙 남아돌아서 DLAA 선택하고도 120 프레임 가볍게 뽑아주면서 그래픽카드가 엄청 쉬네요. 그래픽 품질은 DLAA가 가장 좋으므로 DLAA 선택하는게 좋을 듯싶습니다.
3080 쓸 때는 DLSS를 사용함에도 마을 올 때마다 버벅이는 걸 매번 겪었는데, 4090 바꾸고 나서는 DLAA를 적용했음에도 버벅이는게 아예 사라졌네요. 특히 텔 타고 금방 마을 도착했을 때 엄청 체감되네요.
-----------------------------
토탈워 워해머 3 벤치마크
울트라 프리셋 옵션 기준
3080 순정 대비 거의 2배에 가까운 프레임이 증가해서 감동의 눈물(?)을 흘릴뻔 했습니다. 한 세대만에 이렇게 드라마틱한 성능 향상 체감은 처음 겪는거 같네요. 2080에서 3080 넘어갈 때도 성능 향상 체감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같은 80 라인이 아니라 90이라 그런지 더욱 그런거 같아요.
--------------------------------
토탈워 삼국
최고 프리셋 옵션 기준
토탈워 삼국은 토탈워 워해머 3보다 3080 대비 더 드라마틱한 성능 향상이 있네요. 2배를 훨씬 넘는 성능 향상을 보여줍니다.
-------------------------------
사이버펑크 2077
레이트레이싱: 울트라 프리셋 옵션 기준
사이버펑크 2077은 DLSS 3.0 옵션을 설정할 수 있기에 DLSS 2.0과 프레임 비교도 해봤습니다. 레이트레이싱 울트라 프리셋 옵션 기준으로 DLSS 2.0 이라도 적용을 하지 않고 게임을 즐길려면 플레이할 수 없을 정도의 프레임이 나와서 거의 강제로 DLSS는 적용을 해야 하네요.
-------------------
마무리
비록 현재 4천대 끝판왕이라서 전력 먹는 하마이긴 하지만, 언더볼팅을 통해 순정 대비 효율 좋게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제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이 144Hz이지만, 120Hz로 내리고 게임 프레임도 120프레임에 맞추는지라 4090 성능이 워낙 남아돌아서 전력소모가 심하게 나올일은 거의 없을거 같아요. 4K 모니터 역시 60Hz 또는 120Hz로 쓰는 사람이 많을거라 예상되므로 전력소모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거 같습니다.
성능이나 디자인 모두 만족하며, 현재 제 모니터로 모든 게임을 120 프레임 이상 즐길 수 있기에 이걸로 3년 이상은 버틸 수 있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