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어? 이 가격에 미니 LED TV를 사용해볼까??

IP
2023.11.30. 23:16:57
조회 수
10599
6
댓글 수
6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샤오미의 보급형 TV(샤오미 TV A pro 시리즈)가 국내에 정식 발매되어 

관심을 가지고 보다보니 괜히 방에 있는 55인치 TV를 바꾸고 싶어졌습니다.


방에 TV는 햇수로 9년 전에 구매한 중소기업TV로, 

특이하게 DP포트를 지원하는 TV였는데 제조사가 구매후 1년도 안되서 망해버렸죠. 

그래도 지금까지 쉴드TV나 호메틱스 TV박스 같은 구글TV셋탑을 연결해서 사용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이트밸런스가 무너져서 교체를 해야겠다고 생각하던 참이었습니다.


상당히 오랜시간동안 TV에 대한관심이 없다보니, 

QLED가 뭔지 OLED가 뭔지도 모르면서 몇 일을 공부해보았습니다.


그러나 아뿔사, 사려고 했던 샤오미 TV A pro가 스마트TV 성능은 구글 크롬캐스트 4K 버금가게 좋은 AP(미디어텍의 MT9612)를 사용하지만, 왜인지 USB2.0이고, HDMI2.0을 사용하여, 현재 사용중인 쉴드TV를 완전히 대체하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굳이 쉴드TV를 버리고, 굳이 샤오미 TV A pro를 살필요가 없겠다고 생각하여, 차라리 스마트TV기능은 없다시피 하지만, 화질이 좋은 TV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러다가 찾은 TV는 이엔티비의 스마트 퀀텀 nQNED TV DIEN65MI-KT 였습니다.

현재 이엔티비의 공식몰에서 599,000원(배송비 포함) 판매하고 있는 상품이지만,

11번가의 블랙프라이데이 행사의 영향인지,  499,000원(배송비포함)에 구매가 가능했습니다.

(각, 쇼핑몰마다 행사의 영향으로 가격이 조금씩 차이가 났습니다.)

덧붙여 11번가 희망쇼핑으로 판매가의 일부가 불우이웃돕기나 여러 사회기부에 사용됩니다.



이 TV는 LG IPS RGB방식 미니LED 패널에 MSD6886 칩을 사용한 리눅스TV로,

다나와에서 같은 스펙의 제품을 찾아보면

이노스 S56570KU, 와사비망고 WM U650, 살루스Q6500QML 같은 제품들이 있습니다.



전부 다 Shenzhen KTC Technology Co.,Ltd 에서 제조한 제품들로 

제품 사진들을 살펴보면 스탠드 형태가 조금 다른것을 제외하고는, 베젤의 모양 및 후면 단자의 위치까지 동일한것을 알수 있습니다. 전부 같은 제품인것이죠.


 

이 KTC라는 회사는 중국에서 대기업 TV제조사라고 할 수 있는 

TCL, 스카이워스, 하이센스, 창홍 보다는 인지도가 떨어지지만, 

그래도 중국의 100대 IT기업에 들어가고 

중급의 제품을 생산하는 ODM 및 OEM을 주로 하는 제조사입니다. 

1995년 부터 모니터를 만들면서 LG디스플레이와는 상당히 관계가 좋아서 패널수급이 좋다보니, 대체로 LG쪽의 A~A-급의 패널을 이용해한 TV를 제조한다고합니다.


국내에서는 더함/이스트라/폴라로이드/유맥스(2020년도 기준에서는 전라인업이 KTC제품이었다고 합니다.) 등에서 이용한다고합니다. 물론 이 제품 및 위에 동일 제품을 발매한 회사에서도 주로 이용을 하고요.



위의 정보들을 바탕으로 생각해보면, 이엔티비의 스마트 퀀텀 nQNED TV DIEN65MI-KT

LG의 RGB IPS패널 미니LED TV로 원 제조사가 LG디스플레이와 관계가 좋아서 품질이 좋은 패널을 공급받아서 가장 화질이 좋은 방식으로 제작한 TV라고 할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하드웨어품질이 좋은 제품인것이죠.




스마트 퀀텀 nQNED TV DIEN65MI-KT를 선택하면서 고려한 요소들을 이야기 해보자면, 

한마디로 말해서 LG RGB IPS패널을 사용한 미니 LED TV 입니다.


미니 LED TV의 특징은



1. LG IPS TV의 가장자리에서 생기는 빛샘 현상이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미니LED TV는 LCD패널 뒤에 백라이트 유닛이 촘촘하게 박혀서 밝은 부분만 부분적으로 밝혀주는 로컬디밍 기능을 기본으로 합니다. 이는 검은(또는 어두운 화면)에서 백라이트가 꺼지기 때문에 검은 화면에서 빛이 새어나오는 빛샘현상이 생기지 않습니다.



2. 일반적인 IPS패널의 단점인 낮은 밝기/낮은 명암비가 해결됩니다.


IPS패널은 VA패널보다 시야각이 좋고, 색상의 왜곡이 적지만, 방식의 특성상 완벽한 검은색(액정의 백라이트 차폐)이 힘들어서 명암비가 낮습니다.(보통 3000 : 1) 또한 백라이트의 완벽한 차폐가 안되어서 백라이트의 밝기를 억제하다보니 기본적인 밝기도 낮은 편(보통 200~300CD)입니다.


하지만, 백라이트를 미니 LED를 사용함으로서 로컬디밍이 기본이 되기에 완벽한 검은색을 구현하여 고명암비(100,000 : 1)를 달성하고, 또한 퀀텀닷 필름이 기본적으로 입혀져 있으며, 단위 면적당 LED 발광원의 갯수가 많아 최대 1000CD의 밝기를 달성합니다.


퀀텀닷 필름: 전기 에너지를 받으면 빛을 내는 성질을 지닌 나노미터 단위 초미세 반도체 입자가 들어 있는 강화 필름. 우리 눈은 가시광선 파장 길이에 따라 색을 구분 할 수 있는데, 초미세 입자가 크기에 따라 가시광선 영역 파장을 각각 다르게 내보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서는 색 표현력을 더욱 올리기 위한 기술로 활용하고 있음.)



3. RGB서브픽셀로 더욱 선명합니다.


TV용 패널은 본래 RGB서브픽셀을 사용했었습니다. 하지만, 고화소의 TV가 기본이 되어 가면서 수율향상 및 밝기를 올리기 위해서 다른 방식의 서브픽셀이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보통 삼성 스마트폰에서 펜타일 아몰레드라고 이야기 하던 것이 이것입니다. 

TV쪽에서는 BGR, RGBW등의 서브픽셀이 등장합니다. 하지만 이런 서브픽셀의 경우 하나의 픽셀이 하나의 완전한색을 내지를 못하기때문에 인접 픽셀과의 색간섭이 있습니다. 그 결과 선명도가 떨어지고, 글자의 가독성이 낮아지는 결과가 생깁니다.


이엔티비의 스마트 퀀텀 nQNED TV DIEN65MI-KT는 LG RGB IPS 미니 LED 패널을 사용해서 선명한 화면을 보여줍니다.



4. IPS 패널로 색상의 왜곡이 적은 광시야각과 높은 색재현율


LG IPS 패널을 사용해서 VA패널에 비해서 광시야각에서 색상의 왜곡이 적습니다.

어느각도에서 보더라도 동일한 화면을 보여준다는 말입니다.


또한 카탈로그 스펙으로 SRGB기준 130%의 색재현율을 가집니다.(동일제품을 분석한 결과  sRGB 기준 144.2% 비율과 99.8% 범위를 지원해 사양보다 넓은 영역을 표현하고 광색역에 속한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링크)




이런 이유로 미니 LED TV를 사기로 마음을 먹었지만, 혹시 요즘 나오는 미니LED TV에 비하면 사양이 떨어지는 이름만 미니LED TV는 아닌가 하는 불안감도 있었습니다.

9216개의 백라이트유닛과 576개의 로컬디밍존이 적은 것인지 다른 제품과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찾아보니 LG의 미니LED TV는 86인치형 8K 해상도 제품에서 백라이트유닛의 수는 약 3만개, 

로컬디밍존 수는 2500개에 달한다는 기사가 있습니다. 4K는 나오지를 않네요.


삼성도 미니LED에 대한 소개는 하지만 백라이트유닛의 갯수와 로컬디밍존의 개수에 대한 이야기는 찾기 어려웠습니다.



다음으로 요즘 미니LED TV의 가성비로 떠오르고 있는 TCL의 신제품들을 찾아보았습니다.

TCL은 세계시장에서 삼성/LG다음으로 판매량이 높고, 고급제품도 만드는 회사입니다.



TCL에서 미니LED TV라고 부르는 2023년의 신제품 C845등급의 제품은 

65인치에서 576개의 로컬디밍존을 가집니다.


즉 이엔티비의 스마트 퀀텀 nQNED TV DIEN65MI-KT의 스펙이 2년 전에 나왔다고 해서 성능이 떨어지는 패널을 사용한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위 사진은 LG의 65인치 LED TV의 백라이트 사진입니다. 20X12개의 백라이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TV의 백라이트유닛은 240개이니 로컬디밍존은 그보다 적을수 밖에 없을 겁니다.



그래서 이엔티비의 스마트 퀀텀 nQNED TV DIEN65MI-KT를 구매하였습니다.


블랙프라이데이 다음날인 11월 25일(토) 오후에 주문을 했고, 

월요일에 배송이 시작되어 화요일 점심때 배송이 되었습니다. 


사실 TV라서 배송이 늦을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영업일이 되자 마자 바로 배송이 되어서 빠른 배송에 놀랐습니다.


택배가 아닌 TV전문 배송 기사님이 오셔서 설치를 해주셨습니다. 


에너지효율등급은 3등급이라 1등급이 아닌것에 아쉬울수 있습니다만, TV의 경우 화질은 밝기에 비례한 경우가 많다보니 화질이 좋은 TV의 경우 에너지효율등급을 1등급을 받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DIEN65MI-KT는 미니LED TV이다 보니 에너지효율보다는 화질에 특화된 TV이다보니, 좋은 등급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기본적인 리눅스 스마트TV의 홈 화면입니다. 

상단에는 넷플릭스와 유튜브 아마존 프라임비디오 등의 기본적인 OTT앱이 보입니다. 

스마트TV APP 항목에서 APP를 설치가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리눅스의 마켓은 안드로이드 만큼 APP이 많지 않다보니, 한국에서 사용할만한 APP는 없다시피 합니다. 

뭐 괜찮습니다. 전 쉴드TV를 연결해서 사용할 목적으로 구입했으니까요.


이 제품이 발매될 당시 2021년은 아무래도 넷플릭스의 인기가 정점에 달하던 시기로, 

2열은 넷플릭스 프로그램을 보여줍니다. 역시 오징어 게임은 아직까지도 메인에 떠있네요.


맨 아래는 TV와 외부입력을 선택하는 열과, 설정 열이 있습니다. 외부입력과 설정은 기본적으로 리모컨의 버튼으로도 대응하고 있습니다.



리모컨의 사진입니다. 

전형적인 중소기업 리모컨이지만, 넷플릭스/유튜브/아마존프라임의 바로가기 버튼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안보고 누르다가 다른앱으로 넘어가는 것이 싫어서 바로가기 버튼이 없는 것을 선호하지만 직관적인 사용을 원하시는 분들에게는 버튼이 있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합니다.


방향버튼 우상단에 사각형4개가 있는 버튼이 설정 버튼입니다.

설정을 누르면 화면에 왼쪽으로 플로팅 윈도우가 나타나서 설정을 하게 됩니다.



영상탭에서는 표준/영화/선명/사용자의 4개 모드가 있으며, 

색온도에서 표준/차가운/따뜻한 색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차가운색이 백색이 가장 백색답게 느껴졌습니다.




음성탭에서는 표준/음악/영화/스포츠/사용자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사용자에서는 사진과 같이 각 음역대별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10W X 2ea의 스피커가 스펙상으로는 너무 출력이 낮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제가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볼륨을 100중에 30~50사이에서 사용 중입니다. 

(엑스박스사용시에는 20)

큰 거실 환경에서는 웅장한 음악이 나오는 영화등에서는 출력의 부족함이 있을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만, 방에 설치시에는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다만, 소리의 특성이 약간 통울림이 좀 있습니다. 낮은 통울림이 아닌 통기타의 울림 같은 느낌으로 있어서 사용자메뉴에서 EQ를 조금 손보고 사용해야 할 필요를 느꼈습니다.


프로그램 탭은 동축케이블을 통해서 제공하는 DTV와 ATV를 설정할수 있는 메뉴입니다.

지상파UHD채널은 지원하지를 않지만, 

케이블 TV를 통한 8VSB FHD 채널이나, 클리어QAM의 채널은 지원을 합니다.


제가 코드컷팅을 해서 OTT위주로 시청을 하다보니, 이쪽의 설정을 건드려보지를 못했습니다.

(채널이 검색해도 잡히지를 않습니다. ㅎㅎ)




외부입력단자는 HDMI 2.0 단자 3개(1개는 ARC)와 AV단자, 그리고 동축케이블 단자가 있습니다.

그 외에 LAN포트와 광출력단자가 있고, USB 2.0포트가 2개 있습니다. 그리고 후면에는 메뉴를 조정하는 조이스틱버튼이 하나 있습니다.


위 포트 구성에서 한가지 단점은 HDMI, AV, 광출력, LAN포트의 방향이 아래쪽을 향한다는 점입니다. 한번 설치 후 이동이 자유롭지 않은 대형 TV이기에 단자가 동축케이블과 USB단자가 있는 측면으로 나있으면 편이 편의성이 좀더 좋습니다. 아래쪽을 향하는 단자는 보이지 않아서 이용이 까다롭습니다. 또한 단자 아래쪽이 서서히 올라오는 구조라서 두꺼운 선의 경우 잘 휘지 않아 커넥터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고장이 나기 쉬운 구조였습니다. 이 부분은 상당히 아쉬운 구조였습니다.






일단 설치를 마치고, 쉴드TV 및 Xbox Series X를 연결하고 몇가지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DIEN65MI-KT CEC 테스트


첫번째로 CEC 테스트입니다.

쉴드TV를 연결하고 설정을 마친후 쉴드TV의 리모컨으로 전원을 켰을때, TV가 정상적으로 켜지고 쉴드TV가 연결된 외부입력으로 바로 표시가 되는지 테스트입니다.


전원을 끄기 전에는 XBOX를 켰다가 끈상태에서 전원을 켰습니다.

영상에서는 정상적으로 쉴드TV로 연결이 된것을 알수 있습니다. 

TV의 전원은 전원입력 후 4초만에 켜졌지만 HDMI1(XBOX)에서 HDMI2(쉴드TV)로 전환되기위해 2~3초정도 시간이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EC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쉴드TV에서 전원 CEC는 정상작동을 하지만, 볼륨조절은 리스트에 있는 TV를 전부 테스트 해봐도 적용이 안됩니다. 쉴드TV에 이 제품에 맞는 프로파일이 있지 않는것 같습니다. 혹시 이 이후에 나온 셋탑박스에서는 적용이 될지 어쩔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볼륨의 경우 컨트롤을 TV에서 할지 셋탑박스에서 할지를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셋탑박스에만 연결해서 사용할경우 리모컨 1개만 사용하는데 제약은 없습니다.


한가지 더... TV리모컨으로 쉴드TV가 CEC로 컨트롤 됩니다. 다만, 뒤로가기 버튼이 대응하질 않아서 실질적으로는 TV리모컨 1개만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엑스박스는 본체에 볼륨조절이 아예 없습니다. 

그리고 CEC로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자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엑스박스를 사용하려면 어차피 TV리모컨을 사용해서 볼륨을 조절해야합니다.



DIEN65MI-KT 로컬디밍존 테스트


로컬디밍은 유튜브에 로컬디밍테스트 영상을 재생했습니다.

검은 화면에 하얀 사각형이 움직입니다. 

사각형 주변만 백라이트에 불이 들어와서 밝아지고, 다른 부분은 검은 색으로 보입니다.

로컬디밍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디밍존이 좀 더 세밀하게 조절 될수록 사각형 주변에 블루밍이 덜 생기는데, OLED나 마이크로LED(아직 상용화 안됨) 정도 되면 블루밍 현상이 거의 없어집니다.

그래도 영상에서는 디밍존이 작아서 블루밍이 그렇게 크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Xbox Series X에서의 TV연결 화면 설정


Xbox Series X를 연결하고 디스플레이 설정에 들어가서 본 정보입니다.


10비트에 RGB색영역을 지원합니다. 

4K에서 크로마서브샘플링 4:4:4를 정상적으로 지원한다는 의미입니다.  

단, 이 제품은 60Hz를 지원하고, HDR10을 지원하지만,

120Hz와 돌비 비전을 지원하지를 않습니다.


게임용 TV로 사용하기에는 조금 아쉬운 점입니다.

그래도 광고에서 이야기한 스펙은 전부 지원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쉴드TV에서의 TV연결 화면 설정


쉴드TV는 기본적으로 나온 연도가 좀 됩니다. 2015년에 최초로 나왔으며, 

사용된 AP를 그대로 재탕해가면서 2019년도에 최종제품이 나왔습니다.

그러다 보니, 4K에서 HDR10을 지원하려면, YUV420 10비트에서 밖에 지원을 안합니다.

다만 Rec. 2020색영역을 지원해서 Rec. 709보다는 광색역을 지원합니다.


HDR10을 사용안하면, RGB를 지원합니다. 기본적으로 게임보다는 방송용 포맷을 우선시하는 설정인것 같습니다.

이건 쉴드TV가 이 제품의 성능을 전부 이끌어내지 못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더 최신의 제품인 구글 크롬캐스트4K에서는 어떻게 지원하는지가 궁금해집니다.





이 영상은 4K 샘플동영상을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입니다. 제품을 받고 바로 촬영한것이라, 보호 필름조차 안떼고 촬영을 했네요. 그래도 이제품의 화질이 어느정도인지를 어느정도 보여주는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색상은 재촬영으로 인해서 왜곡이 되었지만, 햇빛과 그림자에 의한 명암비를 잘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서브픽셀을 찍어보았습니다.

위의 사진은 검은 화면과 다른색상의 경계로, 검은 화면은 백라이트가 완전히 꺼져서 픽셀이 거의 드러나지를 않습니다.


아래사진은 RGB 서브픽셀이라는 것이 잘보이는 사진입니다.

(파란픽셀이 조금 약하게 보이지만 빨강픽셀과 초록픽셀 사이에 분명히 존재하는 것이 보입니다.)



위에 사진들은 검정색이 어떻게 보이는지, 

그리고 천연색이 얼마나 화사하게 보이는 지를 찎어보려고한 사진들입니다.

다만 제 방이 역광이라 창문이 비치고, 폰카메라의 성능이 좋지 못한 점을 감안하고 봐주시길 바랍니다.



이엔티비의 스마트 퀀텀 nQNED TV DIEN65MI-KT는 모든면에서 완벽한 제품은 아닙니다.


LG RGB 미니LED 패널을 사용했음에도 패널의 성능을 전부 끌어내지도 못했습니다.

120Hz도 지원을 안하고, 돌비 비전도 지원을 안합니다.


아마도 최대한 가격을 억제하다보니, 

사용하는 AP의 한계로(당시로서도 MSD6886은 최상급 AP는 아닙니다. 

현재는 보편화된 MT9612보다도 떨어집니다.) 

패널의 성능을 전부 끌어내지를 못한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현재 이제품과 화질을 경쟁해야 하는 제품은 

일단 LG의 QNED 제품군이고, 삼성의 네오QLED제품군입니다.

다나와에서 검색해보면, 같은 인치에서 삼성은 200만원대의 가격을

그리고 LG는 400만원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리퍼비쉬/해외직구 제외)


또한 중소기업 제품군(TCL을 중소기업이라고 하기는 애매하지만...)에서는 

TCL의 C8XX 시리즈가 미니LED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가끔 특가가 뜰때, 100만원을 좀 넘는 가격에 판매가 됩니다.


반면에 이엔티비의 스마트 퀀텀 nQNED TV DIEN65MI-KT는 

절반이하의 가격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다른 회사의 동일 제품들은 60만원 중후반대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이 가격에 구매가 가능한 미니LED TV로 조금 아쉬운점이 있지만, 

가격이상의 화질을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어중간한 QLED TV보다도 더 저렴한 가격에 미니LED TV를 구매가능하다는 것은 

상당히 매력적인 일입니다. 

미니LED라는 기술자체가 현재 LCD패널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주는 기술로 

OLED와 비교해서 LCD라는 기술의 수명을 10년은 

연장시켰다는 말이 나오게 하고 있습니다.



물론 앞으로 시장에는 더욱 더 좋은 제품들이 나오겠지만 

이엔티비의 스마트 퀀텀 nQNED TV DIEN65MI-KT

구글TV셋탑등 다른 기기들과 시너지 효과가 높아서

대기업에 비싼 제품들에 크게 뒤지지 않고

현재 사용하기에는 충분히 만족할만한 제품일 것입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몬스타 가츠 X225 모델0 블랙 미니타워 케이스 사용기 (1)
사용기 WD Elements Portable 1T (3)
사용기 심플한 스트라이프 디자인이 돋보이는다크플래쉬 DB460M 미니타워케이스 사용해보니 (3)
사용기 조립이 편한 가성비 컴퓨터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COOLMAX 멜로디 XL VIEW 화이트 (3)
사용기 게인워드 5070ti 팬텀 사용기 (4)
사용기 필립스 24E1N1100A 100 시력보호 4면 보더리스 무결점 (4)
사용기 LG 27GS85Q 게이밍모니터 (3)
사용기 글로리어스 SERIES ONE PRO (3)
사용기 애터미 바이탈컬러 비타민C 90포 (1개) (2)
사용기 QCY T13 화이트 (3)
사용기 제이씨현 유디아 ED2731HF IPS 27인치 화이트 모니터 내돈내산 추천[출처] [진행중] 제이씨현 유디아 UDEA 24인치,27인치,32인치 화이트 모니터 포토 후기 이벤트 (4)
사용기 성광 압축분무기 2L (3)
간단 사용기 [메인보드 사용기] MAG B850M 박격포 WIFI 사용기 (3)
사용기 RTX 5080 어로스 마스터 사용후기 (3)
사용기 XBOX Series 블루투스 무선 컨트롤러 카본 블랙 (3)
사용기 당신의 감성을 완성할 하이엔드 튜닝케이스! 커세어 FRAME D4000 RS ARGB 사용해보니 (4)
사용기 크로스오버 27GSA9 사용기 ㄷㄷ (4)
간단 사용기 스마트 LED 등 (4)
사용기 모리츠 티니토 MO-BL8000W (3)
사용기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21 홈 & 스튜던트 (PKC)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