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 ECO 엘라탄 하나로 방수_수용성 우레탄 셀프방수용으로 구입
지난해 가을, 본가 이층과 옥상에 우레탄을 시공했었는데, 이층 테라스 위쪽은 방수를 진행하지 않아서 셀프방수용으로 수용성 우레탄을 구매하여 작업해 보았습니다.
* ECO 엘라탄 하나로 방수 구매 이유
옥상/마당 셀프방수에 대해서 이래저래 검색해보고, 근처 페인트가게 사장님께 조언을 구하면서 알아보니 제일 손쉬운 것이 수용성 1액형 우레탄인 것 같았고, 상도/중도/하도 따로 살 필요도 없고, 경화제 섞고 교반해 줘야 하는 2액형에 비해 이 제품 하나로 손쉽게 방수 작업이 가능한 것 같더구요. 그리고 수용성 우레탄 중에서도 도장면 탄성이 좋다고하여 조광페인트 ECO 엘라탄 하나로 방수를 구입하여 사용했습니다.
시공할 면적이 넓지 않아서 3. 5리터 한통만 구입하였고, 희석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였습니다.
* 작업 방법
1) 하도 : 제품과 물의 희석비를 30% 정도로 하여 붓 발림이 좋도록 해서 1차 도장
2) 중도 및 상도 : 제품에 물 약 5% 희석하여 2차, 3차 도장
이런 식으로 작업하면 되는데, 1차 도장 즉 하도를 올리고 난 뒤에 크랙이 간 곳에는 실리콘을 쏴서 크랙면을 잡아주면 좋다고 하여 우레탄 실리콘도 구매하여 크랙 작업을 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저렴하여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실리콘은 유성 실리콘이라 실리콘 시공한 위에 페인트가 올라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리콘 위에 페인트나 도료 작업을 하려면 '아크릴 실리콘'이나 '우레탄 실리콘'을 쏴줘야 하는데요. 작업할 곳이 햇빛을 많이 받는 곳이라 내구성이 더 좋은 우레탄 실리콘을 구입하여 크랙작업을 진행했습니다.
* 작업 사진
1) 1차 도장 즉, 하도는 사용된 에코 엘라탄 하나로 방수 원액에 물을 30% 정도 희석하여 작업하였습니다.
건조는 날씨에 따라 다르겠지만, 수용성이라 넉넉잡아 1시간이면 충분한 것 같더군요.
2) 하도 작업 후, 크랙 부분에 우레탄 실리콘을 쏴 주었습니다.
우레탄 실리콘은 처음 사용해 보았는데, 페인트 가게 사장님께서 말씀하시길 시공 후 하루 정도는 건조해줘야 한다고 해서 그 말씀대로 진행하였습니다.
(작업은 지난 시월 말, 날씨가 꽤 좋았던 날에 진행하였습니다)
우레탄 실리콘을 한번만 쏘아주려고 했는데, 하루 정도 지나니까 크랙 부분에 어느 정도 수축도 발생하고 해서 재차 작업하여 하루 더 건조시켜주었습니다.
3) 중도 및 상도 작업
원액 대비 약 5%의 물을 희석하여 두 번 더 작업하였는데요.
오전에 한번 바르고, 오후 늦게 한 번 하도 포함 총 3번 도장 하였습니다.
결.
크랙이 많이 가 있는 곳이어서 예방 차원에서 수용성 우레탄을 시공한 것인데요.
하도부터 상도까지 제품 하나로 가능하니 작업이 상당히 간편했구요.
우레탄 실리콘으로 크랙 잡는 것도 어렵지 않더군요.
실내와는 상관없는 테라스 윗 부분이긴 하지만, 방수작업을 하기 전에는 비가 오면 크랙 부분이 물기를 잔뜩 머금고 있어서 괜히 찜찜했는데, 엘라탄 하나로 방수로 시공한 후에는 크랙이 가 있던 부분에 물이 스며 들어감으로 인해 테라스 쪽 시멘트의 노후화를 가속화 시킬 염려도 없다 싶어서 걱정을 덜었습니다.
집에 간단하게 방수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곳이 있으시다면, 1액형인 수용성 우레탄 하나로 방수로 작업하시면 편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관련 상품에 이 제품이 뜨질 않는 것 같던데, 다나와 검색창에 "조광 하나로"로 검색하시면 제가 사용한 제품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타고 상품 페이지에 들어가 보시면, 시공방법에 대한 정보도 나와 있으니 작업시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저의 에코 엘라탄 하나로 방수 제품에 관한 간단 리뷰가 셀프 방수 계획 있으신 분들께 도움이 됐음 좋겠네요. 좋은 하루 되십시오.
(글쓰기 메뉴에 있는 관련상품 검색에서는 해당 제품이 뜨질 않던데요. 다나와 검색창을 통해 검색해보시면 제가 사용한 제품에 대한 더욱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