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명 : FL ESPORTS CMK75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
"역대급 가성비의 유무선 게이밍 키보드"
안녕하세요. Walter입니다.
오늘은 존스보와 딥쿨, NZXT 등의 유명 컴포넌트 및 컴퓨터 주변기기 브랜드의 유통사로 잘 알려진 '브라보텍'에서 공식 수입하게 된 FL ESPORTS CMK75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65,000원)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FL ESPORTS는 2014년에 설립된 게이밍 마우스 및 키보드 전문 제조 업체로 뛰어난 R&D 능력을 보유하여 보급형부터 고급형 제품까지 다양한 종류의 키보드를 출시하고 있어서 키보드 애호드가들과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특유의 통울림 개선과 자체 제작한 스테빌라이저, 프리미엄 스위치의 조합은 현 키보드 시장의 니즈를 정확하게 반영하였는데 게이밍 기기에 타깃이 맞춰져 있지만 어디에나 잘 어울리는 심플한 디자인과 커스텀 키보드 못지않은 빌드 퀄리티가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
CMK75는 화이트 그레이, 차콜 그레이, 발렌타인 핑크의 총 3가지 색상으로 출시되었는데, 각각 프레임과 키캡의 색감 조화가 잘 이루어져 있어 색상마다 독특한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1. 구성품 & 상세스펙
전체 구성품은 키보드 본품, 키보드 루프, USB-C to A 타입 케이블, 스위치 & 키캡 리무버, 2.4GHz USB-A 동글, 설명서와 가이드 등이 있습니다.
키보드 레이아웃은 81키의 75% 배열을 지녔고, 화이트 그레이 색상 같은 경우 프레임은 무광 플라스틱(ABS)의 화이트 색상, 키캡은 옐로우, 그레이 색상이 채택되었고, 하단과 후면에 있는 포인트 무게추 또한 그레이와 화이트 색상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리고 우측 상단에는 노브와 1.17인치의 컬러 LCD가 탑재되어서 연결 모드와 시계, 배터리 잔량이나 GIF 움짤 등을 화면에 띄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맥과 윈도우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나, 별도의 맥 OS 전용 키캡은 제공되지 않는 점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맥 모드 전환은 별도 맵핑 과정 없이도 Fn+`(~)키를 2초 정도 누르면 맥 환경에 알맞은 기능키와 멀티미디어키로 변경됩니다.
하지만 연결되는 기기의 OS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모드가 자동 전환되기 때문에 수동 전환 단축키는 인식이 되지 않을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측면과 후면의 레이아웃입니다. 손목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해 키캡 높이를 체리 프로파일로 설계하였고, 이중적인 구조로 분리되어 있는 듯한 디자인도 상당히 모던한 편입니다. 단계적인 높이 변화로 타이핑이 자연스러워진다는 특징이 있는데, 스텝 스컬처 2로 빌드 되어 타건 시 편안하고 안정적인 사용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어서 후면의 눈에 띄는 특징은 우측에 충전과 유선 사용을 위한 USB-C 타입 포트와 유무선 선택이 가능한 스위치가 위치해있다는 것입니다.
이어서 하단의 모습입니다. 하판은 동일한 ABS 플라스틱 재질의 화이트가 아닌 그레이 색상으로 되어 있고, 각 단계별 고무패드가 적용된 2단계의 높이 조절 받침대, 백라이트 On/Off 스위치, 2.4GHz USB-A 동글, 중심부에는 화이트 색상의 포인트 무게추가 있고, 각 모서리에 4개의 고무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내부 빌드에 대해서는 상당히 할 말이 많은 편입니다. 일반적인 기성키보드에서는 눈을 씻고 찾아볼 수 없는 여러 개의 흡음재와 보강판, 그리고 가스켓 마운트가 장착되어 있고, 특히 테이프 모드가 적용된 폴리우레탄 폼 흡음재가 있는 것과 오테뮤 저소음 스위치 선택 시 적용되는 2차 실리콘 흡음재가 정말 인상적인 것 같습니다.
키캡은 체리 프로파일의 PBT 키캡이 적용되었으며, 이중사출 구조로 마모가 적고 선명한 시안성을 지녔습니다. 특히 손가락 접촉면에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표면 질감이 고운 모래같이 보슬보슬한 편이라 정말 매력적인 키캡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제가 리뷰한 제품에는 카일 허쉬 Pro 크림 저소음 리니어축이 사용되었는데, 기본적으로 공장윤활이 되어 있고, 키 압은 45 ± 10gf, 입력지점은 1.7 ± 0.4mm로 보글보글한 느낌의 타건이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PCB 기판은 5-Pole과 3-Pole 스위치를 모두 지원하며, 역방향 LED가 적용되었습니다. 따라서 키캡 사이를 은은하게 RGB LED로 채워줄 수 있고, 핫스왑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 중에 스위치를 교체할 수도 있습니다.
▶상세스펙
출처 : 브라보텍
2. 사용기
▶전용 소프트웨어 & GIF
CMK75는 전용 소프트웨어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선 기본적인 키맵핑(기능키 포함)과 매크로 설정, LCD 디스플레이 설정, RGB LED 설정, 펌웨어 업데이트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설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부분이 바로 LCD 디스플레이 편집일 텐데요, 기본 설정은 시계와 배터리 잔량, 연결 모드 등이 표시되어 있고, 추가로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GIF를 첨부하면 위와 같이 나만의 움짤을 띄워 사용할 수 있어서 커스텀 하는 재미를 더욱 높여줍니다.
▶RGB
앞서 언급 드린 바와 같이 역방향의 키캡 하단으로 고루 퍼지는 RGB LED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총 22가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밝기 조절, 색상 변경, 동적 효과나 사운드 반응 효과 등 다양한 모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적으로는 웨이브 형태와 중앙부터 퍼지는 조명 효과가 마음에 들었는데, 게이밍 감성을 더욱 부각 시키는 것 같아, 데스크 셋업을 하는데도 아주 용이했던 것 같습니다.
▶배터리 타임
기본적으로 배터리 충전은 후면에 있는 USB-C 타입 포트를 통해 충전할 수 있고, 총용량은 3,000mAh의 대용량 배터리가 탑재되어 완충 후에 LED를 Off한 상태를 기준으로 최대 87일 동안 연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타건감
이어서 타건 영상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FL ESPORTS CMK75의 훌륭한 내부빌드와 카일 허쉬 Pro 크림 저소음 리니어축이 만나 정말 매력적인 타건감을 만들었는데, 자체 윤활 퀄리티도 상당히 만족스러웠고, 특히 스위치 내부의 댐퍼가 보글보글함과 동시에 도도도 하는 타건음을 느끼게 해줘서 정말 마음에 들었던 것 같습니다.
스테빌라이저도 체리식 스테빌이 적용되었고, 개별 교정 스테빌이기 때문에 직접 스테빌 교정을 하지 않는 저와 같은 입장에서는 상당한 퀄리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인게임
마지막으로 인게임에서는 어느 정도 퍼포먼스를 보이는지 직접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무한 동시입력이 지원되고, 유선 연결이나 2.4Ghz 동글 연결 시 최대 1,000Hz의 폴링레이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게임용으로 아주 적합한 제품이었고, 키가 씹히거나 밀리는 감이 없어서 쾌적하게 플레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제가 메인으로 하는 롤에서는 키보드 입력이 정말 중요한 편인데 무한 동시입력으로 '아, 이거 왜 안 나갔어!'라고 말할 일이 없어 편안하게 플레이할 수 있었습니다.
3. 장단점
▶장점
1. 탄탄한 빌드 퀄리티와 개별 교정 스테빌라이저, 공장 윤활 스위치로 완성도 높고 매력적인 타건감을 느낄 수 있다.
2. 핫스왑을 지원한다.
3. PBT 키캡 장착으로 오랫동안 키캡 마모나 유분기 오염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4. 블루투스 5.0과 2.4GHz, 유선 연결까지 다양한 입력을 지원한다.
5. 윈도우와 맥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연결한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해 OS 최적화를 해준다.
6. 전용 소프트웨어를 지원한다.
7. 최대 87일 사용할 수 있는 넉넉한 배터리타임을 지녔다.
▶단점
1. 출시 초기 제품가가 6.5만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전체적인 퀄리티 대비 양심상 단점이 없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다.
4. 총평
총평입니다.
지금까지 브라보텍에서 새롭게 유통하게 된 FL ESPORTS CMK75 유무선 기계식 키보드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내부 빌드부터 타건감, LCD 디스플레이와 노브, 유무선 연결, 전체적인 색감과 디자인이 다채로운 깔래야 깔 게 없는 가성비 제품이었던 것 같습니다.
개별 교정 스테빌과 공장 윤활 스위치로 커스텀 키보드에 익숙지 않으신 분들도 높은 퀄리티의 커스텀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정말 큰 것 같고, 부담 없는 가격대로 출시되어서 대중적으로도 많이 추천해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가성비 좋은 제품이 더 많이 유입되어서 키보드 시장에 긍정적인 바람이 불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