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사 그냥 이제품 볼 정도까지 왔으면, 사는거다

IP
2024.03.21. 20:34:02
조회 수
7309
6
댓글 수
6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2024.4.6 업데이트 함**

**업데이트내용**

**4번항 HDR 관련 화질이 좋아짐.**

**이유는 이번 4월에 TV가 대규모(?) 패치가 이루어졌음.**

**패치내용은 "NFT 추가" 및 "화질수치개선"**

**단점이 많이 줄어들었다!! 이제 시안성이 좋다!!**

**6번항의 설정 버그가 고쳐져 있더라. 6번항 무시.**

**주의사항:업데이트가 오래걸린다.**



다들 아는 이야기는 빼거나 후술하겠음. 앰비언트 어쩌구 등.


그냥 이 TV 까지 알아보고 있는거면 그냥 이거 사삼.

장단점 보다는 특징으로 이야기 하겠음.


남들 이야기 안한 특징부터 보자면.


1. 1440P QHD 120hz 지원

이 이유 쟌니 큼. 

본인 컴으로 현존 최고 그래픽 게임인 싸펑 2077 최고사양인 패스 트레이싱을

4k 로 돌리기는 버거운데, QHD, 즉 1440p 로는 너그롭게 돌린다? 

그럼 사삼.

예) 데탑 기준 4070; 랩탑기준 4090.

4k 로 50프레임 나오는거, QHD로 90 프레임 나오니까, 너무 행복함.

(사펑 벤치 스샷 있음)


간혹 저렴한 TV는 1440p 지원 안하던데, (120hz는 당연히 지원안하고.)


QHD 120hz 지원하는게 게임하는 입장에서 정말 구세주임. 



2. 응답속도들 걱정하는데 걱정하지 마삼. (9ms라고 되어 있어서.)

스샷처럼 철권8의

초풍, 초오찌, 콤보 다 잘 들어감.


안나가? 님이 못쓰거임.

막았는데?? 님이 못막은거임.


심지어 난 리로이 유저임. 초풍캐릭 안씀.

그리고 저거 패드로 쓴거다. 스틱 꺼내기 구찮아서.


무슨 소린지 모르겠다? 

그럼 응답속도 걱정할 필요도 없음.

(초오찌 스샷이랑, 리로이 콤보 스샷 첨부했음)



3. 대신 VRR 모드와 HDR 을 사용하기 위해 "게임모드"를 사용해야 한다. 중요.

HDMI 로 PC 연결하면 화질이 자동으로 "게임모드" 로 들어가는데,


이거 특징이

(1) 화질이 "크리스탈 클리어" 보다 덜 vivid 함 (구짐)

(2) 근데 "게임모드" 안하면 인풋렉 개쩜. 위에 서술한 격투게임이나 FPS게임 못함.


화질 살짝 포기하더라도 무조건 "게임모드" 사용해야함.



4. 2024년 4월 대규모 업데이트로 HDR 적용 시 시안성이 훨씬 좋아짐.

패널이 바뀐건 아니니 당연히 화질이 더 좋아진건 아니지만,

하기 취소선의 내용이 확실히 개선 되었다.

(아마 TV 자체 내의 수치를 변경한 거 같음. 필립스도 구렸다는 걸 알고 있던 모양.) 


즉, 기존엔 HDR 적용 시 암부표현이 너무 구려서,

어두운 곳은 안보여서 눈을 찡그려야 했고,

밝은 곳은 눈부셔서 눈을 찡그려야 했는데,


이제 내가 직접 수치변경하지 않더라도, 양쪽 다 아주 이쁘고 기분좋게 잘보임!!!

예시로 사용한 사이버펑크 2077 내 HDR 세팅값은

최대밝기 : 1500

톤매핑 : 1

페이퍼화이트 : 300 (혹은 200)

채도 : 최하.

물론 OLED 나 Neo QLED 정도는 아님. ㅋㅋㅋ 이건 어쩔 수 없더라.

그래도 이제 어느정도는 비빌 수는 있음. HDR이 상당히 이쁨.


HDR 암부표현이 솔직히 쟌니 애매함.

그렇다고 해도 쓰는게 안 쓰는거보다는 화질이 나음.

HDR 인증을 뭘 받았는지 안나오고,

최대 밝기는 일단 1,499 임 (스샷 참고)

싸펑할 때 HDR 키고 최대 밝기 1500 하고 나서

톤매핑을 뭘 하든 느낄거임.

쟌니 애매하고 구림.

적절하게 잘 보인다 싶으면 어두운 곳 가면 눈을 찡그릴 정도로 안보이고,

어두운곳에서 잘보이게 세팅하고 밝은 곳 가면, 너무 밝아서 안보임. (태양윤곽, 타일바닥등)

그래도 최대밝기 1500, 톤매핑 1, 채도는 최하 로 세팅하면 이쁘긴 함. 화면이.

(그래도 Neo QLED 보다는 안됨. OLED는 오죽하겠나 싶음)

근데 또 유튜브있는 HDR영상 틀어보면 화면이 쨍하고 이쁘긴 함.

혹시 본인이 이 TV 쓰는데 싸펑 패스트레이싱 기준 이쁜 세팅값 있으면 알려주삼.

아 그리고 HDR10+ 된다고 스펙에 있는데, 왜 싸펑에서 HDR10 만 되나? 

이것도 좀 그럼.


 

5. UI 나 리모콘이 상당히 편하지만 호환성은 글쎄? (비교군 : 삼성 스마트TV (2023년 모델기준))

홈화면도 쓰기 편하고, 각 어플은 뭐, 각각 회사 UI니 편하고 자시고가 없는데,

각 어플에 접근성이나, 

소스(케이블,  HDMI) 바꾸는게 버튼이 다 할당되어 있어서 편함. 

(이건 리모콘 기본인건데, 삼성이 요즘 그냥 버튼 다 빼버리고 있으니, 이걸 장점으로 적을 줄 몰랐음.)


근데 리모콘 버튼 조작이 쪼끔 불편함.

사실 리모콘은 손에 익어서 눈으로 안보고 잡고 바로 사용하는 사람이 태반일텐데,

영상 조작부랑, 뒤로가기랑, 구글 보이스가 다 붙어 있어서, 헛 누르면 좀 짱남.


호환성이라 함은,

내가 지금 헬로우TV 케이블 쓰는데, 그 통합리모콘으로 TV 조작 안됨.


그리고 키보드 마우스 다 잘 물리는데, 

키보드 한영 전환이 안됨. 아니 그냥 영어만 쓸 수 있음 키보드론. 이거 개구림.

마우스로 한글자씩 찍어야 함. 어플 기준임 (유투브등.)


* 홈화면은 솔직히 삼성보다 훨씬 나음.

삼성은 쓰지도 않는 내용에 대해 홈 화면이 꽉차 있어서 그닥 홈화면에 머물러 있지 않은데,

필립스는 첫 화면에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디즈니, 유투브 등에서 내가 최근에 보던게

다 뜸. 이거 무지 편함. 드라마 다음화 바로 티비 키자마자 볼 수 있음.

삼성은 버튼으로 여기저기 들어가야함. 즉 어플 켜야만 하더라. 


**24년 4월 업데이트 후 추가내용.

내가 삼성TV에서 줄기차게 까던 NFT 가 여기도 생겼더라. 

내가 안써서 그런가?? 이거 대세인건가?? 아무튼 참고하삼.



6. 아 이거도 이제 개선 됨. 신경쓰지 마삼. 이부분.

설정이 조금 짜증남.

솔직히 설정 부분은 불편하더라도, 한번 설정하면 끝이니까 평가할 부분이 아닌데,

다른부분은 다 괜찮은데,

사운드 부분은 내가 설정한거대로 안되고 계속 다른거 함.

예로 내가 컴 하면서 사운드 AI 모드로 해 놔도

컴 껐다가 키면 "공간 뭐시기 음악" 으로 바뀌어져 있음.

이 공간 뭐시기 모드가 게임 모드긴 하지만, 중요한건 내가 세팅한 값으로 안되어 있다는 거임.

사운드만 그럼 사운드만.



7. 간혹 고주파음 들린다는 사람 있는거 같은데,

그거 티비 주파수하고 님 PC 주파수하고 안맞아서 그런거임.

HDMI 여기저기 꼽았다 뺐다 하지 말고,

주파수를 120hz 에서 119.88hz? 뭐  이딴거로 바꾸삼.

PC 디스플레이 고급 설정에서 보면 설정하고자 하는 hz의 근사값이 같이 있을거임.

그거로 바꾸면 고주파음 안들림.



8. 앰비언튼 라이트?

신기한데, TV 가까이서 보는 나로썬 TV 집중하면 어느순간 안보임. 앰비언트 라이트.

그리고 만약 이거 전구 하나 나가면 어떻게해야하나 싶음.

봤더니 따로 꼈다 뺐다 할 수 있는게 아니던데. AS 받기 무지 구찮은 구조임.

혹시 교체 가능?? 그럼 알려주삼.

전구 하나 나가면 그때부터 이빨 빠진거 처럼 보일거 같고, 앰비라이트 안쓰게 될거 같음.



결론은?

가성비가 쟌니 모든걸 다 압살함.

50인치 4k 120hz 를 100만원도 아닌 50만원 이하에 구할수가 없음.

심지어 2024년 모델이고 안드로이드 시스템이라 굉장히 빠릿빠릿함. (이거 꽤 장점임.)


처음부터 OLED 생각한 사람이면 이모델 보지도 않았을거고.

이 모델 보고 있는 거라면; 거기다 내 이 긴 리뷰를 다 읽을 정도라면 그냥 사삼.

**2024년 4월 업데이트로 더더욱 좋아졌음.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카테고리

1/1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사용기 AOC 27G42 사용후기 입니다!
사용기 20만원대 32인치 240Hz 게이밍 모니터! 비트엠 Newsync 324F 패스트 240 FPS
사용기 ASUS TUF Gaming 지포스 RTX 5070 Ti OC D7 16GB 인텍앤컴퍼니 (1)
사용기 크로스오버 27USW9 사용후기 (1)
사용기 이건 그냥... 사냥꾼입니다. 9800X3D + RTX 5080 수랭PC 등장 (1)
사용기 가성비로 압살 ASRock 라데온 RX9060XT 스틸레전드 OC D6 8GB 벤치마크 (1)
사용기 이름처럼 강렬한 수랭PC - 몬스타PC 헬라 실사용기 (2)
사용기 XFX 9060xt SWIFT 16GB (2)
사용기 제이씨현 유디아 UDEA LOOK LK3233KC 시력보호 IPS 사무용 PC 컴퓨터 화이트 모니터 80~81cm(32인치) 내돈내산 추천 (2)
사용기 [PBM] 9600X + 5070 MSI 컴퓨터 사용기 (3)
사용기 몬스타 가츠 아이큐v2 사용기 - 이게 진짜 하이엔드다! (4)
사용기 최고 가성비의 27형 QHD 고해상도 모니터, Newsync B2775LGQ 컬러풀 HDR (3)
사용기 BIOSTAR B850MT-E PRO 사용기! (4)
사용기 궁궐 속 괴물 성능! 연꽃 59 커스텀 수랭PC, 외형부터 사양까지 고풍스럽습니다..! (5)
사용기 이리듐 – 성능도 감성도 다 잡은 게이밍 PC (4)
사용기 이름부터 심상치 않은 더블랙56ti 사용기입니다. (4)
간단 사용기 GIGABYTE AERO X16 HX370 + RTX5070 모델 간단 개봉기 (4)
사용기 R7260, RTX5070 18인치 게이밍노트북 ASUS FA808UP-S8017 후기 (5)
간단 사용기 POWERCOLOR 라데온 RX 9060 XT Reaper D6 8GB 대원CTS (4)
사용기 RTX 5090? 커스텀 수랭? 이건 그냥 작품이다 알파메일 사용기 (6)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