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 quiet 는 독일의 하드웨어 전문 제조 업체로 컴퓨터 하드웨어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한번쯤 들어보셨을텐데요. 회사명 답게 고품질 컴포넌트에 저소음에 포커스를 맞추면서도 높은 성능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유명하죠.
이번에 소개해드릴 제품은 be quiet Silent Base 802 Window 강화유리 케이스인데요. 저소음과 고성능을 넘나드는 뛰어난 설계로 우수한 확장성과 쿨링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내돈내산인만큼 실제로 조립해보면서 어떤 특징이 있을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 설명서, 케이스 조립 나사, 케이블 정리용 벨크로, HDD 케이지와 여분의 고무, 그리고 사진 상에는 보이지 않지만 케이스 받침 다리가 패키지 박스의 스트리폼 안쪽에 동봉되어 있습니다.
비콰이어트 Silent Base 802 케이스는 블랙, 화이트 2가지 색상에 패널 타입에 따라 2가지 버전으로 나뉘는데요. 강화유리 패널이 적용된 Windows 버전과 그냥 일반적인 철판 재질의 패널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구입한 제품은 강화유리 패널이 적용된 제품인데, 기본적으로 저소음을 추구하는 케이스라 상단과 전면 패널이 소음 차단 패드가 적용되어있는데요. 인상적인 점은, 별도의 메쉬 타입 패널을 따로 기본 제공하고 있어 쿨링 성능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면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좌측 사이드 패널은 강화유리로 두께는 약 3.8~4T 정도로 두꺼운 편이며, 요즘 유행하는 스윙 도어 타입이나 일반 손나사로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케이스 후면에 위치한 버튼을 눌러 분리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패널 탈착이 정말 편리했습니다.
우측 사이드 패널도 마찬가지로 버튼을 눌러 분리할 수 있는데, 우측 패널은 일반적인 철판 재질이지만 패널 안쪽에는 무려 1T(:1cm)두께의 대형 소음 차단 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면적도 면적이지만, 이 정도 두께의 소음 차단 패드가 부착되는 케이스는 또 처음보네요.
요즘 유행하는 어항 타입의 디자인은 아니지만 깔끔하면서도 질리지 않는 맛이 있는데요. 전면 패널은 기본적으로 막혀있는 솔리드 타입의 철재 패널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놀라운 건, 패널을 위쪽으로 잡아올리기만 하면 분리가 되는데 패널 안쪽에는 1T 두께의 차음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메쉬 타입의 패널을 별도로 기본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쿨링에 민감하시는 분들은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점. 안쪽에는 분리 가능한 대형 먼지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는 점을 본다면, 정말 치밀하게 잘 설계되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상단 패널은 기본적으로 분리가 가능한 솔리드 패널이 부착되어 있는데 뒤쪽은 약간의 쿨링이 가능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안쪽에도 마찬가지로 차음 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쿨링을 강화하고 싶다면, 기본 제공되는 자석형 메쉬 패널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하단에는 슬라이드 방식의 대형 먼지 필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앞쪽으로 빼낼 수 있는 구조라 손쉽게 분리 세척이 가능하고, 하단을 전체적으로 덮어서 먼지 유입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케이스 받침 다리를 별도로 장착해야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케이스 하단부에는 미끄럼 방지 고무 패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케이스 내부는 파워서플라이와 하드 베이가 독립되어 있는 구조로 공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파워서플라이 슈라우드 위쪽에는 4개의 플라스틱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데, 쿨링을 강화하고 싶다면 커버를 뜯고 120mm 또는 140mm 규격의 쿨링팬 1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쿨링팬은 be quiet PURE WINGS 2 140mm 쿨링팬 3개가 전면에 2개, 후면에 1개, 총 3개가 기본 장착되어 있는데요. 기본 장착된 쿨링팬의 성능이 꽤 괜찮기 때문에 굳이 교체할 필요는 없습니다.
팬 컨트롤러가 있어서 통합 관리가 가능한데 3Pin 방식으로 총 6개까지 연결할 수 있습니다. 전원 공급 방식은 SATA 케이블을 연결하여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케이스 전면부를 3팬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서린에서 유통하고 있는 be quiet PURE WINGS 2 140mm 쿨링팬을 하나 더 구입했습니다.
PWM 방식이 있고 3Pin 방식이 있는데, 저는 컨트롤러에 장착하여 사용할거기 때문에 3Pin 으로 구매했습니다. 사양은 최대 풍량 61.2CFM, 최대 풍압 0.76mm H2O, 회전 속도 1000RPM, 소음은 18.8 dBA 입니다.
be quiet Silent Base 802 케이스의 특장점 중 하나는 바로 대용량 스토리지 구성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우선, 2.5인치 SSD는 최대 15개까지 가능하며, 마더보드 트레이 쪽에 SSD 전용 베이가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슈라우드 커버 안쪽에는 HDD 케이지가 있는데 총 2개를 장착할 수 있으며,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고무 패드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면 420mm 라디에이터를 장착해야하거나, 저장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케이지를 분리하여 공간을 더 넓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케이지 밑에 잉여 공간이 꽤 있는데 파워서플라이 케이블을 정리할 때는 꽤 유용하지만, 그래도 남는 공간이 많아 하드디스크 1개를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해줬으면 어땠을까 싶네요. 또한, 케이지를 전면쪽으로 조금 더 이동할 수 있었으면 공간을 더 많이 활용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아쉽습니다.
메인보드 장착면 쪽에는 5개의 HDD 슬롯 커버가 있는데요. 이곳에 5개의 하드디스크를 추가 장착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슬롯 커버는 3단계 걸쇠 형태로 되어 있는데, 하드디스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걸쇠를 당겨서 케이블 라우팅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걸쇠 형태로 되어 있다보니 손으로 걸쇠 전체를 눌러서 슬롯 커버를 분리해야하는데 이 과정이 다소 좀 불편한 편이고, 상단에 3열 라디에이터를 장착하고, 길이가 긴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면 사진처럼 HDD 케이지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실제로는 1~2개 밖에 안된다는 점은 참고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be quiet Silent Base 802 케이스의 재밌는 점이라면, 바로 마더보드 트레이가 분리가 된다는 점입니다. 그게 왜 재밌냐면, 그래픽카드가 CPU 소켓 위쪽에 위치해서 멀티그래픽 구성시 ,발열 컨트롤에 유리한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랭식 CPU 쿨러 사용시 누수로부터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죠.
제품 크기는 539 x 281 x 553 인 미들타워 케이스로 미들타워 치고는 꽤나 큰 크기를 자랑합니다. 따라서, 최대 E-ATX 규격의 메인보드를 장착할 수 있고, 그래픽 카드는 최대 432mm 까지 장착, 공랭 CPU 쿨러의 경우 최대 185mm 까지 장착이 가능합니다.
케이스 상단 라디에이터 장착 과정도 굉장히 편했는데요.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를 손에 들고 케이스에 낑낑 거리며 장착하기 일수인데, 본 제품은 나사 2개만 분리하면 라디에이터 전용 브라켓을 슬라이드 형태로 꺼낼 수 있고 심지어 분리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쿨링팬이나 라디에이터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죠.
파워서플라이는 최대 288mm의 장착 공간을 지원하여 거의 왠만한 파워서플라이는 모두 장착이 가능하고, 전용 가이드를 먼저 파워서플라이에 장착한다음 밀어 넣어서 손 나사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전용 가이드의 모양 때문에 파워서플라이 장착시 간섭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SuperFlower SF-1000F14MP 파워서플라이의 경우 전원 코드 장착부가 세로로 되어 있어서 전용 가이드와 간섭이 일어나서 장착이 안됩니다. 왜 굳이 전용 가이드를 이런 모양으로 구성했는지 이해할 수가 없는 부분입니다.
케이블 정리는 개인의 역량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약 25mm 정도의 선 정리 공간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조립 과정 중에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바로 마더보드 트레이 위쪽 부분이 아예 비어있다는 점인데, 공간이 넓어서 CPU 케이블과 수랭 라디에이터 케이블 정리가 너무 편했습니다.
다만, 문제는 선 정리 공간이 수치상으로는 여유로운 편인데 실제로는 여유롭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게 무슨 말이냐면, 사이드 패널 안쪽에있는 1T 두께의 차음 패드 때문에 실제 선 정리 공간이 줄어든다는 것이죠. 따라서, 그냥 케이블을 막무가내로 우겨넣다가는 패널이 닫히지 않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케이스 조립이 완료된 모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