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구매하게된 MSI MAG B760 토마호크 WIFI 사용기 입니다.
10년 넘게 노트북을 사용하였고 회사에서도 업무용 PC로 데스크탑이 아닌
랩탑을 사용해왔기 때문에 데스크탑을 조립하고 부품을 구매하는 건 거의 10년도
더 지난 거 같습니다. 그만큼 심사숙고하여 메인보드를 선택하였고 그 결과
MSI MAG B760 토마호크 WIFI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저의 시스템입니다.
CPU: 인텔 12세대 i5 12600K
메인보드: MSI MAG B760 토마호크 WIFI
VGA: 사파이어 RX Vega 64 NITRO+ HBM2 8GB Turbine-X
SSD: 마이크론 크루셜 MX300
RAM: ESSENCORE KLEVV DDR5-5600 CL46 32GB(16X2)
파워: SuperFlower SF-850F14HG LEADEX III GOLD WHITE
쿨어: Thermalright Peerless Assassin 120
케이스: 3RSYS L610 QUIET
오랫동안 랩탑을 사용해 오다보니 데스크탑을 새로 구매하였을 때 사용방식에 대해서
가장 생소하였던 부분이 바로 케이스 팬과 CPU 팬 이었습니다. 조립을 하고
전원을 인가하였더니 케이스 팬과 CPU 쿨러 팬이 최대 RPM으로 작동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MSI 바이오스의 팬 컨트롤러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 화면은 바이오스에 들어가게 되면 처음 보게되는 화면입니다. 여기서 좌측의 Fan info를 들어가면 제어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위의 화면은 현재 CPU, PUMP팬 그리고 시스템 팬의 설정 및 운영 현황을 각각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좌측은 보드의 cpu_fan, pump_fan에 연결된 팬을 나타내고 우측은 sys_fan에 연결된 팬을 타나냅니다.
저는 y선이 없는 관계로 2개의 cpu 공랭팬을 각각 cpu,pump fan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보통 pump_Fan은
수랭을 이용하시는 분들을 위해 높은 출력을 내는 단자라고 합니다.
허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sys_fan1을 메인으로 하여 연결된 팬을 동일하게 작동되게 사용할 수 있고 개별 케이스 팬들을 각각 sys_fan에 연결하거나 또는 pwm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습니다. 저는 허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셋팅을 전체 케이스팬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위의 톱니바퀴 모양을 누르면 이제 각각의 fan 헤더에 연결된 팬들의 속도와 운영방식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우측상단을 통해 각각의 fan 헤더에 연결된 팬을 선택할 수 있고 그래프의 좌상단의 "Smart Fan Mode" 에 체크를 하면 온도에 따른 팬의 부하(rpm)을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smart fan mode를 체크하지 않으면 최대 속도로 팬이 작동하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점들을 클릭하면 전 후 점들의 위치를 상하좌우 제한 값으로 하여 특정 온도에서의 부하(rpm=%)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설정에서는, 0도에서는 4%의 부하로 팬이 가동하며 그 다음 점인 17도의 20% 부하 지점까지 CPU의 온도변화에 따라 rpm이 선형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캡쳐 좌상단의 "Temperature Source"를 클릭하여 CPU외에도, CPU 소켓, 마더보드의 MOS 등으로 설정가능)
좌측 중앙의 "CPU fan1 step up time"과 "step down time"을 통해 각각 팬의 속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갈때
가속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0.1s - > 1.0s로 변화할 수록 속도의 변화가 천천히 일어나게 됩니다. 반대로는
속도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게 됩니다.
이 설정을 사용해 보면 가속도를 높게 설정하는 경우 팬이 갑자기 빨라지면서 공진음이 생기기도 하는 것으로
보아 적당히 천천히 증가하는 것이 소음이나 팬의 수명측면에서 좋아 보였습니다. 다만 너무 느리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CPU를 빠르게 냉각해야할 타이밍을 놓치게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까지 메인보드의 BIOS를 통해 CPU 쿨러 또는 케이스팬의 속도조절 사용기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특별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BIOS 상의 설정만으로도 전문적인 수준의 팬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MSI 메인보드의 전문성과 유저 편의성을 엿 볼 수 있었습니다.
저 처럼 오랜기간 데스크탑을 사용하지 않고 레거시 BIOS 선에서 사용자 경험이 멈추어 계신 분들에게
해당 사용기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