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eseala 입니다.
오늘은 여러모로 핫한 CPU, 인텔 i5-14600KF를 가지고 왔습니다.
가격은 다나와 최저가 기준으로 40만원 정도 하는데,
간혹 있는 특가 같은걸 찾아보시면 조금 더 저렴할겁니다.
저는 원래 라이젠 유저였습니다만 갑작스러운 보드의 고장으로,
이차저차 여차저자 해서 그냥 시스템을 인텔로 갈아 엎어 인텔 유저가 되었습니다.
(그래도 서브컴은 여전히 라이젠이라, 라이젠 유저 또한 세이브!)
각설하고,
인텔 14세대 i5 14600KF CPU는 인텔 7나노 공정으로
14코어(P코어6+E코어8) 20스레드(P12+E8) 구성으로
기본 클럭 3.5Ghz, 부스트 4.0Ghz의 표기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L3 캐시는 24MB, TDP는 최대 181W까지 올라간다는게 표준 스펙입니다.
또, K버전 CPU 대비 내장 그래픽을 제거해 가성비를 더 갈아온 컨셉이죠.
그런데 다들 아시다시피 인텔 14세대의 스펙은 13세대와 거의 같은 수준입니다.
피땀어린 전력 차력쑈로, 리프레쉬라고 부르기도 민망한 미묘한 성능 향상이지만
아무튼 세대(숫자)가 바뀌었고, 가격은 MSRP 기준으로 동결되었으니
(오랜만의 인텔사용인 것도 있고)저는 실망은 했어도 불만까지는 없었습니다.
경쟁 모델인 라이젠 7000번대 라파엘은 이미 13세대부터 차력쑈로 눌러놨고요.
그저 인텔의 앞날엔 밝은 빛만 있을 줄 알았습니다.
...
얼마 전부터 차력쑈의 부작용 소식이 들려오기 전 까지는 말이죠.
먼저 박스 패키지의 모습입니다.
인텔이 매번 강조하는 '정품' CPU를 구매했습니다.
벌크와 달리 AS 3년 보장이 된다는게 가장 큰 메리트이죠.
측면을 보면 정품 스티커와 유통사가 적혀 있습니다.
저는 PCD 유통으로 받았네요.
작년부터 3사 통합 AS에서 개별 처리로 바뀌었으니 기억해둬야겠습니다.
제가 마지막으로 구매했던 인텔이 i5 11500이었는데
3년이 지나 이렇게 메인컴으로 14600KF를 손에 넣을 줄은 상당도 못했습니다.
인텔의 로고는 약간 바뀌었지만 디자인 철학은 예나 지금이나 비슷한 느낌이네요.
제가 좋아하는 파란색에 깔끔하고, CPU 실물도 자랑하는 디자인입니다.
대충 붙인듯한 미개봉 씰을 보니 그 시절의 향수도 조금 떠오릅니다 :)
오픈.
패키지 내부에는 인텔 i5 스티커와 CPU 본품이 끝입니다.
배수락(오버클럭)이 해제된 KF 모델이라고 기본 쿨러도 없습니다.
요즘엔 안주는게 너무 흔해서 별 생각 안 들지만서도,
추억속 인텔보다 얇아진 패키지를 보면 뭔가 슴슴하네요 ㅎㅎ
딱 맞는 플라스틱 케이스 안의 인텔 i5 14600KF CPU.
언제 봐도 설레는 순간인 거 같습니다.
감상은 여기까지, 이제 인텔 14세대의 그 강력한 성능을 느껴봐야겠죠?
저는 가성비의 B760 보드를 같이 구매해 준비했습니다.
요즘 CPU들은 수동오버를 넣지 않는 추세이기도 하고,
보드 스펙은 상향 평준화 되었고, CPU 자체도 이미 차력쑈가 되어있어서
B760 중급 보드면 충분하겠다는 판단이 들어서였습니다.
제가 윈도우 설치 후 가장 먼저 확인하는 작업 관리자!
14C 20T의 영롱한 코어/스레드 숫자가 저를 반겨줍니다.
지금까지 사용해본 CPU중 가장 많은 숫자가 아닌가 싶네요.
물론, 여기서 6개의 코어만 성능이 출중한 P 코어이고,
나머지는 효율을 살린 E코어(일면 공갈코어)라고 하지만
E코어도 옛날 6세대(스카이레이크)급의 성능은 나온다고 하여
멀티 작업에는 꽤나 도움이 된다는 거 같습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CPU-Z를 확인하며 벤치마크를 돌려봤습니다.
캬~ 비교군인 i9 10세대보다 점수가 잘 나오는군요. 도파민이 뿜뿜합니다.
멀티 점수는 E코어가 뻥튀기를 터트린 느낌이 있지만
싱글 코어 성능 자체도 눈에 띄게 향상된 것이 인상적입니다.
마지막은 항상 그렇듯 3D MARK 벤치마크를 들고왔습니다.
Asus ROG B760-G 메인보드 기본값(전력제한 해제) 세팅에
DDR5 6000클럭 메모리, 윈도우10 환경입니다.
벤치 결과 파스 약 38K, 타스 약 18K가 나와주는데
제가 전에 쓰던 5800x가 타스 11K였으니...
단순하게 따지면 63%정도의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이것이 인텔이 사력을 다한 차력쑈인가!
이런 느낌으로 라이젠 7000번대를 13세대때부터 찍어누른 것 이군요.
하지만 사력을 다한 쑈에는 대가가 따르듯, 최대 온도 99는 보고 좀 놀랐었습니다.
온도 99도를 보고 놀라기도 하고, 인텔 14세대 발열이 그렇게 심하다고 하여
평소에는 잘 안 돌리는 AIDA64 스트레스 테스트도 돌려보았습니다.
결론은 발열이 많다는 걸 역시 부정할 수 없는 단점인 거 같습니다.
제 CPU 쿨러는 나름 고성능인 3열 수랭(잘만 Reserator Z36)모델인데
Idle은 30도로 시원하지만, 작업 부하를 주면 금방 91도 꼭대기를 찍는 모습입니다.
나름 고성능 쿨러 답게 여기도, 삼디막에서도 클럭 저하는 없었지만 조금 불안하긴 합니다.
물론 이런 벤치마크가 아닌 게임에서는 온도가 이리 높지 않을 것이고
위험한 온도가 되면 CPU가 알아서 쓰로틀링을 걸어 안정성을 확보해주겠지만
요즘 들리는 인텔 전력제한해제 안정성 이슈를 들어보면 남 일 같지는 않습니다.
저야 엔트리인 i5 라인업이라 그 정도가 덜하고,
지금은 철권이던 다른 언리얼 게임이든 실행에 문제가 없이지만
1년, 2년, 쭉 사용한 뒤의 미래는 또 모르는 법이니까요.
(이 때를 위한 인텔 정품 CPU 구매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제가 취한 조치는 ASUS 아머리 크레이트에서 Power Saving 모드를 활성화 한 것입니다.
아머리상 구체적인 설명은 없으나, 전력제한을 걸어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라이젠의 Eco모드와 같이 성능 손실은 분명 있지만, 발열이 확연하게 줄어 매우 쾌적해집니다.
저도 Power Saving을 켜기 전엔 앱플레이어나 게임 실행시 순간 쿨러가 굉음을 냈는데
키고 나니 그런 현상은 사라지고, 전체적으로 정숙해서 훨씬 쾌적한 환경이 되었습니다.
아마 앞으로도 켜고 사용할 거 같네요.
총평
오랜만에 인텔을 써본 느낌은, 인텔이 작정하고 공세를 올렸다는 느낌입니다.
라이젠 5600x의 게임 성능에 i7 i9 라인업이 굴욕을 받던게 엊그제 같은데 이미 역전되었군요.
그래서 라이젠 5800x에서 14600KF로 업글한 체감이 나냐구요?
저도 안 날줄 알았는데, 체감이 약간이지만 나긴 났습니다.
게임 최소 프레임이 미세하게 올라간 것이 보이고
앱플 서너개와 인터넷, 유튜브를 동시 실행하면 확실히 여유가 더 느껴졌습니다.
이런저런 이슈가 있어도 인텔을 추천할 요소는 분명한데,
인텔 14세대 시스템이 AMD 라파엘 시스템보다 가성비가 여전히 더 좋습니다.
출시부터 13세대와 같은 가격(MSRP)로 나와 가격 안정화도 상당히 빨랐고
CPU를 받혀줄 준수한 메인보드들도 10~20만원대로 라이젠 AM5대비 저렴한 편이거든요.
물론 피땀서린 차력쑈의 부작용으로 발열과 안정성 이슈가 대두되었지만
아마... 인텔이 되었든, 보드 제조사가 되었든 어떻게든 해결책을 내 놓을거라 생각합니다.
그저 소비자로써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이 혼란한 상황 속 AMD가 어떻게 기회를 잡고 반격할까 이네요.
역시 경쟁은 소비자에게 좋은 거 같습니다 X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