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70ti에서 나름 이슈가 되었던 일이 있었다.
PALIT계열사 2제품 게이밍프로와 피닉스제품이 너프 되었다. 원가절감 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시류는 너무나 예민하게 살아가는 세상이 되어버린 조금이라도 손해보는게 바보가 되는 세상이 되어버린 것인가 싶다.
우연찮게 V1버전이 아닌 초기버전!!!! 베이퍼챔버 제품을 구했다.
V1제품을 가지고 있으니 한번 외관과 실사용 차이점을 간략하게 써봅니다.
게이밍프로에선 베이퍼챔버가 사용됐다는 자랑문구가 있고 없고가 있다는데 피닉스는박스에선 차이가 없다.(물론 시리얼적인건 다른데 그건 밑에서 다룬다.)
음...V1과 다른점을 찾기가 너무 힘든 상황이네요.
결국 V1제품을 끄내서 같이 놓고 비교를 해봅니다.
아...차이점을 찾을 수 있으신가요? 똑같습니다. 아무리봐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이것으로 딱 알수가 있습니다.
보이시나요. 제품명 끝에 V1이 표시됩니다.
또한 P/N 넘버에 끝이 베이퍼챔버는 Y 구리는 C (copper란 약자인가??)네요.
EAN번호 끝도 다릅니다. 이 스티커가 없다면 구분이 어렵네요.
테스트를 위해 똑같은 사양에 다시 장착했습니다. 이런게 바로 노가다!!
그래도 다시 봐도 신기하게 화이트빌드에 잘어울립니다. 이제 테스트를 해봐야죠.
순정상태의 타임스파이점수와 돈도입니다. 어라...오히려 V1버전보다 점수가 낮습니다. 온도는 비슷하네요. 1도 정도 낮은가?
오버를 해봤습니다. 450/3000 전력제한100%. 순정 점수가 낮길래 425가 아닌 450을 줬습니다.(클럭이 낮게 터지면 오버시에 좀 더 여유가 생기죠. 반대로 순정점수 높은 최상급기들이 코어오버가 425가 아닌 375까지만 들어가는 이유기도 하죠.) 점수가 이것도 V1보다 좀 낮네요. 3만점 넘겨볼려고 옵션 다르게 3번정도 더했는데 안나오네요. 온도는 1도 정도 낮다고 해야하나? 비슷합니다. 오차범위 같아요.
많이들 사용하는 옵션인 425/3000 전력제한 85프로입니다. 이 역시 V1은 29000점이 나왔는데 점수가 좀 낮습니다. 온도는 1도 정도 낮게 나옵니다.
요새 핫한 33원정대 게임 초반부 스샷으로 프레임과 온도 클럭등을 봅니다. V1과 프레임이 같고 온도는 1도정도 차이납니다.
기존 베이퍼챔버 버전과 구리베이스의 V1 버전을 비교해봤습니다.(기존 V1은 제 다른 사용기 참조)
5070ti에선 차이를 느끼기가 어렵습니다.
오히려 뽑기가 잘된 코어 수율이 성능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아요. (5080 불칸 순정보다 5080 만리하급기 순정 점수가 더 높다는 코어뽑기의 중요성.)
두개의 5070ti 피닉스를 다뤄보면서 실사용에서 아무런 문제도 없고 가성비 뿜뿜하는 피닉스를 봤는데 이정도면 추천하지 않을 수가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