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사무용 PC를 변경할 일이 있어 열심히 알아봤고 특히 보드를 뭘로 선택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다양한 칩셋이 있어 칩셋을 선정해야 했고 브랜드도 체크해야 했는데 지금에 와서 너무 저가가 아닌 이상 B650 칩셋이 가장 가격대비 성능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A620, B840, 850 외 많은 칩셋이 사실상 모두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과 등급 등을 고려했을 때 B650은 가격이 많이 안정되기도 했고 10만원 ~ 20만원 사이의 제품이 많고 10만원 초중반 제품들이 많이 판매가 됩니다.
그 중에서도 2개의 A사와 M 사 등 다양한 제품을 체크하다가 기가바이트 가격대가 예전보다 많이 내려가기도 했고 특히 이 B650M K 이 모델은 모 유튜버가 소개도 했지만 상당히 많이 판매가 되는 모델인 것을 확인하고 구입했습니다. 아주 중요한 부분은 아니지만 큰 SSD 방열판을 제공해주는 점도 좋았습니다.
메모리 슬롯은 4개입니다. 당연히 4개 있는걸 사야겠죠. 그런데 A사 일부 모델을 비롯해 몇 개는 2개만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고장나지 않으면 상관이 없긴 한데 그래도 4개 풀뱅크가 좋죠.
이 제품이 아주 고가의 고급 제품은 아닙니다. 그래도 이곳 저곳 방열판, 중소형 방열판 등 구성이 된 점이 마음에 듭니다.
전원부는 상세페이지에 자세히 안내가 되어있는데 아마 8 + 1 + 1인가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찾아보세요.
사무용 PC로 구입한 거라서 특별한 것은 없지만, 큰 GPU를 장착할 때 저 PCIe 16x 슬롯이 강화가 되어 고급스럽기도 하고 튼튼하게 지지해줄 수 있습니다. 그 옆에 렛치(?) 같은 레버도 큰 그래픽카드를 제거할 때 매우 도움이 됩니다.
이 가격대의 여러 제품을 봤는데 SSD 방열판을 미제공해주는 제품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물론 기가바이트 다른 모델도 그렇고요. 그런데 이 제품은 상당히 괜찮아보이는 방열판을 제공해줘서 좋습니다. 방열판 저렴한건 얼마 안합니다. 그게 중요한게 아니지만 NVMe SSD 구입 시 방열판이 없는 제품과 보드에 방열판이 없으면 피곤해지고, 깜빡잊고 구입을 못할 때도 있어 이렇게 최소 1개라도 기본 장착되면 참 좋아요.
저가 및 중저가 쿨러는 당연히 잘 장착이 되고 물론 쿨러 높이는 케이스와 상관이 있는 부분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메인보드에서도 잘 장착이 되는 모습입니다.
후면에 특이한 사항은 없으니 상품 상세페이지를 보면 됩니다만 사무용으로 내장 그래픽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보드는 DP와 HDMI 등 총 2개 포트를 지원합니다.
여기서 큰 문제가 발생합니다. 온갖 삽질에 구입처, 기가바이트, 케이블제조사 등 수차례 통화를 했지만 사실상 해결이 안됐습니다.
HDMI는 별 문제가 없고 생길일도 거의 없습니다. DP가 문제인데
게이밍 모니터 및 최근에 구입한 중고급형 모니터에는 DP가 있지만 저가 모니터나 예전에 구입한 모니터들은 D-SUB 아날로그 단자와 DVI 단자, HDMI 단자 정도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DP to HDMI 케이블을 구입해서 연결했는데 화면이 나오지 않습니다.
정말 온갖 삽질을 하고 용산까지 가려다가 나중에 설명을 듣고 (이것도 바로 답변이 나온 것이 아님) 테스트 등을 진행한 후에 해결했습니다. (외장 그래픽카드에 연결하면 됩니다. 외장그래픽카드의 dp + hdmi 이런 식이면 됩니다)
아마 내장그래픽을 보드에서 출력할 때 dp to hdmi 저렴한 대다수 케이블은 화면이 안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유는 안에 바로 보내주고 칩셋 이런게 없어서 그렇다고 하는데
외장 그래픽카드에는 이게 있어서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상기 동일한 내용을 다르게 말하자면 DP 포트가 듀얼링크 (DP++)을 지원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dp to hdmi 케이블을 이용할 경우 저렴한 패시브 케이블(대다수)가 아니라 고가의 액티브형 케이블을 이용해야 합니다. 물론 기가바이트 및 케이블 제조업체에서도 무조건 100% 된다고 하지도 않습니다.
물론 모니터에 dp 단자가 있어 그냥 DP to DP 이런식으로 DP 케이블만 이용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듀얼 모니터를 설정하려고 하다가 발견한 문제이고, 듀얼이 아니라 그냥 DP to HDMI (모니터) 이렇게 해도 안나옵니다.
이 글을 얼마나 볼지 모르지만 몸으로 발견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니 체크해놓으면 좋을 것 같고
기가바이트 이 모델만 그런게 아니고 기가바이트 다른 모델들도 내장그래픽 사용 시 변환 케이블을 이용하면 거의 다 해당할 겁니다. 타사 보드도 마찬가지라고 추측해봅니다.
이 보드가 현재 12~13만원대이기 때문에 예전에 비해 가격이 많이 안정되고 고객 구입도 많은 제품이라서 한 번 구입해봤습니다. 고장없이 오래 잘 썼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