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가격은 20만원 중반대이지만 IPS에서도 퀄리티가 좋은 나노 IPS 패널을 사용하는 모니터가 있어 리뷰를 해볼려고 합니다.
모니터 제품명은 '비트엠 Newsync H34LGQ 나노IPS 120 게이밍 커브드'인데요.
이 제품을 스펙을 보면 정말 가격대가 20만원대라는 것이 믿기 어렵더라구요.
제품 스펙을 보면 Nano-IPS 패널을 사용하면서 120hz 화면주사율을 지원하고 있어요.
그리고 색상영역도 sRGB 132%, AdobeRGB 97%, DCI-P3 97%, NTSC 132%까지 지원하는 걸로 나와 있네요.
와~정말 20만원대 모니터인데 정말 다양한 것을 지원하죠!
그럼 이 제품의 실제 사용은 어떠한지 이제부터 하나씩 리뷰해볼께요.
요즘 이슈! 서브 픽셀 체크
요즘 모니터를 구매하면 꼭 체크해야 하는 부분이죠. 바로 모니터의 픽셀 구조를 확인해야 하는데요.
비트엠 Newsync H34LGQ 나노IPS 120 게이밍 커브드는 3서브 픽셀인게 확인되네요.
해상도 및 화면주사율 체크
| 그래픽 카드 제어판에서 확인
해상도와 화면주사율을 확인해보면 3440x1440해상도와 120Hz 화면주사율로 설정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 화면 주사율 테스트
총 3가지의 방법으로 120Hz 화면주사율이 출력되는지 확인했는데 정상적으로 출력이 되네요.
21:9 화면비율로
120Hz 게임 플레이 하면?
| 게임 실행
모든 게임이 21 : 9 화면비율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화면 비율을 지원하는 게임을 하면 위 영상처럼 옆으로 넓은 화면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
27인치 모니터 1.5개정도를 붙여서 가운데 줄 없는 화면으로 즐기는 게임은 어떠세요?
이래서 21 : 9 화면비율 모니터를 사는 것 같네요.
| 게임 실행 전 필수 체크
|
|
먼저, 영상에도 한번 설명했는데요. 오버워치의 경우 16:9 (일반) 모니터일 경우에는 해상도와 화면주사율을 신경써주면 되지만 21:9 화면비율의 경우는 화면비율도 꼭 설정값을 바꿔줘야 게임을 제대로 즐길 수 있어요.
위 설정화면은 피파온라인4 화면인데요. 이 게임에서는 화면 해상도는 자동으로 설정될때가 많지만 화면주사율은 꼭 별도로 설정을 해줘야해요.
위 설정 화면은 Forza Horizon 5 게임 설정 화면인데요. 이 게임도 설정 > 비디오 메뉴에서 화면 해상도와 화면주사율(프레임속도)를 설정해줘야 더 퀄리티 있는 화면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
| 알아두면 좋은 게임 Tip_조준선 표시 기능
여러 모니터에서 많이 지원하는 기능이지만 모르는 분들이 많죠.
FPS게임이나 게임에 화면의 중심점이 필요할 때 유용한 기능이에요. 총 4가지 모드로 지원하고 있고 여러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해요.
| 알아두면 좋은 게임 Tip_G-Sync호환 설정
NVIDIA 그래픽카드를 이용하는 고객이라면 설정을 해서 나쁘게 없는 기능이에요.
이 기능은 G-Sync라는 기능을 100%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화면찢어짐(티어링)현상만 최소화 해주는 기능이에요.
설정 방법은 매우 간단해요. 먼저 그래픽카드 제어판에서 G-SYNC 설정 메뉴가 없는지 확인해주세요.
기능이 없는게 확인되면 모니터의 OSD메뉴에서 FreeSync 메뉴에서 켜기를 선택해주세요.
그러면 그래픽카드 제어판에서 이렇게 'G-SYNC 설정' 메뉴가 보이실꺼에요. 생각보다 쉽죠?
모니터 화면 퀄리티 체크
이 모니터는 앞에서 스펙을 확인할 때 보았겠지만 정말 다양한 영역의 색상영역을 지원하고 있어요.
이 기능들이 얼마나 좋은지 다양한 화면으로 한번 확인해볼께요.
| 이미지 표현 테스트
이미지의 색감을 확인하는 이미지 표현 테스트인데요.
역시나 나노 IPS패널의 퀄리티는 정말 좋네요.
| 고화질 이미지 테스트
용량이 높은 고화질 사진을 실행해보았는데 이게 정말 20만원대 모니터가 맞는지 의심이 되는 수준이었어요.
사진의 색감 표현이 정말 괜찮은 편입니다. 사진 편집 입분용으로 사용해도 좋을 정도라고 판단드네요.
| 유튜브 영상 체크
유튜브의 다양한 영상 환경을 재생해보았는데요. DCI-P3 색상 영역 때문인지 색감이 정말 만족스러운 수준이었어요.
| 넷플릭스 영상 체크
넷플릭스의 영상 경우 일반 모니터와 차이점이 눈에 보이시나요?
일반 모니터는 영화의 경우 위아래에 검은색 여백이 생길텐데 21:9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넷플릭스 영화를 꽉 찬 화면으로 볼 수 있어서 좋아요.
다른 드라마나 애니메이션은 좌우에 여백이 있지만 영상을 보는데 큰 불편함이 없어요.
21:9 화면비율
업무의 활용도는?
| 엑셀 실행
이렇게 넓은 화면의 엑셀을 보신 적이 있나요? 엑셀로 옆으로 넓게 되어 있는 자료가 있다면 21:9 모니터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고 충분히 넓은 영역의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어서 좋아요.
일반 모니터가 Z열까지 보인다면 21:9 화면비율 모니터는 AU열까지 한번에 볼 수 있네요.
이렇게 파워포인트와 엑셀을 동시에 실행해서 업무를 해보 편리해요.
| 포토샵&프리미어 프로 실행
포토샵을 실행한 모습인데요. 이렇게 넓은 포토샵 화면을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AdobeRGB 지원 덕분에 사진의 색감이 괜찮네요.
이 모니터를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죠. 바로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를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에요. 위 사진처럼 많은 기능과 메뉴가 있는 프리미어 프로를 이용하기 정말 편리해보이죠.
이렇게 포토샵과 프리미어 프로를 동시에 실행해도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어요.
모니터 구성품 및 외관 체크
| 모니터 박스 외관
34인치 21:9 화면비율 답게 기존 모니터 보다 넓은 크기를 자랑하는 박스이에요.
테두리별로 보호 박스가 별도로 있어서 성인 손보다 큰 두께이네요.
기존 모니터는 박스의 상단 부분을 개봉하는 거라면 34인치 21대9 모니터는 이렇게 박스 정면을 개봉하는 방식이에요.
| 모니터 구성품
박스를 개봉하면 이렇게 모니터 받침대부터 설명서까지 여러 구성품이 보일꺼에요.
모니터 구성품이 있는 박스를 들어올리면 모니터 본체가 깔끔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구성품은 설명서 외에 모니터 받침대 2종, 전원 어댑터, 전원 케이블, DP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어요.
| 모니터 외관 살펴보기
모니터 본체의 전면 모습이에요.
커브드의 곡률을 확인하기 위해 밑에서도 활영해보았어요.
모니터 후면 부분도 한번 살펴볼께요.
후면 가운데에는 이렇게 모니터 암과 연결할 수 있는 베사홀홈이 있고 모니터 스탠드를 장착하는 부분도 있네요.
가운데 밑에는 모니터의 입력단자가 나열되어 있어요.
DC-IN, HDMI, HDMI, DP, DP, AUDIO OUT 단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네요.
모니터 후면 기준 왼쪽에는 모니터 OSD메뉴 버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네요.
모니터 후면 기준 오른쪽에는 캔싱락 홈이 있는 것도 확인되요.
| 모니터 스탠드 조립
모니터 조립하는 순서를 GIF로 제작해보았는데요. 생각보다 조립은 어렵지 않아요.
설치 완료 후의 뒷면과 정면 모습이에요.
가격은 20만원대이지만 외관은 정말 깔끔하네요.
| 모니터 테두리 살펴보기
모니터의 테두리도 하나씩 확인해보았는데 마감처리도 괜찮네요.
| 34인치 21대9 모니터 가로 길이
A4 용지 3장보다 크고 4장보다는 조금 작은 정도이네요. 너무 커서 정확인 길이를 상품 상세 스펙을 확인해보니 가로 길이가 82cm이네요.
정말 길긴하네요.
| 모니터 베젤 두께
모니터의 테두리 두께도 확인해보았는데요. 베젤은 9mm정도이고 마감재의 두께까지 합쳐서 총 1cm정도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네요.
| 모니터 결점 테스트
모니터 구매하면 필수도 해야 하는 '모니터 결점'테스트인데요.
다양한 색상으로 결점을 찾아보았지만 하나의 결점도 발견되지 않았네요.
| 모니터 OSD메뉴
모니터의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는 OSD메뉴이에요.
총 9가지의 메뉴가 있고 색상 외에 여러 기능을 설정 할 수 있어요.
| 모니터 시력보고 기능 확인(플리커프리)
모니터의 시력 보호 기능 중 하나인 '플리커 프리'기능을 확인했는데요.
모니터의 미세깜빡임이 전혀 잡히지 않네요.
-----------------------------------------------------------------
지금까지 '비트엠 Newsync H34LGQ 나노IPS 120 게이밍 커브드'를 리뷰 해보았는데요.
와~정말 20만원대라는 가격이 맞는지 의문이 드네요.
정말 사용하는 공간에만 큰 제약이 없아면 이 모니터 사용을 적근 권장하고 싶네요.
업무, 디자인, 영상편집, 게임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을듯하네요.